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rast Sensitivity

검색결과 443건 처리시간 0.02초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mittance of Diffusive Blur 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 양석준;최은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5-362
    • /
    • 2015
  • 목적: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2.83{\pm}0.50$세의 대학생 30명(남 13명, 여 17명)을 대상으로 Optec$^{(R)}$ 6500으로 시력과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확산적 흐림의 도구로 백내장 시뮬레이터용 확산필름을 사용하였고, 백내장의 진행 정도나 안개의 농도가 반영될 수 있도록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을 변화시키면서 측정하였다. 결과: 시력과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은 비례식 $VA(T)=1.84{\times}10^{-2}T-0.65$으로 맞춤되었다. 대비감도는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감소하였는데, 고공간주파수 대역에서의 대비감도가 더 큰 영향을 받아 정상범위를 먼저 벗어났고 대비감도의 정점은 저공간주파수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대비감도함수들의 교차점으로부터 대비감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 및 정점공간주파수의 이동을 산출한 결과, 투과율이 약 78.70%이 되면 대비감도의 정점이 6 cpd에서 3 cpd로 이동하는 것으로, 그리고 약 69.71%이 되면 모든 공간주파수에서의 대비감도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확산적 흐림의 투과율의 감소는 시력의 저하와 더불어 대비감도의 감소, 정상범위의 이탈 및 정점대비감도 이동 등을 유발시켜 시각적 불편함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백내장이나 안개 운전 시에는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Effect of red ginseng on visual function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laucoma

  • Lee, Kwanghyun;Yang, Heon;Kim, Joo Yeon;Choi, Wungrak;Seong, Gong Je;Kim, Chan Yun;Lee, Jun Mo;Bae, Hyoung W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76-682
    • /
    • 2021
  • Background: Red ginseng has been found to improve ocular perfusion and dry eye syndrome in glaucomatous eyes; however, its effects on visual function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have not been investigated. This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d ginseng on visual function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in glaucoma patients using contrast sensitivity and a questionnaire. Methods: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in this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in one group, red ginseng was taken first, followed by a placebo, and in the other, placebo was taken first, followed by red ginseng. We measured and compared changes in contrast sensitivity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two groups. Contrast sensitivity was measured using OPTEC® 6500P, and vision-related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using the 25-item National Eye Institute Visual Function Questionnaire. One-way and two-way repeated measure analyses of variance were used for the comparison. Relationships between respective changes in dry eye syndrome and contrast sensitivity were also analyzed. Results: Daytime contrast sensitivity and ocular pain improv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red ginseng. Nighttime contrast sensitivity was improved in early or moderate glaucoma. Improved contrast sensitivity was not associated with improvement in dry eye syndrome. Conclusion: Red ginseng could improve contrast sensitivity and ocular pain in patients with glaucoma. The mechanism underlying improvement in contrast sensitivity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enhanced retinal perfusion or retinal ganglion cell function, but not dry eye syndrome.

명소시 상태에서 휘도 감소에 따른 대비감도 변화 (Changes of Contrast Sensitivity with Decreasing Luminance in Photopic Conditions)

