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

  • 홍숙영 (한세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 Published : 2010.0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t clarifying what the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programs are. For this, the tests of 'We Are Married' being broadcasted in 'Sunday, Sunday Night' Part 1 of MBC from episode 1 to 8.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program was mixing together virtuality and reality by placing the image of virtual couple's life and presentness of entertainers existing in reality appearing at the studio. Also, it was forming sympathy with users as it satisfies fantasy and sense of reality toward marriage by the entertainer couples showing love and conflict that may happen between real couples after setting various categories of couple types. Also, through the device for the public space to confess private feelings through television, it shows the boundary between public domain and private domain breaking up. Along with this, it has implemented amusement characteristics by inspiring enjoyment of users by a substituted satisfaction through various forms of impressions presented to spouse such as materials, effort, gesture or language, etc. Accordingly, the virtual reality program shows authenticity, fiction and amusement by being mixed together and we can see that such genre oriented characteristics act as important strategy appealing to users based on breakup of boundary and genre oriented ambiguity.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장르적 특성은 무엇인지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화방송의 '일요일 일요일 밤에' 1부에 방송되었던 '우리 결혼했어요'의 텍스트를 1회부터 8회까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프로그램은 가상 부부 생활의 영상과 스튜디오에 등장하는 현실에 존재하는 연예인의 현재성을 병치시킴으로써 가상과 현실을 혼용하고 있었다. 또한 다양한 부류의 부부유형을 설정하여, 미션을 통해 각 유형의 연예인 커플들이 실제 부부간에 일어날 수 있는 사랑과 갈등을 보여줌으로써 결혼에 대한 환상과 현실감을 동시에 충족시켜 주면서 수용자와 공감대를 형성해가고 있었다. 한편 공적 공간인 텔레비전에서 출연자들이 사적 감정을 고백함으로써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경계가 해체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물질이나 노력, 제스처, 언어 등 배우자에게 선사하는 크고 작은 감동을 통해 수용자들은 대리만족을 느끼며 즐거움을 고취시켜 오락성을 실현하였다. 가상 리얼리티 프로그램에는 진실성, 허구성, 오락성이 혼용되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장르적 특성은 경계의 해체와 장르적 모호함을 토대로 수용자에게 소구하는 중요한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주영, “좌충우돌- 아옹다옹- 각본 없다, 그래서 재미있다”, 경향닷컴, 2008.07.25.
  2. 조은별, “PD가 말하는 ‘우리 결혼했어요’의 진실 혹은 거짓”. 노컷뉴스, 2008.07.09.
  3. 윤고은, ‘너도나도 연예인 리얼리티쇼, 진짜 '리얼'맞아?’, 연합뉴스, 2008.07.13.
  4. 박주연,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 한국언론재단, 2005.
  5. Jost, Francois, Introduction a l'analyse de la television, Ellipses edition marketing S.A., 1999.
  6. 김훈순, 김은정, “한국 멜로영화의 장르연구 : 관습의 반복과 변형”, 한국방송학보, 제14권 제 1호, pp.113-154, 2000.
  7. 주창윤, “역사드라마의 역사서술방식과 장르형성”,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1호, pp.166-189, 2004.
  8. Lacey, Nick.:Narrative and genre Key concepts in media studies, MacMillan Press Ltd., 2000.
  9. Baudrillard, Jean., 하태환 역, 시뮬라시옹, 민음사, 2001.
  10.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16권, 제1호, pp.257-280, 2004.
  11. Rieffel and Remy, Que sont les medias? Pratiques, identites, influences, Gallimard, 2005.
  12. 김소민. “현실과 가상의 경계”, 한겨레신문, 2008. 04. 30.
  13. 김미라,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재미 유발 기제에 관한 연구”, 방송 연구, 제67호, pp.143-168.
  14. 천선영, “‘공개고백성사'의 시대친밀성과 내밀성의 대중적 생산과 소비에 대한 사회이론적 이해”,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0호, pp.37-70, 2008.
  15. 이종수, TV리얼리티, 뉴스, 리얼리티 쇼의 현실 구성, 한나래, 2004.
  16. 필립 아리에스, 조르주 뒤비, 김기림 역, 사생활의 역사 , 새물결, 2006.
  17. 전규찬, 박근서,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 한울 아카데미, 2003.

Cited by

  1. Influence of Personality Types on Ttelevision Contents Preference vol.11, pp.12,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230
  2. Genre-specific Cultivation Effects of TV Programs: Cultivating Viewers' Citizenship and Value Attitudes vol.13,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150
  3. Evolution of Entertainment Program Format vol.15, pp.1,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1.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