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ting Rel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1초

FIXED POINTS OF CONVERSE COMMUTING MAPPINGS USING AN IMPLICIT RELATION

  • Chauhan, Sunny;Khan, M. Alamgir;Sintunavarat, Wutiphol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5권2호
    • /
    • pp.109-117
    • /
    • 2013
  • In the present paper, we utilize the notion of converse commuting mappings due to L$\ddot{u}$ [On common fixed points for converse commuting self-maps on a metric spaces, Acta. Anal. Funct. Appl. 4(3) (2002), 226-228] and prove a common fixed point theorem in Menger space using an implicit relation. We also give an illustrative example to support our main result.

맞벌이 주말부부와 홀벌이 주말부부의 자녀양육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of Two Types of Commuting Family′s Child-rearing)

  • 한유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37-148
    • /
    • 2004
  • Due to the changes of modern society, alternative types of nuclear family so called as commuting family have appeared. Also, with the increase of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and their needs of self-actualization, dual-career commuting family have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the traditional commuting family and dual-career commuting family in terms of family relation, types of child-care and social support. Also,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sed parenting-guilty of the mothers of commuting family. One eight seven mothers of three to eight year-old participated the surve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ase of traditional commuting family, children cohabit with the mother and usually fathers move between two houses. But among the dual-career commuting family, there are some children who cohabit with the father and some mothers who move. Dual-career commuting family relied on the more types of child-care than traditional commuting family. (2) While traditional commuting family get more support for child-rearing from the husband's family of origin than dual-career commuting family, wife's family of origin provide more support to the dual-career commuting family. The more support the husband's family of origin provide, the more stress both types of commuting family experie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from the wife's family of origin or friends and the stress of the mothers of both types of commuting family. (3) Mothers of two types of commuting families were different regarding the motives of parenting-guilty Difficulty of caring the children for their job as well as father-absentness makes mothers of dual-career commuting family feel parenting-guilty more.

  • PDF

양자논리를 위한 직교함의 대수에서의 준동형사상 (A Homomorphism on Orthoimplication Algebras for Quantum Logic)

  • 연용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65-71
    • /
    • 2017
  • 양자논리는 양자역학을 위한 수학적 구조인 힐버트 공간에서의 사영을 다루기 위해 Birkhoff와 von Neumann에 의해 소개되었고 Husimi는 이 양재논리를 보완하기 위해 직교모듈라의 성질과 직교모듈라 격자를 제안하였다. Abbott은 직교모듈라 격자에서의 함의를 연구하기 위해 직교함의 대수와 그 성질을 소개하였다. 직교모듈라 격자에서 가환관계는 분배법칙과 모듈라 성질 등과 관련된 중요한 성질이다. 본 논문에서는 직교함의 대수에서의 한 이항연산과 이를 이용한 최대하계를 정의하고 그 이항연산의 성질을 밝힌다. 또한 준동형사상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직교함의 대수에서의 가환관계를 특성화한다.

인구 및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상 및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 -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 (Investigation of Urban Sprawl and Interregional Interaction by Demographic and Commuting Data -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 박제인;최낙훈;장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7-88
    • /
    • 2006
  • 서울시와 인천광역시, 그리고 경기도가 포함된 서울 대도시권에서는 1990년 이후 인구집중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서울시의 인구억제정책에 따라 인천광역시 및 경기지역으로의 인구집중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대도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도심공동현상의 확인을 위하여 서울 대도시권의 역사적인 인구자료를 분석하였고, 서울 대도시권의 확산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구자료로부터 산출한 순위변화지수(RMI: Rank Mobility Index)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 간 상호작용 분석에 유용한 자료로서 최근 미국에서도 대도시를 정의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사용될 만큼 그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는 통근자 자료를 본 연구에서도 분석하였다. 인구 자료의 분석 결과, 서울시의 인구는 1990년 이래 정체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내부적으로는 외곽에 위치한 구 및 동으로의 편중현상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또한 순위변화지수의 분석으로 대규모 개발과 인프라 건설이 집중된 서울 이남지역을 위주로 서울 대도시권이 불균형적 확산을 지속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통근자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서울 주변지역의 자족성이 높아질수록 서울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대도시권의 효율적인 계획 및 관리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아파트 입주가구의 이주동기와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Motives for Moving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after Moving)

