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Metropolitan Areas have experienced the phenomenon that some of their peripheral parts emerged as a core business area because of the relocation of residential and economic activities from the central area. An important phenomenon in the spatial transformation of metropolitan area is the weakening of centrality in the center and the increasing strength of centrality in the periphery. This paper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spatial intera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an analysis on outflow trips. Outflow trip by Seoul decreased in nearby regions and increased in remote regions, however as times goes by, the spatial patterns of the largest outflow trip destination were diversified and the rate of outflow trip to Seoul has decreased in the periphery regions.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e most remarkable changes of spatial interactions occurred nearby regions of Seoul and also the changes of outflow trip by Seoul was also distinct. In relation to this, the results arising from the similarity analysis by the variance of trip clearly show the changing spatial patterns of interaction in Yongin, Seoul, Suwon and Hwaseong.
대도시권은 인구나 경제활동이 주변지역으로 재배치됨에 따라 주변지역에서 새로운 중심지가 형성되는 패턴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의 중심성 변화는 대도시권에서 발생하는 공간상호작용의 패턴을 변화시킨다. 본고에서는 서울대도시권의 통근통학통행을 통하여 공간상호작용의 변화 패턴을 고찰하였다. 서울과 접한 지역에서는 역외통행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서울로부터 거리가 먼 지역에서는 역외통행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역외로 유출되는 최대통행의 목적지 분포가 점차 다원화하고 있으며, 서울 주변지역에서 서울을 목적지로 하는 역외통행률 또한 감소추세를 나타내었다. 서울대 도시권의 상호작용 변화는 대체로 인접한 지역들간에 강하게 이루어졌으며, 중심도시인 서울에서 유출되는 역외통행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통행량의 증감에 따른 상호작용변화의 유사성 분석에서는 용인 서울 수원 화성 등지가 상호작용변화의 속성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