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genre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29초

중국 유학생의 한국 드라마 및 오락 프로그램 몰입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User Immersion for Korean Drama and Entertainment Genre Program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마사;전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1-11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TV 드라마에 따른 한국 내 중국 유학생들의 프로그램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유학생들의 몰입도를 살펴보면, 드라마보다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드라마가 이야기 구조와 스타 등장에 의존하는 콘텐츠라면 오락 프로그램은 보다 역동적이며 즐거움의 정도가 높기 때문에 중국 유학생들의 몰입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둘째,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를 성별, 한국어 능력 수준별, 한국 체류 기간별로 구분해서 평균값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로는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한국어 능력 수준이나 오락 프로그램에 대해 한국 체류 기간별 차이는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드라마 몰입도는 한국 체류 기간이 오래될수록 몰입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드라마 몰입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독특성, 한국 체류 기간, 드라마 장르 선호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독특성, 스타 출연, 오락 장르 선호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 홍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02-21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은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화방송의 '일요일 일요일 밤에' 1부에 방송되었던 '우리 결혼했어요'의 텍스트를 1회부터 8회까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프로그램은 가상 부부 생활의 영상과 스튜디오에 등장하는 현실에 존재하는 연예인의 현재성을 병치시킴으로써 가상과 현실을 혼용하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부류의 부부유형을 설정하여, 미션을 통해 각 유형의 연예인 커플들이 실제 부부간에 일어날 수 있는 사랑과 갈등을 보여줌으로써 결혼에 대한 환상과 현실감을 동시에 충족시켜 주면서 수용자와 공감대를 형성해가고 있었다. 한편 공적 공간인 텔레비전에서 출연자들이 사적 감정을 고백함으로써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경계가 해체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물질이나 노력, 제스처, 언어 등 배우자에게 선사하는 크고 작은 감동을 통해 수용자들은 대리만족을 느끼며 즐거움을 고취시켜 오락성을 실현하였다.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에는 진실성, 허구성, 오락성이 혼용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장르적 특성은 경계의 해체와 장르적 모호함을 토대로 수용자에게 소구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논증 구조 교육을 통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글쓰기 분석: 과학 글쓰기 장르에 따른 글쓰기 과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cience Writing by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nstruction: Focus on Writing tasks Based on Genres of Science Writing)

  • 박정은;유은정;이선경;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24-8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한 후 학생의 과학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논증 구조 변화와 과학 개념 및 지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자연계열여학생 중 7명을 선정하여 한 달 동안 총 40시간에 걸쳐 논증 구조 교육을 실시하였다. 논증교육을 실시하기 전과 후 설명, 실험-상세묘사, 논증 등 각각의 과학 장르에 대해 학생들의 글쓰기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장르 모두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설명과 실험-상세 묘사 장르에서는 논증 요소들이 더 다양하고 풍부해질 뿐만 아니라, 과학 개념 및 지식이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으로 변하였다. 논쟁 장르에서도 글의 구조가 단순 논증 구조에서 벗어나 근거를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제시하게 되는 다중 논증 구조나 종속 논증 구조의 형태로 바뀌었으며, 논증 요소들의 종류와 수도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논증 구조를 세우는 과정을 통해 과학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확고히 하게 됨을 의미하며, 체계적인 논증 구조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소비자들의 디지털컨텐츠 선택 요인 : 웹툰을 중심으로 (Factors of Consumer' s Digital Content Selection : Focusing on Web-toon)

  • 오용민;정헌식;부제만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7-23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consumers' selection of web-toon service through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and to provide the strategy of web-toon service. To accomplish this study, theories, existing research and references related to AHP were sufficiently examined and selected the factors in the selection criteria. Surveys from consumers who used the web-toon service were conducted with selected factors. Through thi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HP analysis to find out the weighting values and the differenc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e highest weighting factor in the first layer that consists of web-toon service was cinematic quality. The cinematic qual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election criteria of customers who use the web-toon service regardless of their preferred genre.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weighting value or ranking changed in the second layer by genre. In this study, the effective basis of strategy were suggested by ranking the quantitative selection factors according to the preferred genre of consumers using web-toon services. In addition, This research provide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s, the web-toon service provider can easily recognize and respond to the customer's requirements, which factors are important when the customer selects a specific genre from the web-toon genre.

Multimodal Discourse: A Visual Design Analysis of Two Advertising Images

  • Ly, Tan Hai;Jung, Chae K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1권2호
    • /
    • pp.50-56
    • /
    • 2015
  • The area of discourse analysis has long neglected the value of images as a semiotic resource in communica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like language, images are rich in meaning potential and are governed by visual grammar structures which can be utilized to decode the meanings of images. Employing a theoretical framework in visual communication, two digital images are examined for their representational and interactive dimensions and the dimensions' relation to the magazine advertisement genre. The results show that the framework identified narrative and conceptual processes, relations between participants and viewers, and symbolic attributes of the images, which all contribute to the soci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images. The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viewers and participants suggested in the images signify desirable qualities that may be associated to the product of the advertiser. The findings support the theory of visual grammar and highlight the potential of images to convey multi-layered meanings.

