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based lifelong learning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지역사회개발론에 근거한 평생학습도시 사업 개선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Based on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 양흥권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45-265
    • /
    • 2008
  •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has made quantitative expansion as well as qualitative growth since 2001 but the project has been criticized by academic scholars and field practitioners.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a national policy project which has been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should be required to make production profit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ublic financ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a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tended to promote growth and progress by supporting the community in lifelong learning endeavors. Therefore,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could offer guidelines to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t the national, city, and county levels using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ory. The improvement methods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re role allotment between national and wide level projects supporting organiz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and a long term project policy. In addition, the project is to have a more systematic performance. It is to enhance opportunities for community members'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planning, performance of learning, and the proper performance in regard to the community conditions and specificity. The most important goal of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is to support the empowerment of community members by making opportunity planning, practicing and sharing lifelong learning more accessible.

  • PDF

지역사회 중심 평생학습운동의 추진방향 탐색: 외국의 평생학습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A Probe for Local Community Centered Lifelong Learning Movement's Course of Action)

  • 양흥권;최상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9-122
    • /
    • 2006
  • As we encounter the global and localized era, the development operations on a regional level are in active promotion. This manuscript has been completed with the purpose of probing for course of action in lifelong learning movement in terms of activating and developing of local communities. For thi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acticed cases in America's community school movement, Japan's movement for establishing lifelong learning village and Sweden's study circle movement have been made. For the analytical frame of the comparison, the actual results on background of promotion, themes for practice, details of practice, methods for practice of local community centered lifelong learning movement have been appli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local community centered lifelong learning movement has been promoted to break each country's social and economic crisis and to activate the local community. The promotion of each operation has been accomplished with the support of specific organization and the participants were the citizens of the local community. Also, the details of practice are composed of operating the people-centered lifelong learning program, cooperative learning by local citizens and local community realization activity. The details of educ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 of learners. Therefore, the lifelong movement for the activation of local community hereafter should be promoted based on the coherence of local community, should be able to contain the actual life of the citizens and should be practiced as a process of forming the lifelong learning group at concerned local community through a democratic learning process.

  • PDF

평생교육관점에서의 부모교육에 대한 고찰 -평생교육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Parenting Education in the View of Lifelong Education -Focused on the Lifelong Education Act-)

  • 김은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71-484
    • /
    • 2011
  •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parenting education within the society of life long learning.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dealt with in the view of lifelong education. This article focused on parenting education as outlined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After analyzing the legal systems and the current limitations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terms of parenting education, future directions were proposed. To do this, this article analyzed the Lifelong Education Act in relation to parenting education. Based on the relevant data, this article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found that parenting education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that is available to anyone at anytime should be open for all parents. Second,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clearly specified in the conte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Third, the values of civic education such as dignity, consideration, and love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is note worthy to comment that creative education has been important for future society. Forth, it is recommended to specify parenting education in the subject list of lifelong educator training programs in the lifelong education act. Finally,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in the variou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Fundamentally, parenting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not only for parent's benefits, but also for children's well-being.

장애인 평생교육 이용실태 및 장애인 보호자가 인식한 지원요구 분석: 공주시를 중심으로 (Investigation into the inclusion of life-long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perspectives of their guardians on the needs related to the life-long program: A case study in Gongju City.)

  • 이미숙;한민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527-536
    • /
    • 2024
  • 본 연구는 공주시를 중심으로 한 장애인 보호자들의 요구와 관심을 반영하여 장애인 평생학습도시 실행초기 단계에서의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 및 대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2024년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으로부터 장애인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된 공주시에서 제공된 장애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보호자 6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장애인 평생교육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들의 다양한 장애수준과 특성, 요구를 충분히 반영한 맞춤형 평생교육이 필요하다. 둘째로, 장애인 평생교육 기획 및 운영 시 장애인 당사자들 및 보호자들의 요구를 존중하는 운영체계가 필요하다. 셋째로, 장애인 학습자의 일상생활 및 자립생활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요구된다. 넷째, 전달식 수업을 지양하고 장애인의 독립적 생활 및 사회적 적응력 향상에 직접 도움이 되는 현장체험 중심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학습 방법과 프로그램 형식을 도입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학습자들의 다양한 요구와 관심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농촌지역 평생교육 참여자의 특성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의 지역 간 차이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in Rural Areas -Focused on Regional Differences in Large Cities, Small Cities and Rural Areas -)

  • 김정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6권1호
    • /
    • pp.1-1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ing tendency of rur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a polynomial model for 3,685 people using raw materials from a lifetime education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ticipants in rural residents prefer small study groups. They were also approached on a practical level, such as life-help or self-realization. And the participating education programs were highly involved in vocational non-formal education. Based on the workings of personal backgrounds,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lower income and lower educational backgrounds is more active than in urban areas. In additio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educa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big cities, small cities, rural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rough lifelong education are not suitable as a means to maintain rural population.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사업의 변천과정 연구 (Research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 정복임;김태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73-27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사업추진 시기별 정책변화와 그 성과로서 대학운영체제변화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성인학습제제 지원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와 각종 자료 분석을 통하여 고등교육 환경 변화와 대학의 평생교육 변천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술혁신이라는 시대적 변화와 지식의 변화는 학교교육 이후에도 계속적인 배움을 요구하고 있으며, 재교육과 향상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성인학습자들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평생학습 중심대학 지원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어 성인학습자의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의 학사제도를 성인친화형으로 개편하고, 야간 혹은 주말수업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운영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제 대학은 지역·대학의 상생을 위한 지역 평생교육의 허브로서 대학과 지역사회 지속가능 발전과 상생의 시대적 과업을 담당하는 핵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 (The Operation Plan of the Community-Linked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between Chosun University and Daegu University)

