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Original Landscape for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Buyongjeong and Juhamnu Areas in Changdeokgung Palace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복원정비를 위한 원형 경관 고찰

  • Oh, Jun-You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Yang, Ki-Cheol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오준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
  • 양기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1.10.29
  • Accepted : 2021.12.10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newly examine the original landscape of Buyongjeong(芙蓉亭) and Juhamnu(宙合樓) areas in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focusing on the modern period including the Korean Empire, and to derive useful research results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in the future.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ificial island in Buyongji(芙蓉池) was originally made up of a straight layer using well-trimmed processed stone. However, during the maintenance work in the 1960s and 1970s, the artificial island in Buyongji was transformed into a mixture of natural and processed stones. The handrai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ficial island in Buyongji is a unique facility that is hard to find similar cases. The handrail existed even during the Korean Empire, but was completely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Chwibyeong(翠屛), which is current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Eosumun(魚水門), is the result of a reproduction based on Northern bamboo in 2008. Although there is a view that sees the plant material of Eosumun Chwibyeong as Rigid-branch yew, the specific species is still vague. Looking at the related data and circumstances from various angles, at least in the modern era,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Eosumun Chwibyeong was made of Chinese juniper like Donggwanwangmyo Shrine(東關王廟) and Guncheongung(乾淸宮) in Gyeongbokgung Palace(景福宮). Third, the backyard of Juhamnu was a space with no dense trees on top of a stone staircase-shaped structure. The stone stairway in the backyard of Juhamnu was maintained in a relatively open form, and it also functioned as a space to pass through the surrounding buildings. However, as large-scale planting work was carried out in the late 1980s, the backyard of Juhamnu was maintained in the same shape as a Terraced Flower Bed, and it was transformed into a closed space where many flowering plants were planted. Fourth, Yeonghwadang Namhaenggak(暎花堂 南行閣), which had a library function like Gyujanggak(奎章閣) and Gaeyuwa(皆有窩), was destroyed in the late 1900s and was difficult to understand in its original form. Based on modern photographs and sketch materials, this study confirmed the arrangement axis of Yeonghwadang Namhaenggak, and confirmed the shape and design features of the building. In addition, an estimated restoration map referring to 「Donggwoldo(東闕圖)」 and 「Donggwoldohyung(東闕圓形)」 was presented for the construction of basic data.

본 연구는 대한제국과 그 전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원형 경관을 새롭게 조명하고, 향후 복원정비에 유용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부용지 인공섬의 석축은 본래 정연하게 가공된 석재를 활용해 바른층쌓기로 조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1960~1970년대의 정비공사 과정에서 부용지 인공섬은 자연석과 가공석이 혼합된 형태로 변형되었다. 부용지 인공섬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은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시설로 대한제국기에도 실존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멸실되었다. 둘째, 오늘날 어수문 좌우에 남아 있는 취병은 2008년 조릿대를 기반으로 재현된 결과물이다. 어수문 취병의 식물 소재를 주목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수종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관련 자료와 정황을 다각적으로 고려하면 적어도 근대기의 어수문 취병은 동관왕묘와 경복궁 건청궁처럼 '향나무'로 제작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주합루 후원은 석계 형태의 구조물 위에 수목이 밀생하지 않은 공간이었다. 주합루 후원의 석계는 비교적 개방된 형태로 관리되면서 주변 건축물을 왕래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에 대규모 식재공사가 이루어지면서 주합루 후원은 화계와 같은 형태로 정비되었고, 다수의 화관목이 식재되어 폐쇄적인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넷째, 규장각과 개유와처럼 서고(書庫) 기능을 가졌던 영화당 남행각은 1900년대 후반 무렵에 멸실되어 본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건축물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사진과 스케치 자료를 토대로 영화당 남행각의 배치축을 확증하고, 형태와 의장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초자료 구축 차원에서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참고한 추정복원도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우진, 심우경(2012).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46-63.
  2. 송석호, 심우경(2016). 창덕궁 후원 부용정(芙蓉亭)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1): 40-52.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40
  3. 백종철, 김용기, 사공영보(2003). 창덕궁 주합루 취병 복원에 따른 화계 정비 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 31-38.
  4. 윤도경, 심우경, 정종수, 최종희(2006). 창덕궁(昌德宮) 주합루(宙合樓)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4(1): 95-103.
  5. 백종철, 김승민, 이종성(2014), 취병(翠屛) 재현을 위한 조성 방법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10-120. https://doi.org/10.14700/KITLA.2014.32.3.110
  6. 정우진, 심우경(2014). 취병의 조성방법과 창덕궁 주합루 취병의 원형규명. 문화재. 47(2): 86-113. https://doi.org/10.22755/KJCHS.2014.47.2.86
  7. 오준영, 이재용(2021).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1): 10-19. https://doi.org/10.14700/KITLA.2021.39.1.010
  8. 최종덕(2011). 건축문화재 보존체계의 관점에서 본 경복궁 복원의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파인아트 뮤지엄 홈페이지. www.mfa.org
  10. 일본 학습원대학 홈페이지. www.gakushuin.ac.jp
  11. 문화재청(2006).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12.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
  13.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14.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www.heritage.go.kr
  15. 경향신문. 1970년 07월 23일자. 韓國의 돌 <34> 庭園石(完).
  16.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동궐도(東闕圖)」.
  17.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아카이브 홈페이지. www. museum.seoul.go.kr
  18. 부산광역시립박물관 소장 사진엽서.
  19. 위스콘신-밀워키대학교 도서관 홈페이지. collections.lib.uwm.edu
  20. 더 헌팅턴 홈페이지. www.huntington.org
  21. 김형석, 정우진, 심우경(2013). 서울 동관왕묘(東關王廟)의 공간구성 및 원형 경관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4): 33-50. https://doi.org/10.14700/KITLA.2013.31.4.033
  22. 민은경 외 26(2020). 18세기의 방: 공간의 욕망과 사생활의 발견. 문학동네.
  23. 강희안 저, 이종묵 역(2012). 양화소록 선비, 꽃과 나무를 벗하다. 아카넷.
  24. 공광성(2016). 고전식물명 '회(檜)'에 관한 고찰. 문화재. 49(4):96-113. https://doi.org/10.22755/KJCHS.2016.49.4.96
  25. 일본 국립국회도서관 홈페이지. dl.ndl.go.jp
  26. 진상철(2015). 동궐도에 보이는 궁궐정원의 조영수법.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4): 26-37. https://doi.org/10.14700/KITLA.2015.33.4.026
  27.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이에기 히로나오(1905). 한국사진첩(韓國寫眞帖). 동경: 박문관.
  28. 국가기록원 소장 일반문서.
  29.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동궐도형(東闕圖形)」.
  30. 하티트러스트 홈페이지. www.hathitrust.org
  31. 콘스탄스 테일러(1904). 「Koreans at Home」. 런던: Limitted, Cassell & Company.
  32.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사진엽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