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Life Adaptation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9초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경험 (Experience of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 김미영;변은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93-604
    • /
    • 2019
  •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남한사회 적응 경험을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6년 7월부터 2017년 6월까지로 하였고, 북한이탈주민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남한사회 삶의 적응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총 10명으로 남성 5명, 여성 5명이었고, 나이는 40대가 5명, 50대가 5명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4명, 기혼 6명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로 부터 얻은 원자료에서 남한사회 삶의 적응 경험을 분석한 결과 180개의 본질적인 의미단위를 추출하였고, 본질적인 의미단위에서 19개의 주제와 6개의 주제모음, 4개의 범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4개의 범주는 '다른 세상 마주하기', '이방인으로 살기', '적응하기', '자아실현하기'였다. 6개의 주제모음은 '새로운 세상을 만남', '심리적인 고통', '현실의 벽', '남한사회에 표류', '남한 사람이 되어감', '주체적인 삶'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경험에 대한 반복연구와 남한사회에서 적응을 도울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 of Life Stres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Academic Satisfaction in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Republic of Korea. - Target on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임상란;이지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9-199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에 재학 중인 20대 중국인 유학생 중 미용전공자 283명을 대상으로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 진행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ⅴ.22 통계 패기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 대상자인 중국인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과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하위요인인 친구관계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 경제적스트레스, 가족관계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업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인간관계스트레스, 생활문화스트레스를 적게 받을수록 학업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유학생활에서 느끼는 생활스트레스와 문화적응스트레스를 파악하여 문화 생활 교육 측면에서의 적절한 지원체계를 통한 유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중국인 유학생들의 학업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율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신규간호사의 임상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w Graduate Nurses' Clinical Experience of Adaptation)

  • 윤숙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72
    • /
    • 2002
  • Purpose :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lived experience of new graduate nurse in hospital setting.Method : This study was based 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For this study, 8 new graduate nurses participated. The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June to October, 1998. The data was analyzed Van Kaam's method.Results : Clinical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d clinical adaptation and endeavor, professional conflict of nursing, disability of nursing performance, work stress and management, maladaptation of human relationships, diverse emo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hange of personal identity, difference between theory and reality of nursing.Clinical adaptation and endeavor included to get familiar with hospital life, satisfaction and worth for nursing, to get familiar with scoldings, calm down by oneself, efforts for self-development. Professional conflicts of nursing included future uncertainties in the hospital, dissatisfactions in work, doubts and regrets in nursing.Disability of nursing performance included lack of knowledges and skills, desolate working, stresses from mistake in working. Work stress and management included psychological signs and symptoms, physical signs and symptoms, management of stress. Maladaptation of human relationships included unsuitabilities in nursing unit climate, difficulties in human relationship. Diverse emo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cluded regrets and absurdities to clients, thanks and regrets to colleagues, difficulties with doctors, sense of rivalry with colleague nurses. Change of personal identity included to become narrowing life circle, change of personality. The differences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e included needs of systematic pre-education for clinical nursing practice, differences between nursing educations and clinical practices.Conclusion : Therefor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flecting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should be developed.

  • PDF

멘토링이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of college life adapting in freshman students)

  • 이선명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98-1008
    • /
    • 2017
  • Purpose. The effect of mentoring program on the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occupational therapy freshmen. Method. Pre-post-test design was performed, and 20 experimental group were selected. Six students in the senior grade of occupational therapy, who can serve as a mentor to experimental groups, were selected from March 28, 2017 to April 26, 2017 conducted a mentoring program. They used BDI, SACQ, Interpersonal relation tes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i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Conclusion. The mentor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in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freshman.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자기가치감과 대학생활적응 (Study on Self-worth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Paramedicine Department Students)

  • 한송이;원효진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7-24
    • /
    • 2023
  •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자기가치감과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종교의 유무와 가족구성원의 친밀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을 1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대상자의 성별, 종교의 유무,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종교의 유무 및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에 따른 자기가치감과 대학생활적응은 평균, 표준편차와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종교의 유무 및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에 따라 자기가치감에 차이가 있었으며,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업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개인의 자기가치감 향상과 대학생활적응 요인에 맞도록 상담전략을 세우는 데에 있어 종교의 유무와 가족구성원과의 친밀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가치감 향상을 위한 다양한 대학생활적응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해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Effects of feeding sodium metabisulfite-treated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to Hanwoo heifers and cows

