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Adaptation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2초

정신건강증진센터에 근무하는 정신보건간호사의 심리사회적 적응과정 (The Psychosocial Adaptation Process of Psychiatric Nurses Work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 민소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68-878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psychosocial issues faced by psychiatric and community mental health nurse practitioners (PCMHNP) work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to identify the adaptation processes used to resolve the issu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etween December 2013 and August 2014. Participants were 11 PCMHNP work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alysis was done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first question was "How did you start working at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what were the difficulties you faced during your employment and how did you resolve them?" Results: The core category was 'regulating within relationships.' The adaptation process was categorized into three sequential stages: 'nesting,' 'hanging around the nest,' and 'settling into the nest.'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employed in these stages. The adaptation results from using these strategies were 'psychiatric nursing within life' and 'a long way to go.'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as they aid in understanding the psychosocial adaptation processes of PCMHNP working in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indicate area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in order for PCMHNP to fulfill their professional role in the local community.

출소자의 심리특성과 지역사회 적응 (The Relationship between Released Offend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Adaptation)

  • 김경아;이창배;공정식
    • 시큐리티연구
    • /
    • 제62호
    • /
    • pp.113-134
    • /
    • 2020
  • 이 연구는 출소자의 심리건강이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구분하여 관계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합동결혼지원을 받은 출소자 216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의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최종학력, 배우자 유무, 월수입 등이 출소자의 지역사회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심리건강의 위험요인 중 우울과 대인예민성이 높을수록 지역사회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건강 보호요인인 자존감이 높을수록 위험요인인 우울과 대인예민성의 영향력을 감소시켜 지역사회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보면, 높은 자존감은 출소자들이 출소 후 사회생활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위험요인을 긍정적 삶의 변화로 촉진시켜 부정적 상황을 억제하며 성공적인 지역사회 적응의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출소자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적응을 위해 심리적 요인 중에서 자존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출소자의 지역사회 적응과 재범예방을 위해서는 심리적 요인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기에 관련된 후속연구 및 다각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면 단위에 거주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분만 후 시기별 모유수유 실천 및 모성적응 (Breast Feeding Practice and Maternal Adaptation of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 김미옥;송경수;조윤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76-38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breast feeding rate and maternal adaptation of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a community.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5, and included a total of 283 mothers of infants and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he ${\chi}^2-test$, and one way ANOVA. Results: The rates of breast feeding after birth were 76.3% (1 month postpartum), 69.3% (3 months postpartum), 53.4% (6 months postpartum), 32.2% (9 months postpartum), and 22.6% (12 months postpartum). The level of maternal adaptation of subjects was $3.78{\pm}0.54$. Subjects who were breastfed until 9 months postpartum had a higher level of maternal adaptation than those who stopped breast feeding at 1 month postpartum (F=3.926, p<.002). The breast feeding rate of subjects who were educated about breast feeding after childbirt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receive breast feeding education after delivery. Conclusion: To increase the breast feeding rate and maternal adaptation, community health nurs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breast feeding programs to mothers soon after childbirth.

지역사회SES, 부모양육태도, 아동의 학교적응과 공격성 (Community SES,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 school adaptation and aggression)

  • 정소희;권유경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379-402
    • /
    • 2010
  • 본 연구는 지역사회SES에 따라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또 지역사회SES는 부모양육태도를 통제한 후에도 학교적응 및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지역사회SES는 대구시 30세 이상 인구대비 대학교 이상(수료 및 중퇴 포함) 재학 및 졸업자 비율을 기준으로 상, 중, 하 세 가지로 나누었고 연구대상은 이 세 지역의 초등학생 4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지역사회SES에 따라 민주적 양육태도와 허용적 양육태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SES가 중간 이상인 지역의 학생들이 학교에 더 잘 적응하며, 공격성의 정도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SES에 따른 학교적응과 공격성의 차이는 부모양육태도를 통제하고서도 여전히 나타남으로써 지역사회SES가 가족효과를 넘어 아동에게 독립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Trait of Local Community Adaptation of Migrant Women by Marriage)

  • 성향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07-3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0. 4월부터 5개월간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연구 중 Colaizzi방법론을 채택하였는데, 심층면접을 통하여 녹취한 진술을 텍스트화 한 후, 유의미한 진술내용을 코딩하여, 주제(themes), 주제묶음(theme cluster)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역량의 강화', '문화적응', '제한적 수혜자 되기', '인적네트워크 없음', '미래를 낙관할 수 없음' '지역사회 안착을 염원함', '한국을 떠날 수 있음'으로 총 7개의 주제묶음과 17개의 주제, 47개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의 적응력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도시 이주민의 농촌 지역커뮤니티 적응 실태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Rural Community of Rural Inmigration)

  • 최윤지;황정임;한송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1호
    • /
    • pp.29-48
    • /
    • 2012
  • Many of the urban people wish to move to rural area to avoid urban problems like pollution, crowdedness, crime and after their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of adaptation of inmigration in rur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migrations to rural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32.0% of respondents wished to move to rural area that they were expected for countryside life, 2) 68.1% of respondents had experience to visit farmer's house 3) 49.5% of respondents agreed to rural community person is good 4) many person of migration to rural area(74.5%) have the idea that they should be active participation for community volunteer work 5) migration people was wanted to take care of them by natives in rural community on the lonely time.

한부모가정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이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 in Single Parent Families)

  • 전수영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1-4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5th-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including 159 middle school 2nd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open source statistics program R 3.5.0 to determine whether self-ident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A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ggression, self-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the Sobel test, self-identity of early adolesc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Conclusions: Given the significant mediating factor of self-identity, the strategies for early adolescents to boost their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intervention programs that help to enhance their self-identity.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21-331
    • /
    • 2014
  • 본 연구는 아동들이 인지하고 있는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 신뢰, 소외,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포괄적이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강점을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내에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또래애착관계가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게 형성될수록,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 정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또래집단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기본적 규범 준수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마음을 키우고, 다문화에 대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A Review of Articles (2006-2017))

  • 윤갑정;손환희
    • 문화예술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81-10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유아', '적응', '생활'로 검색된 학술논문들 중 다문화교육, 언어발달, 아동과 부모대상 논문을 제외한 최종 41편이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적응개념과 접근법을 분석기준에 따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연구는 2010년 이후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구 주제는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양상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적응의 개념과 접근법은 적응의 개념이 언급되지 않은 연구가 많았으며, 적응의 내용은 또래관계, 친사회성, 규칙과 일과 적응 등의 사회문화적 차원의 적응이 심리적 차원의 적응보다 많았다. 또한 유아기 기관생활적응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관점이 문화적응 관점보다 많았으며, 성장과 학습중심의 관점보다 문제 중심의 접근 연구가 많았다. 이를 토대로 앞으로 국내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 관련 연구가 보다 다양한 주제와 방법으로 이루어지되, 문화적응의 관점에서 이들의 정체성과 정서 등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더 연구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다문화가정 유아의 적응을 개인적 발달과 구조적인 적응을 넘어 구성원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학급공동체 형성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Major Satisfaction of Som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on Campus Life Adaptation)

  • 윤현경;최미숙;조우순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4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that the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ould have on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Methods: The total 396 students were surveyed who majored in dental hygiene in universities located at Gyeongbuk and Gyeongnam from October 15, 2013 to October 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7.0 program, along with th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ptitude and interest' were found to be greatest factor among the motive for application among the factors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elasticity had a correlation of 0.741 and the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of 0.420 in the self-efficacy, while th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daptation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as high as over 0.4 in the self-elasticity(p<0.0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p<0.05). Conclusions: To increase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plore the measures that can improve the self-elasticity and overall major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