  • 이은진;윤문주;김수현;양계탁;정주현;김현정;김현일;최은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1-417
    • /
    • 2012
  • 목적: 명소시 상태에서 휘도의 감소에 따른 대비감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FACT 시표를 이용하여 명소시 5단계의 휘도 하에서 63명의 대학생에 대한 대비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측정된 대비감도는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40~10cd/m^2$에서 대비감도의 정점이 6 cpd에서 3 cpd로 이동하는 것으로 관측되었고, 6 cpd와 3 cpd에 대한 가상적인 두 대비감도 직선들의 교점으로부터 정점은 약 $25cd/m^2$일때 6 cpd에서 3 cpd로 이동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휘도가 $120cd/m^2$에서 $10cd/m^2$으로 감소하는 동안, 6 cpd에서 대비감도 손실이 가장 컸지만, 1.5 cpd에서의 대비감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근사적으로 평가된 $25cd/m^2$ 이상의 휘도에서 대비감도는 18<12<1.5<3<6 cpd의 순으로 높았지만, $25cd/m^2$이하의 휘도에서는 18<12<1.5<6<3 cpd의 순으로 높았다. 휘도의 감소에 따른 대비감도의 손실을 대비감도 감소량 및 감소율로도 평가하였다. 대비감도 감소량은 6 cpd에서 가장 컸지만, 감소율은 18 cpd에서 가장 컸다. 결론: 본 연구에서 활용된 평가법이 대비감도 변화를 평가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동적시력과 대비감도의 상관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Kinetic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 심문식;강혜숙;김상현;심현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5-229
    • /
    • 2014
  • 목적: 동적시력(Kinetic visual acuity, KVA),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정지시력(정지시각 Static visual angle, SVA)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 99명(남 51명, 여 48명)을 대상으로 Topcon CV-3000 포롭터를 이용하여 완전교정 후 명소시($100cd/m^2$)상태에서 Vector Vision CSV-1000E를 이용하여 2.5 m 거리에서 대비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KVA 측정장치(KOWA AS-4A)을 이용하여 동적시력을 측정하였다. KVA 정도에 따라, 0.1~0.3 L그룹, 0.31~0.60 M그룹, 0.61 이상을 H그룹으로 분류하고 대비감도, 정지시각, 굴절이상량 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KVA와 대비감도의 상관성은 3 cpd r=0.26, 6 cpd r = 0.48, 12 cpd r=0.38, 18 cpd r=0.47로 저주파수인 3 cpd를 제외하고, 모두 KVA와 SVA의 상관성 r = -0.37 보다 높았다. 주파수별 대비감도는 3, 6, 12, 18 cpd에서 각각 L그룹은 59.41, 92.22, 38.41, 14.39, M그룹은 66.03, 108.78, 53.51, 19.20, H그룹은 70.90, 146.10, 62.90, 25.33이였다. 결론: KVA와 대비감도의 상관성이 SVA보다 높으며, KVA가 높은 경우 저주파수 이외에서는 대체로 대비감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콘택트렌즈와 안경 착용자의 대비감도 비교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Soft Contact Lens Wearers and Spectacle Wearers)

  • 김재민;이민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9-125
    • /
    • 2007
  •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자와 안경 장용자 그리고 정시안의 대비감도를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만 19-26세로 근시 70안과 정시 30안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근시안 그룹은 안경장용자 48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 22안으로 모두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안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공간 대비감도는 EyeView$^{(R)}$ Functional Vision Analysis software가 포함된 Optec 6500 Vision Tester$^{(R)}$ (Stereo Optical. USA)을 이용하여 Photopic (85cd)과 mesopic (3cd) 상태에서 대비 감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안경장용자는 정시안과 비교하여 모든 조건에서 대비감도에서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정시안에 비해 1.5와 12cpd에서 통계적으로 낮은 대비감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대비감도가 낮게 나온 것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각막 병리로 진행하기 전단계에서 나타나는 각막 문제의 증거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비감도 검사는 소프트렌즈 콘택트렌즈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시력교정술 후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 변화 (The Changes in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itivity when Wearing Circle Contact Lenses after the Refractive Surgery)

  • 권기남;박상희;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4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이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서의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40안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30안에 무도수의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후 CGT-1000을 이용하여 대비감도와 눈부심감도를 평가하였으며, 동공크기를 측정하여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와 동공크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경우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고영역대 공간주파수에서는 대비감도의 저하가 나타났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군보다 그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동공크기와 대비감도 변화와의 상관성이 작아졌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에서 상관성이 더 작아졌다. 또한,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은 눈부심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공크기에 따른 눈부심감도의 변화분석에서도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군에서 눈부심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교정술을 받은 각막에서의 써클콘택트렌즈는 각막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시력교정술 후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대비감도가 저하되며 눈부심이 증가되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유발된 광학적 흐림이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uced Dioptric Blur 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 김창진;최은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1-270
    • /
    • 2014
  • 목적: 인위적으로 유발된 광학적 흐림이 원거리 시력과 대비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Optec^{(R)}$ 6500으로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방법: 평균연령 $22.90{\pm}1.92$세의 대학생 31명(남자 16명, 여자 1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완전교정값을 구하였고, 광학적 흐림은 S0.00 D~S+3.00 D(+0.50 D step)까지 시험렌즈를 시험테에 장입하여 검사하였다. 원거리 시력과 대비감도는 $Optec^{(R)}$ 650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검사환경은 명소시 조건하에서 양안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시력은 광학적 흐림의 양이 증가하면 감소되었고, 시력의 감소율(decrease rate)은 점점 작아졌다. 대비감도는 광학적 흐림의 양이 증가하면 모든 공간주파수의 대비감도가 감소되었고, 정점대비감도는 중간 공간주파수(6 cpd)에서 낮은 공간주파수(1.5 cpd)로 이동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시력은 최고시력에서 약 0.77까지 구간에서만 정상적인 대비감도의 정점인 6 cpd의 공간주파수에서 정점을 나타내었다. 결론: 적은 양의 굴절이상을 교정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굴절교정상태이면, 적은 양이라 할지라도 대비감도가 저하되고 비정상적으로 정점대비감도가 이동하여 일상생활에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할 수도 있으므로 항상 주기적인 시력검사와 신중한 안경처방값을 결정하여야 된다고 사료된다.

