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fidence term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4초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 교량의 시간에 따른 변형의 확률 해석 및 민감도 해석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ime-Dependent Deformation in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Bridges)

  • 오병환;양인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49-159
    • /
    • 1998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 교량의 장기거동의 정확한 예측은 시공중 및 완공후의 사용성 확보를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장기거동은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등의 확률특성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교량에서의 크리프와 건조수축효과의 불확실성 및 민감도 해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콘크리트의 크리프와 건조수축효과의 불확실성은 입력이자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불확실성 및 민감도 해석은 Latin Hypercube 샘플링 기법에 의해 수행하며, 각 샘플에 대하여 시간 의존적 구조해석을 하여 그 결과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입력인자의 구조해석 결과에 대한 민감도를 정량화 하기 위하여 3가지 즉, RCC, PRCC 와 SRCC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민감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현재, 주로 교량설계시 사용되는 ACI모델, CEB-FIP모델과 도로교 표준시방서 모델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결과 크리프 모델 자체의 불확실성과 상대습도가 시간에 따른 변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를 도출하는 합리적인 해석기법을 정립하였으며, 이로부터 좀 더 합리적인 모델정립에 유용한 토대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Leukoaraiosi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Related to Long-Term Poor Functional Outcome after Thrombolysis in Acute Ischemic Stroke

  • Choi, Jae-Hyung;Bae, Hyo-Jin;Cha, Jae-Kwa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0권2호
    • /
    • pp.75-80
    • /
    • 2011
  • Objective : Leukoaraiosis (LA) has been suggested to be related to the poor outcome or the occurrence of symptomatic intracerebral hemorrhage (sICH) after acute ischemic stroke. We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LA on long-term outcome and the occurrence of sICH after thrombolysis in acute ischemic stroke (AIS). Methods : In this study, we recruited 164 patients with AIS and magnetic resonance image (MRI)-detected thrombolysis. The presence and extent of LA were assessed using the Fazekas grading system.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score was used to assess the baseline measure of neurologic severity, and the modified Rankin Scale score assessment was used up to 1 year after thrombolysis. Results : Of 164 subjects, 56 (34.2%) showed LA on MRI. Compared to the 108 patients without LA, the patients with LA were of much older age (p<0.01), had a high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p<0.01), and had a much poorer outcome at 90 days (p=0.05) and 1 yr (p=0.01) after thrombo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CH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LA on MRI. In univariate analysis for the occurrence of poor outcome at 90 days after thrombolysis, the size of ischemic lesion on diffusion weighted images (DWI), [odds ratio (OR), 1.03;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1.01-1.04; p<0.01], recanalization (OR, 0.03; 95% CI, 0.01-0.10; p<0.01), sICH (OR, 12.2; 95% CI, 1.54-95.8), neurologic severity (OR, 1.17; 95% CI, 1.09-1.25; p<0.01), blood glucose level (OR, 1.01; 95% CI, 1.00-1.02; p=0.03), and the presence of LA on MRI (OR, 2.01; 95% CI, 1.04-3.01; p=0.0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neurologic severity (OR, 1.14; 95% CI, 1.04-1.24; p<0.01), recanalization (OR, 0.03; 95% CI, 0.01-0.11; p<0.01), lesion size on DWI (OR, 1.02; 95% CI, 1.01-1.03; p=0.02), serum glucose level (OR, 1.01; 95% CI; 1.01-1.02; p=0.03), and the presence of LA on MRI (OR, 3.2; 95% CI, 1.22-8.48;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trends persisted up to 1 yr after thrombolysi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the presence of LA on MRI might be related to poor outcome after use of intravenous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in AI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leep Duration With All-cause and Disease-specific Mortality in the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Study