한국 영화 제작의 다양성을 위한 팩션 콘텐츠 활용 연구 (Faction Contents' Practical Study for Korea Film Production's Variety)

  • 한달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93-202
    • /
    • 2009
  • 이 논문은 한국 영화제작의 다양성을 위하여 새로운 영상콘텐츠로 부각되고 있는 팩션장르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팩션 콘텐츠로 활용된 작품들의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픽션과 팩트를 합성한 신조어인 팩션은 범위에 따른 경계방식으로, 역사의 서술방식을 통해 사실에 가깝다면 기록적 역사 서술방식, 허구에 가깝다면 허구적 역사 서술방식으로 나눠진다. 그리고 거시적 역사는 사회적 논란의 소지, 미시적 역사는 개인소송으로 이어지면서 경계의 범위에 따라 개인해석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만들어낸다. 한편 역사와 관련한 영화는 관객들이 이미지만 기억하고 실존하는 역사적 사실을 망각하여 기억의 왜곡이 뒤따르지만, 영화를 통해 역사적 사실을 간접체험으로 대신한다는 점에서 팩션장르의 장르적 가능성과 영화의 매력을 느끼게 해준다. 팩션장르 발전과제 있어서 3가지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첫째, 관객들의 관람인식 변환구조를 통해 관객들의 역사영화 해석능력이 필요하며, 관객들에게 과거와 현재를 연결해주는 역사와의 소통구조가 필요하며, 영화작가의 해석에 따라 관객 인식변화를 좌우하는데 역사우선으로 볼 것인지 허구우선으로 볼 것인지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겠다. 무엇보다 관객들에게 1차적인 영화적 즐거움과 함께 역사적 진실이 공존할 수 있다면 그것이 한국 팩션장르의 매력이자 바람일 것이다.

국내 방송 드라마의 유통 구조 및 창구의 특성 (Distribution Mechanism of TV Dramas and Its Windows)

  • 이문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04-113
    • /
    • 2008
  • 1990년대 중반 케이블 TV의 등장과 함께 국내에도 방송 유통 시장이 형성되면서 최고의 유통 상품으로 떠오르게 된 TV 드라마는 그 후 비디오 플랫폼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08년 현재까지 가장 선호되는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는 IP-TV를 비롯한 인터넷 유통으로 또 하나의 유통 창구를 확보하게 된 방송 드라마를 중심으로 부가수익 창출 구조를 살펴보고 유통 창구들의 특성 및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2000년 이후 방송 드라마 유통의 최고 수익 처는 해외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온라인 유통이 활성화 되면서 드라마 판매가 더욱 활기를 띄고 있다. 이와 같은 창구 유통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포맷 판매와 리메이크 등 다양한 유통 방식의 변화가 목격됨으로써 유통 메커니즘의 새로운 변화로 여겨지고 있다.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방송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Shot Clip on the Broadcasting Viewing Intention)

  • 조석현;이현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45-6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이 VOD 구매의도와 본방송 시청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방송클립동영상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동기와 이용시간, 이용시점, 장르, 이용패턴 등의 이용경험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방송클립동영상 이용동기 변인에서는 대인관계와 전체방송 대비이점이 높을수록, 방송클립동영상 이용경험 변인에서는 교육 장르, 게시된 영상보기, 게시된 영상 공유 및 추천을 이용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VOD를 구매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송클립동영상 이용동기 변인에서는 이용유연성이 높을수록, 방송클립동영상 이용경험 변인에서는 드라마/영화 장르와 게시된 영상에 대한 댓글 읽기 및 작성 등과 같은 이용이 높을수록 본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20년대 영화소설의 이미지 텍스트 연구 (The Theory of the Image of the "Cinema-novel" in 1920s)

  • 공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501-514
    • /
    • 2017
  • 1920년대 영화소설은 영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매체효과를 활용해 구성된 서사물이며, 독서 과정에서 끊임없이 영화의 이미지를 환기할 수 있도록 고안된다. 영화 매체의 흥행과 함께 나타난 이 독특한 장르의 형성과 발전 과정에는 근대적인 예술매체의 형식을 고민하고, 그에 걸맞는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1920년대 예술의 시대적인 특성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본고는 혼종의 매체 시대, 파격적인 장르 실험의 한 사례로서 '영화소설'에 주목하고, 영화소설이 어떻게 하나의 장르로서 수렴해갔는지 살피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이 과정에서 영화, 소설, 사진, 그리고 삽화가 결합된 융합 텍스트의 미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일은, 본고의 중요한 목표가 될 것이다.

융합시대의 스타콘텐츠 발굴 및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ision and Selection of the Star Contents in the Convergence Era)

  • 임명환;박용재;허필선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8권2호
    • /
    • pp.1-21
    • /
    • 2011
  • In this era of convergenc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integration and combination of technology and industrie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offline and online, and devices and services, the content industry is also experiencing rapid changes including inter-genre exchange, the creation of new industries, and customized demand. Specifically, IT-based digital content industries such as the online game, e-book, mobile contents and web portal industries are no longer restricted to the boundaries of video, music and games but are being expanded into the realms of education, medicine, fashion and sports thanks to CT innovation of 3D, CG, AR/VR, VFX, etc. As such, various countries have come to recognize the convergent content industry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pick up where the IT industry left off, and are forming policies for its development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to optimize the system of content taxonomy which is currently genre-focused and unable to suppor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nvergence, and to discover and select star contents to be rigorously developed with governmental support. In this paper, 20 star contents in 8 areas were selected, and these are expected to create tremendous cultural and economic value through ongoing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