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 in Single Parent Families

한부모가정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이 자아정체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8.05.28
  • Accepted : 2018.07.07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5th-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including 159 middle school 2nd stud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The data was analyzed with open source statistics program R 3.5.0 to determine whether self-ident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sults: A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ggression, self-ident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s a result of the Sobel test, self-identity of early adolesc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Conclusions: Given the significant mediating factor of self-identity, the strategies for early adolescents to boost their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should be considered through intervention programs that help to enhance their self-identity.

Keywords

References

  1. 고영희. 사춘기 초기 적응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012;18(2): 233-262.
  2. 금지헌, 손찬희, 채수은, 강성국.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정 및 개인 관련변인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013;20(2):119-143.
  3. 김금순, 김은미. 청소년의 정서문제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정복지연구 2015;38(1):33-57.
  4. 김민서, 전수영, 조연수, 전훈정. 비행경험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018;31(1):1-9. https://doi.org/10.15434/KSSH.2018.31.1.1
  5. 김소영, 김진숙.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정서조절이 아동기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2014;15(3):1257-1276.
  6. 김혜진, 홍혜영. 청소년의 자아정체성이 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18(1):31-43.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031
  7. 민병수. 학교생활적응과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 홍익대학교 대학원, 1991.
  8. 민원홍, 손선옥.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발달 궤적에 대한 부정적 또래관계의 영향: 부모지도 감독의 조절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2017;14(1):75-99.
  9. 박기원.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2014;35(1):1-15. https://doi.org/10.5723/KJCS.2014.35.1.1
  10. 박영란.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학교 적응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1. 박미향, 김완일. 청소년의 공격성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존감 안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4;21(10):475-501.
  12. 박병선, 배성우, 박경진, 서미경, 김혜지. 청소년의 또래애착, 사회적 위축, 우울,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보건사회연구 2017;37(2):72-101.
  13. 성춘향, 이예화, 박용한. 중국 조선족 청소년들의 자아정체성 및 사회정체성과 학교적응의 관계. 교육연구논총 2017;38(2):31-57.
  14. 송순만, 백진아. 부모방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정체성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합연구 2016;14(10): 327-337.
  15. 송연옥.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간의 구조분석. [박사학위논문]. 대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8.
  16. 이상주, 김지현.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 부모애착이 컴퓨터 사용 시간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2014;13(4):495-516.
  17. 이순옥, 최연희. 가정환경 위험요인과 자아탄력성이 초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4;28(3):484-494. https://doi.org/10.5932/JKPHN.2014.28.3.484
  18. 이정민, 정혜원. 청소년의 팬덤활동 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종단적변화연구-경향 점수 매칭과 다층성장모형 적용. 한국청소년연구 2018;29(2):35-67.
  19. 이택호, 이석영, 한윤선. 체육시간과 청소년의 외현화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 다층성장모형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문화와 사회문제 2015;21(2):131-158.
  20. 정득, 김은수, 이종석.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과 공동체의식: 자아정체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016;27(4):259-289.
  21. 정묘순. 한부모가정과 양부모가정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교. 청소년문화포럼 2011;26(1):191-228.
  22. 조붕환, 임경희. 아동의 정서 행동문제 자기보고형 평정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03;15(4):729-746.
  23. 조성희, 김희수. 초등 고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 애착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16(5):355-376.
  24. 채유경.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기능성, 부부 갈등, 영적 안녕 및 공격성 간의 관계. 가족과 문화 2005;17(2):189-209.
  25. 통계청. 2015-2045 장래가구추계. 서울: 통계청, 2017.
  26. 하영희, Edwards CP. 청소년의 공격성과 관련 변인간의 인과관계: 친사회적 행동, 감정이입, 자기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04;25(2):121-132.
  27. 허정철. 가족기능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2008;10(3):123-147.
  28. Bongers IL, Koot HM, Van der EJ, Berhulst FC. The normative development of child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2003;112(2):179-192. https://doi.org/10.1037/0021-843X.112.2.179
  29. Card NA, Stucky BD, Sawalani GM, Little TD. Direct and indirect aggression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A meta analytic review of gender differences, intercorrelations, and relations to maladjustment. Child Development 2008;79(5):1185-1229.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8.01184.x
  30. Erickson EH. Identity-Youth & Crisis. W.W. Noton & Company, Inc, 1968.
  31. Greenwald, R. The role of trauma in conduct disorder.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2002;6(1):5-23. https://doi.org/10.1300/J146v06n01_02
  32. Mandara J, Rogers SY, Zinbarg RE. The effect of family structure on African American adolescents' Marijuana us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2011;73(3):557-569. https://doi.org/10.1111/j.1741-3737.2011.0083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