  • Yeo, Yohwan;Ma, Seung Hyun;Park, Sue Kyung;Chang, Soung-Hoon;Shin, Hai-Rim;Kang, Daehee;Yoo, Keun-Youn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6권5호
    • /
    • pp.271-281
    • /
    • 2013
  • Objectives: Emerging evidence indicates that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health outcomes. However, the relationship of sleep duration with long-term health is unclear.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sleep duration with mortality as a parameter for long-term health in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in Korea.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13 164 participants aged over 20 years from the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study. Information on sleep duration was obtain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terview. The hazard ratios (H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mortality were estimated using a Cox regression model.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mortality was examined non-parametrically using restricted cubic splines. Results: The HRs for all-cause mortality showed a U-shape, with the lowest point at sleep duration of 7 to 8 hours. There was an increased risk of death among persons with sleep duration of ${\leq}5$ hours (HR, 1.21; 95% CI, 1.03 to 1.41) and of ${\geq}10$ hours (HR, 1.36; 95% CI, 1.07 to 1.72). In stratified analysis, this relationship of HR was seen in women and in participants aged ${\geq}60$ years.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pecific mortality was associated with a sleep duration of ${\leq}5$ hours (HR, 1.40; 95% CI, 1.02 to 1.93). Risk of death from respiratory disease was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at both extremes (${\leq}5$ and ${\geq}10$ hours). Conclusions: Sleep durations of 7 to 8 hours may be recommended to the public for a general healthy lifestyle in Korea.

악취측정용 10 μmol/mol 황화수소 표준가스 개발 (Development of 10 μmol/mol Hydrogen Sulfide Primary Standard Gas for Odor Measurements)

  • 김용두;배현길;김달호;오상협;이진홍;이상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6-51
    • /
    • 2018
  • 산업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자연 대기에서 악취를 유발하는 매우 적은 양의 황화수소가 존재합니다. 매립 및 하폐수처리장에서 나오는 황화수소 성분은 대기에 존재하므로 많은 민원이 발생됩니다. 민원이 발생하는 악취가스를 측정하기 위해 $10{\mu}mol/mol$ 농도 수준의 황화수소 인증표준물질(Certified reference material)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질소 안에 $10{\mu}mol/mol$ 수준의 황화수소 가스 제조는 ISO 6142에 의한 중량법을 사용하였다. 4 개의 알루미늄 실린더에 가스 CRM을 제조하고 GC-AED로 그 농도를 확인했습니다. 제조의 불확도는 0.50 % 미만이었고, 제조일치성은 0.22 %이었다. 실린더의 내부 흡착은 1500 psi에서 0.10 %이었고 1 년 동안 장기간 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황화수소 CRM의 제조 일치성, 실린더의 흡착 및 장기 안정성에 대한 상대 확장불확도는 1.05 %(신뢰도 95 %, k = 2) 이내로 개발되었다.

Temporal Change in Radiological Environments on Land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Saito, Kimiaki;Mikami, Satoshi;Andoh, Masaki;Matsuda, Norihiro;Kinase, Sakae;Tsuda, Shuichi;Sato, Tetsuro;Seki, Akiyuki;Sanada, Yukihisa;Wainwright-Murakami, Haruko;Yoshimura, Kazuya;Takemiya, Hiroshi;Takahashi, Junko;Kato, Hiroaki;Onda, Yuich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128-148
    • /
    • 2019
  • Massive environmental monitoring has been conducted continuously since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accident in March of 2011 by different monitoring methods that have different features together with migration studies of radiocesium in diverse environments. These results have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radiological environments and their temporal change around the Fukushima site. At three months after the accident, multiple radionuclides including radiostrontium and plutonium were detected in many loca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radiocesium was most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long-term exposure. Radiation levels around the Fukushima site have decreased greatly over time. The decreasing trend was found to change variously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The air dose rates in environments related to human living have decreased faster than expected from radioactive decay by a factor of 2-3 on average; those in pure forest have decreased more closely to physical decay. The main causes of air dose rate reduction were judged to be radioactive decay, movement of radiocesium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decontamination. Land-use categories and human activities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duction tendency. Difference in the air dose rate reduction trends can be explained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knowledge obtained in radiocesium migration studies; whereas, the quantitative explanation for individual sites is an important future challenge. The ecological half-lives of air dose rates have been evaluated by several researchers, and a short-term half-life within 1 year was commonly observed in the studies. An empirical model for predicting air dose rate distribution was developed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an extensive car-borne survey dataset, which enabled the prediction with confidence intervals. Different types of contamination maps were integrated to better quantify the spatial data. The obtained data were used for extended studies such as for identifying the main reactor that caused the contamination of arbitrary regions and developing standard procedures for environmental measurement and sampling. Annual external exposure doses for residents who intended to return to their homes were estimated as within a few millisieverts. Different forms of environmental data and knowledge have been provided for wide spectrum of people. Diverse aspects of lessons learned from the Fukushima accident, including practical ones, must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Adjuvant Oral Capecitabine plus Intravenous Oxaliplatin (XELOX) in Asia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4-Year Analysis