  • Lee, Won Hee;Ahmadi, Farhad;Kim, Young Il;Park, Jong Moon;Kwak, Wan Sup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3호
    • /
    • pp.410-421
    • /
    • 2022
  • Objective: Two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incremental levels of sodium metabisulfite (SMB)-treated fruit and vegetable discards (FVD) in diet of Hanwoo heifers and cows affect their performance and health. Methods: In Exp. 1, 36 Hanwoo heifers were stratified by age (13.3±0.83 mo) and initial body weight (305±19.7 kg), and divided randomly to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0%, 10%, or 20% SMB-treated FVD (as-fed basis). The experiment lasted 110 d, including 20 d of adaptation. In Exp. 2, 24 multiparous Hanwoo cow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age (48.2±2.81 mo) and initial body condition score (2.64±0.33). Cows in each block were assigned randomly to one of three diets containing 0%, 11%, or 22% SMB-treated FVD (as-fed basis). The experiment lasted 80 d, including a 20-d adaptation period. In both experiments, SMB-treated FVD was used as a replacement for wet brewers grain in total mixed ration (TMR). Results: Growing heifers exhibited no differences in their daily feed intake (6.58±0.61 kg/d dry matter [DM]), average daily gain (0.60±0.07 kg/d), and body condition score when they consumed the incremental levels of SMB-treated FVD. Although most blood metabolites were unaffected by treatments, blood urea-N and β-hydroxybutyrate levels decreased linearly as the SMB-treated FVD level increased in TMR. Similar to Exp. 1, minor differences were found in daily feed intake (8.27±0.72 kg DM/d) and body condition score of Hanwoo cows. Most blood metabolites remained unaffected by treatments, but blood urea-N decreased as the SMB-treated FVD level in TMR increased.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SMB-treated FVD could be safely incorporated into the diet of Hanwoo heifers and cows, potentially improving N-use efficiency in the body while not impairing performance or health.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박다혜;김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4개 지역 6개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364명으로, 일반적 특성과 따돌림, 동료의 지지,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적응으로 구성된 자가보고 질문지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3월 3일부터 2015년 12월 12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동료의 지지(r=.38, p<.001) 및 자아탄력성(r=.69, p<.001)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따돌림(r=-.24, p<.001)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탄력성(F=334.33, p<.001), 동료의 지지(F=60.86, p<.001) 및 따돌림(F=22.03, p<.001) 순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의 설명력은 4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고, 개발된 교육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되어야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의 (비)대면 교육 상황 속 생활경험 (University Students' Life Experiences in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s due to COVID-19)

  • 안영미;안영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223-238
    • /
    • 2023
  • 본고는 지난 2년여간 학업과 생활 전반에 걸쳐 대학생이 겪은 변화와 이에 대한 경험 및 적응의 과정을 실태 분석과 제언으로 제시했다. 교육 객체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 질적 분석방법으로 팬데믹 상황하에서의 생활경험 전반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인터뷰 질문은 코로나19 이후 수업 및 생활, 정서 경험을 아우르도록 구성하였고, 응답 내용에 대해 분석한 결과 '새로운 체계로의 적응과정, 일상의 실금, 건강을 위한 고군분투, 연결에 대한 갈망'의 네 가지 상위범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기치 못한 도전 상황 속에서 겪는 대학생 개인의 경험과 내밀한 변화를 분석하고 대학과 사회, 정부가 조명하고 반응해야 할 면면을 촉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혼을 경험한 여성정신장애자의 생애사 연구 (A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Women with Mental disorders who Experienced divorce)

  • 홍미연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17-326
    • /
    • 2021
  • 본 연구는 구술자료 분석을 통해 이혼을 경험한 여성 정신장애인의 삶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치유적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에는 우울증과 공황장애 진단을 받은 여성정신장애인이 참여하였으며 생애사 분석을 위한 텍스트는 구술자료 인터뷰로 구성했다. 텍스트는 Mandelbaum(1973)이 제안한 생애사 분석틀에 의거하여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의 3가지 개념틀로 분석했다. 자료분석 결과 '삶의 영역'은 "버려진 아이", "정신질환 발병", "종교", "범죄"로 분석했다. '전환점' 분석에서는 "이혼", "생이별"로 분석했으며, '적응'은 "합리화"로 도출됐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이혼을 경험한 여성 정신장애인의 삶의 치유적 개입 방안을 제안했다.

피부미용 전공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 및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 4년 추적연구 (A Study on MBTI Personality Type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Freshmen majoring in Skin-care : 4 year follow-up study)

  • 김나영;안미령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98-307
    • /
    • 2020
  • 본 연구는 피부전공 커리큘럼을 학습한 피부미용전공 신입생들의 MBTI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성격을 밝혀내고, 1년 뒤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 분석하였다. 2016년~2019년도까지 피부전공 신입생 261명을 대상으로 4년간 추적 조사하였고, 1년 뒤 대학생활 적응에 충실히 답변한 164부의 설문지를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피부미용전공 신입생들은 폭넓은 대인관계를 선호하며 경험을 통해 이해하고 배우는 것을 좋아하고, 어떤 일이든 조직적·체계적으로 추진하며 목적의식이 뚜렷한 성향을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