  • 김영준;김화수;이근용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273-280
    • /
    • 2022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대구대학교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 기반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 방략을 탐색해 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일선 대학 현장에서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전공이나 교양 단위의 교과 학습을 보조하는 형태와 절차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으나,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유형과 체계가 "학습역량 강화 지원", "진로심리상담 지원", "취창업 지원",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으로 분류되는 사례를 감안할 경우 매우 중요한 위상과 정체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은 일회적인 경향의 프로그램 자체의 수준에서 뿐 아니라 학생들의 전공 학습 및 취업 연계를 비롯한 각종 지역사회 연계형 문제해결학습 역시 포괄할 수 있는 성격과 이점을 가진다. 위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와 대구대학교를 조망하여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을 주요 주제와 내용으로 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는 방략을 연구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전문가 간 협의를 통한 연구 내용의 모델 정립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크게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종합체계"로 제시되었다. 먼저, 첫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조직적 운영 방략"은 조선대학교 비교과통합관리센터와 대구대학교 평생교육원 산하 K-PACE센터, 기타 위원회 및 부서 등이 상호 협업 및 소통하는 절차가 상세히 도식화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교육과정 운영 방략"은 비교과프로그램에서 구성되어야 할 학습 내용과 방법 및 절차가 구체적으로 도식화되었다. 세 번째 연구 내용인 "양 대학 간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종합체계"는 비교과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할 근거요소들을 로드맵의 차원으로 종합화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양 대학 간 비교과 교육 업무협약(MOU)을 통한 지역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비교과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심화적으로 연계 추진 가능한 사업과제를 조망할 수 있었다.

대학교원 학습공동체의 상호 동료코칭 가능성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the reciporcal peer coaching in faculty learning community)

  • 고은현;박혜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616-5626
    • /
    • 2013
  • 이 연구는 A대학교 대학교원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사례를 분석하여 동료코칭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시행되었다. 분석대상이 된 대학교원 학습공동체는 한 팀당 5~6명으로 구성되어 해당학기에 진행되는 수업개선을 위해 수업촬영 및 수업자료에 대한 팀내 상호 동료코칭이 진행된 사례이다. 이를 통하여 개인별 수업개선 보고서가 작성되었고, 팀의 문헌연구와 경험을 토대로 개발된 수업조언(Teaching Tip)이 학내에 공유되었다. 학습공동체 참여경험에 대한 설문과 인터뷰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자신과 동료들의 수업관찰이 성찰적 실행을 위한 계기가 되었으며 비디오에 근거한 수업관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동료코칭은 코치 개인의 경험에 근거한 의미있는 조언들이 제공되었으나, 다소 전문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프로그램의 참여자들에 대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하여 동료코칭 프로그램 효과를 토대로 상호 동료코칭의 전문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방안 (Confusion and Overcoming Plans of the Public Library Identity in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20
    • /
    • 2017
  • 모든 공공도서관의 본질적 정체성은 당대 및 후대의 통시적 접근 이용을 보장하는 지식정보센터이다. 그럼에도 최근에 평생학습 산실, 문화활동 거점, 정보게이트웨이, 커뮤니티센터, 지방공공재, 정보공통체, 민주주의 요람, 제2의 거실 등으로 회자되면서 공공도서관의 정체성이 요동치고 있다. 이에 각종 관계법령, 지방행정기구, 정부 통계자료를 분석하여 정체성 혼란의 실상과 증거를 제시한 후에 공공도서관 정체성 혼란의 극복방안을 제안하였다. 차제에 공공도서관이 지식정보센터를 기반으로 지역문화 향유 확산을 위한 베이스캠프로 정립되려면 집단주의, 귀속주의, 편의주의를 경계해야 한다.

학습기능의 중심축으로서 대학도서관 개방 방안 (A Plan for Opening the University Libraries as the Central Axis of Learning Function)

  • 김선이;김윤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6
    • /
    • 2011
  •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국가경쟁력 제고와 고등교육의 환경변화로 대학에 대한 역할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효과적인 평생학습 실현을 위한 역할 또한 강조되고 있다. 아울러 대학의 풍부한 전문정보 자원과 훌륭한 시설을 지역사회와 공유하고 지역주민에게 지식정보 접근권을 보장 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인식 또한 확산되고 있다. 이처럼 평생교육의 확대와 시민의식의 변화에 따라 대학이 지역사회의 구성요소로서 지역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정보센터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지역사회 개방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 4년제 대학도서관 개방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에게 도서관을 개방하고 대학도서관의 풍부하고 전문적인 자료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대학도서관의 적극적인 서비스 방안으로 지역의 공공도서관 및 학교도서관과 연계하여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국가 및 대학당국의 대학도서관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대학도서관의 자구적인 노력으로 대학의 여건을 최대한 활용하여 도서관 개방정책을 수립하고 지역주민을 위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