  • Chiu, Joanne;Tang, Vikki;Leung, Roland;Wong, Hilda;Chu, Kin Wah;Poon, Jensen;Epstein, Richard J.;Yau, Thoma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585-6590
    • /
    • 2013
  • Background: Although FOLFOX (infusional fluorouracil/leucovorin plus oxaliplatin) is established as a standard chemotherapeutic regimen, the long term efficacy of adjuvant XELOX (oral capecitabine plus intravenous oxaliplatin) in Asian colorectal cancer (CRC) patients remains anecdotal. Moreover, uncertainties persist as to whether pharmacogenetic differences in Asian populations preclude equally tolerable and effective administration of these drugs. Method: One hundred consecutive patients with resected colorectal cancer received adjuvant XELOX (oxaliplatin 130 $mg/m^2$ on day 1 plus capecitabine 900 $mg/m^2$ twice daily on day 1 to 14 every 3 weeks for 8 cycles) at Queen Mary Hospital, Hong Kong. Endpoints monitored during follow-up were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disease recurrence, overall survival (OS) and adverse events (AEs). Results: The median patient age was 56 years, 56% were diagnosed with rectal cancer and 44% with colonic cancer. After a median follow-up of 4.3 years (95% confidence interval, 3.2-4.7), 24 recurrences were confirmed including 13 patients who died due to progressive disease. Four-year DFS was 81% in colon cancer patients and 67% in rectal cancer patients (p=0.06 by log-rank test). For the cohort as a whole, OS was 90% at 3 years and 84% at 5 years. Treatment-related AEs led to early withdrawal in four patients. The commonest non-hematological AEs were neuropathy (91%), hand-foot syndrome (49%) and diarrhea (46%), while the commonest grade 3/4 AEs were neutropenia (11%) and diarrhea (10%).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 the favourable long term survival benefit with good tolerability in using adjuvant XELOX in treating East Asian colorectal cancer patients.

아이소프렌 일차표준가스의 제조 및 특성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imary gas standards for isoprene)

  • 김태수;강철호;김용두;이승호;김달호
    • 분석과학
    • /
    • 제27권6호
    • /
    • pp.357-363
    • /
    • 2014
  • 아이소프렌은 자연기원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BVOCs) 중의 하나로 대류권 오존 생성 및 포름알데히드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이소프렌은 호흡가스에 포함된 미량 성분으로 폐암과 같은 질병의 진단마커로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대기 중 아이소프렌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신뢰성 있는 가스 표준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이소프렌 측정용 일차표준가스의 개발을 위해 중량법에 의한 제조 및 특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독립적으로 제조한 일차표준가스들의 농도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불꽃이온화검출기(GC-FID)로 비교하여 0.01%의 순도를 포함한 중량법에 의한 제조 불확도와 0.08% 수준의 제조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제조한 일차표준가스는 14개월간 동안 1.3% 수준의 안정성을 보였다. 원료의 순도, 질량측정(질량값), 제조 재현성, 흡착성 및 장기 안정성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한 $10{\mu}mol/mol$ 수준 아이소프렌 일차표준가스 인증값의 상대 확장불확도는 2.8%(95%의 신뢰수준, k=1.96)이었다.