칼라필터 렌즈에 따른 대비감도의 변화 (Change of Contrast Sensitivity Induced by Tinted Spectacle Lens)

  • 서재명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7-51
    • /
    • 2016
  • 목적: 칼라 필터렌즈를 사용하여 대비감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임상에 필요한 매뉴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시각을 가진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황색, 오렌지색, 녹색 필터렌즈를 사용하여 대비감도를 측정했다. 다섯 개의 공간주파수 2, 4, 6, 8, 10 cpd를 사용하였으며 표적의 노출시간은 33 ms, 233 ms로 설정했다. 결과: 대비감도는 전체적으로 표적의 노출시간이 짧은 33 nm보다 233 ms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순간적인 노출(33 ms)에서 대비감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필터렌즈는 2 cpd에서의 황색(1.75 log unit)이었으나 233 ms에서는 8 cpd에서 필터를 삽입하지 않았을 때(1.85 log unit)가 가장 예민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황색, 오렌지색 간 차이는 서로 근소하여 통계적 의미는 없었다(p>0.64). 결론: 색수차와 산란현상을 감소시켜 시기능을 개선시키는 황색 계열의 필터렌즈는 시기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목적으로 처방이 되고 있다. 필터렌즈를 처방하기에 앞서 cut off 파장을 고려한 필터렌즈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특성과 필터렌즈의 사용 목적을 분명하게 확인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굴절이상도와 조도에 따른 써클콘택트렌즈의 색상 별 대비감도 변화 (The contrast sensitivity change of circle contact lens's color by refraction error and illuminance)

  • 김보연;정미아;이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73-279
    • /
    • 2018
  • 본 연구는 굴절이상도와 조도가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총 16명(남5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비감도는 나안상태, 써클 콘택트렌즈의 색상별, 검사실의 조도에 따라 측정하였다. 조도에 따른 대비감도는 컬러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나안상태보다 감소하였고, 암소시보다 명소시일 때 대비감도가 증가하였다. 브라운과 블랙 두 가지 컬러 콘택트렌즈의 대비감도를 비교하였을 때 블랙보다는 브라운 컬러의 콘택트렌즈에서 대비감도가 높았다. 또한 굴절이상유무에 따른 정시안, 근시안, 근시성난시안 대상자의 대비감도 비교에서 정시안대상자에서 조도에 따른 대비감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컬러콘택트렌즈 착용자들의 충분한 이해와 인식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Foveated Contrast Sensitivity를 이용한 인지품질 기반 비디오 코딩 (Perceptual Quality-based Video Coding with Foveated Contrast Sensitivity)

  • 유지우;심동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68-477
    • /
    • 2014
  • 본 논문은 FCS(foveated contrast sensitivity)를 이용한 인지품질 기반 비디오 코딩 방법을 제안한다. CS(contrast sensitivity)를 이용한 기존의 인지품질 기반 비디오 코딩 방법은 공간주파수에 따라 시각적 인지능력이 달라지는 인간시각체계(HVS, human visual system)의 특징을 이용하여 비디오 압축 시 인지품질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FM(foveated masking)을 이용한 방법에서는 HVS의 중심시(central vision) 와 주변시(peripheral vision)의 차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물리학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DCT(discrete cosine transform)기반 JND(Just-noticeable difference) 모델과 FM이 서로 의존성을 갖고 동시에 고려된 새로운 FCS 모델을 제안하였고, 이를 HM10.0 부호화기에 적용하여 인지품질기반 부호화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방법으로 부호화된 영상은 인지품질 관점에서 동일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평균 10%의 비트율 감소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