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ntration of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1초

Research on the Impact of Logistics Industry Efficiency and Agglomeration Effect on Import and Export Trade in Korea

  • Cheng, Wen-Si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5호
    • /
    • pp.93-109
    • /
    • 2021
  • Purpose - The logistics industry is often featured by its location relevance and industrial concentration. Industrial concentration is conducive to the effectiv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y reducing transaction costs and improving transaction efficiency, thus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rad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spatial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location quoti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and to study the impact of the logistics industry efficiency and agglomeration effect on import and export trade in Korea. Design/methodology - First, used the spatial stochastic frontier method to measure the spatial total factor productivity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this serves as the efficiency index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various regions of Korea. Second, calculated the location quotient (LQ) of the logistics industry to measure the industry's concentration degree. Third, employed a spatial econometric model to analyze the impacts of factors such as the efficiency and concentration levels of the logistics industry on import and export trade in Korea. Findings - This study's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found that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needs to be improved, even though it showed an upward trend in all regions of the country; Moreover, the agglomeration level of Korea's logistics industry needs to be improved; Finally, the positive spatial correlation and industrial agglomeration effect of Korea's logistics industry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country's import and export trade. Originality/value - This study is innovative in terms of research perspective and method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measured the development level of the logistics industry using 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LPI), Fewer studies have assessed through the spatial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location quoti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Korea to measure the efficiency index of the logistics industry in various regions of Korea and concentration degree, as well as there was almost no study on the impact of logistics industry efficiency and agglomeration effect on import and export trade in Korea. This study addresses this limitation by analyzing the impacts of the efficiency and agglomeration effect of the logistics industry on import and export trade in Korea.

GOSAT을 활용한 이산화탄소 분포 특성 분석 : 동북아시아를 사례로 (Analysis of CO2 Distribution Properties Using GOSAT : a Case Study of North-East Asia)

  • 최진호;엄정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5-9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GOSAT으로부터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와 이산화탄소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피복, 식생지수 등을 GIS 공간분석기법과 연계하여 동북아시아 지역 이산화탄소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이산화탄소의 공간적 분포는 그 주변지역의 토지이용현황에 따라 그 패턴을 달리한다는 사실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산화탄소는 도시와 같은 개발지에서 높은 농도대를 형성하는 반면 산림지역에서는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산화탄소와 식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온실가스 저감 대책 및 완화를 위한 계획 수립에 있어 그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베리오그램 최적화 기반의 정규크리깅을 이용한 전국 에어코리아 PM10 자료의 일평균 격자지도화 및 내삽정확도 검증 (Kriging of Daily PM10 Concentration from the Air Korea Stations Nationwide and the Accuracy Assessment)

  • 정예민;조수빈;윤유정;김서연;김근아;강종구;이달근;정욱;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9-394
    • /
    • 2021
  •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전국 에어코리아(Air Korea) 측정소의 대기오염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포인트 기반의 미세먼지 농도 자료에 대한 격자지도화 가능성을 보여준 바 있으나, 측정소가 밀집된 특정 도시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의 PM10 일평균 격자 지도를 산출하기 위해서, 전국 333개 에어코리아 측정소 자료를 활용하여 베리오그램 최적화 기반의 정규크리깅을 수행하고, 검증지점의 공간적인 과밀(too dense) 및 과소(too sparse)를 방지하기 위하여 검증지점의 위치에 따른 선별적 임의추출을 통한 암맹평가를 실시하였다. 114,745건의 데이터로부터 365일 각각 다른 검증지점을 추출하는 암맹평가를 4회에 걸쳐 수행한 결과, MAE=5.697 ㎍/m3, CC=0.947의 정확도 통계량이 산출되어, 매우 효과적인 공간내삽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M10 고농도 사례(나쁨 및 매우 나쁨)로 분류된 1,500건 이상에 대해서도 MAE=11~12 ㎍/m3, CC=0.870~873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본 연구의 방법론이 다양한 상황에 적용가능함을 의미한다. 2019년 365일에 대해 산출된 0.05° 해상도의 일평균 PM10 격자지도는 자연스러운 공간분포를 나타내는 것이 시각적으로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PM10 농도의 격자지도는 향후의 연구에서 익일 PM10 농도의 격자예측을 위한 입력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IS 기법을 활용한 대기오염관리에 관한 연구(I)-서울시 VOCs 오염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Using GIS Method(I)-Focus on VOCs concentration of Seoul-)