연간 최대해일고 변동의 일반화 극치분포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to the Variation of Annual Maximum Surge Heights)

  • 권석재;박정수;이은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41-253
    • /
    • 2009
  • 기상변화로 인한 해일고의 장기간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수와 통영 조위관측소의 30년 이상의 해수면자료를 이용하여 해일고를 추출하고 연간 최대해일고의 변동경향 및 상위해일고의 기본특성 고찰과 연간최대해일고의 통계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선형회귀에 의한 연간 최대해일고의 증가율은 여수와 통영에서 각각 약 34.5 cm/34 yr와 33.6 cm/31 yr로 동해안 속초와 묵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두 지역에서 최대해일고는 각각 71%와 68%가 태풍 시기에 관측되었으며, 해일고가 높을수록 태풍에 의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 해일고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시간 경향을 고려한 일반화 극치분포를 이용하여 이뤄졌다. 또한 검블 분포도 고려하였는데, 어떤 분포가 더 적합한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우도비 검정을 실시하였다. 미래에 대한 통계적 예측방법을 위하여 리턴레벨과 90%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일고의 변동 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 및 예측을 통해 강화된 태풍에 의한 해일피해를 경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남대학교 리더십 학습성과 교육 CQI 방안에 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for Leadership Outcomes Education in Yeungnam University)

  • 편경희;송동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64-72
    • /
    • 2009
  • 본 연구는 공학교육인증제 운영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습성과 중 리더십 교육과 관련한 CQI 방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리더십 교육과 관련된 영남대학교의 사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리더십 교육과 관련된 영남대학교의 교과 및 교과 외 교육과정 분석, 리더십 교육 CQI 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가 및 유관 기관 실무자 포커스그룹 면담이 실시되었다. 또한 리더십 캠프 참가자를 대상으로 리더십 역량진단, 리더십 교육 수요 조사, 캠프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리더십 캠프진행을 주관한 데일 카네기 연구소 대구지부의 전문 강사들과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고 캠프 기간 동안 비참여관찰법을 통한 내용분석과 질적 면접이 병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수준의 수학능력 향상방안과 심리적 차원의 역량강화 방안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지방대학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외국어 능력 향상과 자신감 및 비전 수립을 위한 교육에 역점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일회성의 단기 리더십 세미나 및 팀 티칭 형태의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서 설계교과목 이수체계도를 활용한 중장기 교육계획 수립 및 리더십 캠프 참가 경험이 있는 학생과 차기 캠프 참가자들간의 멘토-멘티제 운영이 고려될 수 있다. 셋째, 리더십 교육에 역점을 두는 전공, 학과 및 교내외 유관기관 관계자들로 구성된 리더십 교육 자문위원회를 구성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리더십 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속초와 묵호항의 연간 최대해일고의 장기간 변동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Long-Term Variations of Annual Maximum Surge Heights at Sokcho and Mukho Harbors)

  • 권석재;문일주;이은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64-574
    • /
    • 2008
  • 지구온난화로 야기되는 태풍강화 등의 기상변화로 인한 해일고의 장기간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해 속초와 묵호 조위관측소의 34년간($1974{\sim}2007$) 해수면자료를 이용하여 연간 최대해일고의 변동경향 및 상위해일고의 기본특성을 고찰하였다. 선형회귀에 의한 연간 최대해일고의 증가율은 속초와 묵호에서 각각 약 8.3 cm/34yr와 8.7 cm/34yr로 95% 신뢰구간에서 해일고의 증가추세가 뚜렷이 나타났다. 두 지역에서 최대해일고는 53%가 태풍 시기에 관측되었으며, 해일고가 높을수록 태풍에 의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속초와 묵호에서 최대해일고가 증가하는 이유는 열대해역의 수온증가와 이로 인한 전 지구적인 태풍과 한반도 영향 태풍의 활동 강화가 그 원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강화된 태풍에 의한 해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연안의 해일고의 변동 특성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