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tial Changes around Jangseogak(Former Yi Royal-Family Museum) in Changgyeonggu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 창경궁 장서각(구 이왕가박물관) 주변의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Yee, Sun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이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Received : 2021.08.20
  • Accepted : 2021.11.24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alaces of Joseon were damaged in many parts. Changgyeonggung Palace is the most demolished palace with the establishment of a zoo, botanical garden, and museu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alaces of Joseon were damaged in many parts. This study examined the construction process of Jangseogak(Yi Royal-Family Museum), located right next to the Jagyeongjeon site, which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space in the Changgyeonggung residential area of royal family zone, through historical materials and field research. Built in 1911, Jangseogak is located at a location overlooking the entire Changgyeonggung Palace and overlooking the Gyeongseong Shrine of Namsan in the distance. Changes in the surrounding space during the construction of Jangseogak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1910s, the topography of the garden behind Jagyeongjeon and part of the Janggo were damaged to create the site of Jangseogak. The front yard was built in the front of Jangseogak, and a stone pillar was installed, and a staircase was installed to the south. In the process, the original stone system at the rear of Yanghwadang was destroyed, and it is presumed that Jeong Iljae and other buildings were demolished. Second, in the 1920s, many pavilions were demolished and the zoo and botanical gardens and museums were completed through leveling. After the Jangseogak was completed, the circulation of the Naejeon and surrounding areas was also changed. Cherry trees and peonies were planted in the flower garden around the front yard of Jangseogak and the stairs, and a Japanese-style garden was created between Yanghwadang and Jibbokheon. Third, in the 1930s, the circulation around Jangseogak was completed in its present form, and the museum, Jangseogak, Zoological and Botanical Gardens, and Changgyeonggung, which became a cherry tree garden, were transformed into a Japanese-style cultural park. After that, the surrounding space did not change much until it was demolished. The restoration of the present palace is a long-term, national project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data for the restoration plan of Changgyeonggung Palace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to related researchers in the future.

일제강점기 조선의 궁궐은 많은 부분 훼손되었다. 창경궁은 특히 동물원과 식물원, 박물관 등이 건립되면서 가장 많이 훼철된 궁궐이다. 본 연구는 창경궁 내전 구역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으로 여겨졌던 자경전 터의 바로 옆에 자리 잡은 장서각(이왕가박물관)의 건립 과정을 사료와 현장 조사를 통해 고찰하였다. 1911년에 건립된 장서각은 창경궁 전체를 내려다보는 위치이자 멀리 남산의 경성신사를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자리 잡았다. 장서각의 건립 과정에서 주변 공간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1910년대 초에는 장서각 터를 조성하기 위해 자경전 후면부 동산의 지형과 장고(醬庫) 일부가 훼손되었다. 장서각 전면부에 앞마당을 조성하면서 장대석 석축을 시공하였으며, 남쪽으로 계단을 설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양화당 후면부의 석계의 원형은 파괴되었고, 정일재나 기타 건물 등은 철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1920년대에는 많은 전각이 헐리고 평탄화 작업을 거쳐 동식물원과 박물관이 완공되었다. 장서각이 완공된 후에는 내전과 주변의 관람동선도 변경되었다. 장서각 앞마당과 계단 주변의 화계에는 벚나무와 모란을 심고, 양화당과 집복헌 사이에는 일본식 정원을 조성하였다. 셋째, 1930년대에는 장서각 주변의 동선이 현재의 모습으로 완성되었으며, 박물관인 장서각과 동식물원, 그리고 벚나무 동산이 된 창경궁은 일본식 문화공원으로 탈바꿈되었다. 그 이후 철거될 때 까지 주변 공간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현재 궁궐의 복원은 문화재청의 장기적이고 국가적인 사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차후 창경궁 내전권역의 복원 계획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 관련 연구자들에게 또 다른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대한매일신보(1908). 1908. 2, 12. 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컬렉션,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http://viewer.nl.go.kr:8080/main.wviewer#
  2. 김찬송(2018). 창경궁박물관의 설립과 변천과정 연구. 고궁문화 11. 88-128. 국립고궁박물관.
  3. 목수현(2000). 일제하 박물관의 형성과 그 의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서울특별시(2012). 국역 경성부사. p.100.
  5. 문화재관리국(1988). 창경궁 -중건보고서.
  6. 문화재청(2010). 창경궁 복원정비계획.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21218&bbsId=BBSMSTR_1021&pageIndex=2&pageUnit=10&searchCnd=tc&searchWrd=%ec%b0%bd%ea%b2%bd%ea%b6%81&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Y&mn=NS_03_08_01
  7. 박소현(2004). 제국의 취미, 이왕가박물관과 일본의 박물관 정책에 대해. 미술사논단. 18(-): 143-169.
  8. 차문성(2008). 근대박물관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박물학과 박람회의 영향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현정(2010). 시선의 근대적 재편, 일제치하의 전시공간-박람회와 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19(-): 193-225. https://doi.org/10.17792/kcs.2010.19..193
  10. 송기형(1999). '창경궁박물관' 또는'李王家박물관'의 연대기. 역사교육 72(-): 169-198.
  11. 임인식(1954). 창경궁 항공사진. 종로구청. https://www.jongno.go.kr/gallery/galleryDetail.do?menuNo=400209&identityNo=JP_2015_04345
  12. 문화재청(2016). 동궐의 주요 식생 분석 및 가림시설 원형 고증 연구.
  13. 국립문화재연구소(2006). 북궐도형.
  14. 국립중앙박물관(2007).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유리건판 궁궐.
  15. 한영우(2003). 창덕궁과 창경궁. 열화당, 효형출판.
  16. 이만희(2010). 창경궁 내전권역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https://blog.naver.com/jsbh9/220303120019
  18. 남문현(2012). 자격루, 월간문화재 1월호.
  19. https://blog.naver.com/pzkpfw3485/222217875397.
  20. 김정은(2015): 일제강점기 창경원의 이미지와 유원지 문화. 한국조경학회지 43(6): 1-15. https://doi.org/10.9715/KILA.2015.43.6.001
  21. 우동선(2009). 궁궐의 눈물, 백년의 침묵-창경원과 우에노공원, 그리고 메이지의 공간 지배-. 효형출판. pp.202-237.
  22. 우연주, 배정한(2016). 근대적 도시 공원으로서 창경원. 한국조경학화지. 44(4):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