  • 박기학;조성준;유영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0-107
    • /
    • 2001
  • On the planning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air pollution display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spatial pollutant concentration status.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using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echnology on the air pollution control and management which were computer-based systems that were used to store and manipulate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macro city. In this study 137 samples were corrected by passive samplers and analysed by GC/MSD for 16 VOCs in Seoul (25 distincts) distributed by TM-coordinate(2 km$\times$2km), and finally displayed by Arciew program(version 3.2, ESRI Inc, USA) for windows. The concentration of benzene and toluene showed high level in whole area of seoul area of Seoul and distribution of butylbenzen, trothroloetylene, stylen showed high level in whole area of Seoul except a few distincts and the distribution of isopropylbenzene, 1,2-dichroloethane showed higher level in core area than that of Kangnam and Kangbuk area. In conclusion, products of this study of using GIS technology appl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OCs concentration was very effective than that of other methods(e.g., contouring concentration method, pie or column chart, graduated symbols), especially in mapping and symbolization of pollution status evaluation.

  • PDF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밤, 떫은감,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 (Study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Non-timber Forest Products - Focusing on Chestnut, Astringent Persimmon, and Oak Mushroom -)

  • 김원경;이정민;권순덕;전준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3-85
    • /
    • 2016
  • 목재생산과 임산물은 다른 산업의 생산품에 비해 장기적인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낮은 수익성을 가지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산림경영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기소득임산물은 임업인들에게 안정적 소득원 확보를 위한 주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연구들은 효율적인 생산과 경제성 분석에 초점을 맞추며, 양적인 측면을 고려한 소득증대 및 유통구조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의 양적인 집중과 함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집중지수 및 입지계수와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2001년, 2007년, 2014년의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의 지역적 집중과 분산의 형태, 공간분포 변화의 추이를 파악하였다. 밤은 집중지수와 입지계수 분석 결과 2014년이 비교적 전국적인 측면에서 매우 집중된 형태를 보였지만,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통해서는 공간적 분포의 집중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떫은감과 표고버섯의 경우 집중지수에서는 떫은감이 좀 더 집중된 형태를 보이지만 Moran's I의 분석 결과에서는 오히려 표고버섯이 공간적 분포에서 집중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집중지수와 입지계수를 통해서 특정지역에 대한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의 집중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패턴이 공간상에서의 집중을 의미하지는 않음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임산물의 유통구조 분석 및 집약적 생산의 측면을 고려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분포에 대한 고찰도 필요할 것이다.

정보화 차원의 사회 ${\cdot}$ 문화 발전 수준에 대한 공간 분석 (A Spatial Analysis on the Socio-Cultural Level of Informatization Aspects)

  • 유영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29-541
    • /
    • 1996
  • 본 연구는 첫째 정보화의 진전 초기에는 정보화 현상의 공간적 집중화가 이루어지며, 둘째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복지적 차원의 지역간 격차보다 앞으로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상당히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화 차원의 지역간 격차가 클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화 차원의 사회.문화 발전 수준은 서울과 다른 지역간에 격차가 상당히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서울 및 수도권으로의 집중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나타나는 지역에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역경제의 자족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복지수준과 정보화 수준의 지역간 격차를 비교한 결과 정보화 수준이 복지수준의 격차에 비해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 동안의 경제발전에 의해 나타난 지역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도입된 정보화는 하부구조가 잘 갖추어진 대도시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지역간 격차를 더욱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이런 지역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자치정부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지역정보화 정책이 필요하다.