  • 윤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3-130
    • /
    • 1991
  • The objectives of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motives for moving to the current residence, 2) to analyze residential satisfaction after moving in relation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motives for moving, and 3) to test relationships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s, residential satisfaction before moving, motives for moving,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after moving.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evaluated in relation to housing, neighborhood, and socio-psychological environments. Methdo-logy included literature and questionnaire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69 homemakers living in an apartment complex in seoul. Data were analyzed with the use of SPSSS PC+ computer package. The motives for moving were classified in five types: tenureship improvement, improvement of the physical condition of housing, improvement of neighborhood environment, commuting improvement, and constrai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otives for moving by socio-economic status, types of houses lived in previously, change in type of tenures, and the duration of residence before mov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ential satisfaction after moving among types of houses lived in previously, change in type of tenures, and the types of the motives for moving.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residential satisfaction variables. They were the socio-economic status, change in type of tenures, residential satisfaction before moving.

  • PDF

혼잡통행료와 대중교통 보조금의 효용개선 원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Welfare Gain Achieved by Congestion Pricing and Transit Subsidies)

  • 이혁주;유상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4-85
    • /
    • 2013
  • 본 연구는 혼잡통행료 징수와 보조금 지급의 후생개선 효과를 일반균형조건을 충족하는 공간모형에서 비교하고 이들이 발생시키는 후생개선 효과를 분해한 후 후생개선 효과의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Anas and Kim (1996)를 기원으로 구축된 확률균형모형에 수단선택 조건을 추가한 후, Yu and Rhee (2011)와 Rhee (2012)가 제안하는 연구방법론을 응용하여 후생개선 효과를 간접효과와 직접효과 중 입지요인과 수단요인으로 구분하여 관찰한다. 최선의 정책수단(First-best pricing)에 대한 혼잡통행료 부과 또는 보조금 지급의 상대적 효율성은 혼잡통행료 부과의 경우가 보조금 지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후생개선 효과의 분해를 통해 이들 효과의 대부분은 수단요인에 의해 달성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대중교통 보조금의 지급은 혼잡통행료 부과에 비하여 장거리 대중교통 분담률을 더욱 증가시키고, 이러한 현상은 혼잡통행료 징수에 비하여 입지요인으로 인한 더욱 많은 후생감소 효과를 유발하여 후생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이에 대한 원인은 혼잡통행료 부과에 비하여 보조금 지급이 도심 내 과다한 통과교통을 유발했기 때문이다.

서울대도시권의 공간상호작용 변화와 시공간 패턴 (The Changes and Time-Space Patterns of Spatial Interac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손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21-433
    • /
    • 2007
  • 대도시권은 인구나 경제활동이 주변지역으로 재배치됨에 따라 주변지역에서 새로운 중심지가 형성되는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의 중심성 변화는 대도시권에서 발생하는 공간상호작용의 패턴을 변화시킨다. 본고에서는 서울대도시권의 통근통학통행을 통하여 공간상호작용의 변화 패턴을 고찰하였다. 서울과 접한 지역에서는 역외통행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서울로부터 거리가 먼 지역에서는 역외통행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역외로 유출되는 최대통행의 목적지 분포가 점차 다원화하고 있으며, 서울 주변지역에서 서울을 목적지로 하는 역외통행률 또한 감소추세를 나타내었다. 서울대 도시권의 상호작용 변화는 대체로 인접한 지역들간에 강하게 이루어졌으며, 중심도시인 서울에서 유출되는 역외통행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통행량의 증감에 따른 상호작용변화의 유사성 분석에서는 용인 서울 수원 화성 등지가 상호작용변화의 속성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