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Non-timber Forest Products - Focusing on Chestnut, Astringent Persimmon, and Oak Mushroom -

주요 단기소득임산물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밤, 떫은감, 표고버섯을 대상으로 -

  • KIM, Won-Kyung (Forest Economics and Management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LEE, Jung-Min (Forest Economics and Management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KWON, Soon-Duk (Forest Economics and Management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JEON, Jun-Heon (Forest Economics and Management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김원경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이정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권순덕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 전준헌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Received : 2016.03.28
  • Accepted : 2016.04.19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Systematic and efficient forestry management is required because of the long-term low profitability of timber production and forest products. In this situation, non-timber forest products can be the solution to secure stable sources of income for workers in the forestry field.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for non-timber forest products focus on effective production and economic analysis and provide plans for increasing the income and improving the marketing system.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as well as quantitative concentra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regional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ion in 2001, 2007, and 2014 using the coefficient of localization(CL) and location quotient(LQ) and investigated th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 using spatial statistics. The production of chestnuts generally showed a concentrated pattern in 2014 based on the outputs of the CL and LQ, but the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indicated a decrease in the spatial concentration. In addition, astringent persimmon showed more concentration from the output of CL than oak mushroom, but Moran's I suggests the opposit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marketing system and intensify the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

목재생산과 임산물은 다른 산업의 생산품에 비해 장기적인 시간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낮은 수익성을 가지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산림경영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기소득임산물은 임업인들에게 안정적 소득원 확보를 위한 주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연구들은 효율적인 생산과 경제성 분석에 초점을 맞추며, 양적인 측면을 고려한 소득증대 및 유통구조 개선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의 양적인 집중과 함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집중지수 및 입지계수와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2001년, 2007년, 2014년의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의 지역적 집중과 분산의 형태, 공간분포 변화의 추이를 파악하였다. 밤은 집중지수와 입지계수 분석 결과 2014년이 비교적 전국적인 측면에서 매우 집중된 형태를 보였지만, 공간적 자기상관분석을 통해서는 공간적 분포의 집중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떫은감과 표고버섯의 경우 집중지수에서는 떫은감이 좀 더 집중된 형태를 보이지만 Moran's I의 분석 결과에서는 오히려 표고버섯이 공간적 분포에서 집중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집중지수와 입지계수를 통해서 특정지역에 대한 단기소득 임산물 생산의 집중을 알 수 있지만 이러한 패턴이 공간상에서의 집중을 의미하지는 않음을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임산물의 유통구조 분석 및 집약적 생산의 측면을 고려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분포에 대한 고찰도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Ahn, S.J. and H.D. Seok. 2013. Policy directions for developing forestry clusters.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20(1):25-33 (안선진, 석현덕. 2013. 산림산업 클러스터 지역 선정 및 분석. 산림경제연구 20(1):25-33).
  2. Choi, H.W., K.H. Kim, C.Y. Lee. 2007. Applic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of marin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4):60-74 (최현우, 김계현, 이철용. 2007. 해양환경 공간분포 패턴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60-74).
  3. Chong, H.G, S.H. Song, S.M. Lee, C.K. Yim. 2015. A study of improving the marketing system of major non-timber forest products: using an analysis of distribution channel.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2):319-331 (정호근, 송성환, 이상민, 임철균. 2015. 주요 단기소득임산물 유통경로 분석을 통한 유통개선 방안 연구. 한국임학회지 104(2):319-331). https://doi.org/10.14578/jkfs.2015.104.2.319
  4. Jeon, J.H., H.K. Won, B.I. Yoo, S.Y. Lee, J.M. Lee, D.H. Ji, Y.T. Kim, K.N. Kang, D.S. Oh.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andard diagnostic table for oak mushroom management and its applicabil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2):272-280 (전준헌, 원현규, 유병일, 이성연, 이정민, 지동현, 김연태, 강길남, 오득실. 2013. 표고버섯 경영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현지 적용. 한국임학회지 102(2):272-280).
  5. Jeon, J.H., S.Y. Lee, J.M. Lee, D.H. Ji and C.J. Oh. 2015.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andard diagonostic table for astringent persimmon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3):488-494 (전준헌, 이성연, 이정민, 지동현, 오찬진. 2015. 떫은감 경영 표준진단표의 개발 및 현지 적용. 한국임학회지 104(3):488-494). https://doi.org/10.14578/jkfs.2015.104.3.488
  6. Kang, H.M., C.S. Chang, S.I. Choi. 2014. Analysis of standard income regarding the cultiva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3(3):490-502 (강학모, 장철수, 최수임. 2014. 단기소득임산물 재배 소득 분석 -주요 수실류를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103(3):490-502). https://doi.org/10.14578/jkfs.2014.103.3.490
  7. Kim, J.S. and J.K. Lee. 2007. Selection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for regional specialization -focused on Gangwon inland mountains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4):432-437 (김준순, 이재근. 2007. 지역별 특화를 위한 단기소득임산물 선정 - 강원내륙산간권역을 대상으로. 한국임학회지 96(4):432-437).
  8. Kim, J.S., R.W. Joo, S.I. Choi. 2007. An economic analysis of oak mushroom cultiv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4):401-407 (김재성, 주린원, 최수임. 2007. 표고버섯 재배에 대한 경제성 분석. 한국임학회지 96(4):401-407).
  9. Kim, S.B., Y.W. Ko, D.K. Oh, H.K. Noh. 2013. A study on regional specialization of fruit tree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 (2):292-299 (김세빈, 고영웅, 오도교, 노희경. 2013. 임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실수의 지역특화 연구. 한국임학회지 102(2):292-299).
  10. Korea Forest Service. 2015. 2014 Production of forest products. p.502 (산림청, 2015. 2014 임산물생산조사보고서. 502쪽).
  11. Na, H.S., J.M. Park, J.S. Lee. 2015. Analysis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and pattern using remote sensing and spatial statitical method -focusing on the DMZ region in Gangwon-d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100-118 (나현섭, 박정묵, 이정수. 2015. 원격탐사와 공간통계 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및 패턴 분석 -강원도 DMZ 일원을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100-118).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4.100
  12. Seo, S.M. 2010.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gredient differences of forest ginseng in various forest environments. Ph.D.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p.151 (서세명. 2010. 산양삼의 재배지역별 생리, 생태적 특성과 성분차이.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1쪽).
  13. Tsai, Y.H. 2005. Quantifying urban form: compactness versus'sprawl'. Urban Studies 42(1):141-161. https://doi.org/10.1080/0042098042000309748
  14. Yeo, C.H. and Y.H. Seo. 2014. An analysis on the spatial spillover patterns of aging population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3): 39-53 (여창환, 서윤희. 2014. 공간자기상관을 활용한 농촌지역 인구 고령화의 공간적 확산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3):39-53).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3.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