  • PDF

공간보간법을 이용한 전라북도 서해안 지역의 지하수 염소이온 분석 (The Analysis of Chloride Ion of Ground Water in the West Coast District of Jeollabuk-Do using Spatial Interpolation)

  • 이근상;임동길;최연웅;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보간법을 이용하여 전라북도 서해안지역의 지하수관정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하였다. 특히 해수침투를 평가하기 위해 지하수관정중 검정점을 지정하였으며, 역거리가중치, 스플라인 그리고 크리깅 보간법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의 오차특성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으로서 첫째, 485개 지하수 관정의 염소이온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 보간법의 오차특성을 분석한 결과 IDW 방법이 해수침투에 의한 염소이온 농도를 추정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지역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를 분석한 결과, 군산시가 $541mg/{\ell}$로서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김제시와 고창군은 먹는물 수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안군은 $272mg/{\ell}$로서 먹는물 수질기준에 약간 미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행정구역별 분석에서 군산시는 서해안에 접해 있는 대명동, 중동, 장재동, 금암동의 평균 염소이온 농도가 매우 높게 분석 되었으며, 만경강과 접해 있는 회현면과 대야면도 공업용수 수질기준에도 미달하는 등 전반적으로 해수침투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모형을 이용한 수질오염물질의 공간적 예측 및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Prediction of Water Quality Constituents Using Spatial Model)

  • 강태구;이혁;강일석;허태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09-417
    • /
    • 2014
  • Spatial prediction methods have been useful to determine the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in space and time due to difficulties in collecting spatial data across extensive spaces such as watershed. This study compares two kriging methods in predicting BOD concentration on the unmonitored sites in the Geum River Watershed and to assess its predictive performance by leave-one-out cross validat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cokriging method can make better predictions of BOD concentration than ordinary kriging method across the Geum River Watershed. Challenges for the application of cokriging on the spatial prediction of surface water quality involve the comparison of network-distance-based relationship and euclidean-distance-based relationship for the improvement in the predictive performance.

GOSAT과 안면도 지상 관측소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상관성 분석 (Cross-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OSAT and CO2 Concentration Observed by the KGAWC Station)

  • 최진호;주승민;엄정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16
    • /
    • 2014
  • GOSAT 위성 신호와 한반도 서해안에 위치한 안면도 지상관측소 이산화탄소 관측값을 비교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GOSAT과 안면도 지상관측소의 관측값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R^2$ 값은 0.49로 비교적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있었다. 계절별 상관 분석 결과에서 여름과 가을($R^2=0.62$)에 강한 양의 상관계가가 나타나는 반면 봄과 겨울($R^2=0.37$)에는 보통의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여름과 겨울이 좀 더 계절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었다. 분석 기간(2009.6-2012.12) 중 GOSAT 이산화탄소 관측값이 지상관측소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나고 있어 (평균 -6.31ppm), GOSAT 위성신호가 이산화탄소 농도를 지상관측소 측정 결과에 비해 과소평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안면도와 제주 고산에 한정되어 있는 한반도의 이산화탄소 지상관측소의 시공간적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GOSAT 위성의 활용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식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 분석 (Spatial Distribution of Knowledge-Information Occupations)

  • 조동기
    • 한국인구학
    • /
    • 제26권2호
    • /
    • pp.175-195
    • /
    • 2003
  •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사회변동의 주요 동인의 하나를 지식정보화라고 전제하구 지식의 창조와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지식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분석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제시하고 있다. 1995년 및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가지고 분석해 본 결과 한국 사회에서 관료제화 및 지식정보화가 지역별로 불균등하게 진행됨에 따라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및 그 주변에서는 지식정보직업군이라 할 수 있는 전문ㆍ기술직과 관리ㆍ행정직의 비중이 높아지는 반면에, 나머지 지역은 여전히 전통적인 직업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포의 불균형은 대도시 내부에서도 나타났는데, 서울의 경우 지식정보직업군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로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분포의 이러한 공간적 불균형은 산업사회의 전형적인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지식정보화에 따라 쉽게 반전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사회경제적인 활용에 대한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지역적 불균형이나 양극화는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