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Structure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27초

G4C 스마트 앱 서비스 특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중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Using Intention by G4C Smart Application Service Characteristics: Comparing Korea and China)

  • 상회강;김화경;이종호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1호
    • /
    • pp.85-100
    • /
    • 2014
  • Purpose - Recently, the prevalence of high-spee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4G) and mobile devices (smart phones, tablet PC, etc.) is leading innovative changes across all fields in society as well as business environments. Furthermore, a diversified mobile application service has spread rapidly through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PCs. Accordingly, the traditional E-government services paradigm has rapidly changed into mobile intelligence.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using intention of G4C smart app servic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using G4C smart app services are defined; these are user cognitive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iness), user characteristics factors (user innovativeness, self-efficiency, social influence), service quality factors (convenience, interactivity, accessibility), and system quality factors (instant connectivity, safe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is designed not only to collect data with a questionnaire survey (9/22/13~10/23/13) but also to test hypotheses with SEM by SPSS 21.0 and AMOS 21.0 in both Korea and China. All items are used with Likert 5 scales. A total of 643 questionnaires (Korea 318, China 325) are used. Results -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iness in user cognitive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 on using intention. The user innovativeness, self-efficiency, and social factors in user characteristics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using intention. The convenience, interactivity, and accessibility in service quality factor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both reliability and using intention. Safety in system qual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both reliability and using intention. Reliability has positive influence on using intention. The control variables (Korea and China) affect its control hypothesis. Strategies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assist the public using the intention of smartphone's e-government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mobile application service can be considered a new emergence of the paradigm just like the government's on-line portal websites appeared in the past. Under this prevailing situation of mobile smart devices, to promote the success of e-government mobile APP services, accurat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users should precede anything, to provide services to grasp and satisfy users' desire properly. Conclusions - This study proposes implications to help E-governmental officers and companies make strategies. First, this is expected to give some information on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regarding the process of G4C smart APP service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Second, this helps to make future policies and ways about E-government G4C smart APP service. Third, it is proved that super spee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devices including phones will be crucial to change the structure of E-government services in 2-3 years.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rust and using intention of users. Fifth, considering what type of environment users are placed in, to present proper public information matching their inclination, is important. Finally, various ways of experiencing service to explore potential users and ceaseless public relations are required.

반도체 검사 장비를 위한 지능형 전자 성능 지원 시스템 (An Intelligent 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 for Semiconductor Testing Equipment)

  • 이상용
    • 인지과학
    • /
    • 제9권1호
    • /
    • pp.31-39
    • /
    • 1998
  • 본 논문은 HELPS라는 반도체 검사 장비를 위한 전자성능지원시스템(Electronic Performance Support System)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시스템의 목적은 운영 지원, 훈련, 지식 기반 고장 진단 및 수리를 위한 just-in time. on-the-job 멀티미디어에 기반을 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HELPS는 운영 모듈과 고장 진단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 모듈은 사용자에게 장비에 관한 자세하고 쉽게 접근이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와 하이퍼미디어를 사용한다. 멀티미디어는 정지 화상, 동화상, 에니메이션,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를 포함하는 다매체 형식을 통합한다. 하이 퍼미디어는 계층적인 정보 구조를 통하여 숙련된 오퍼레이터에게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특정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초보 오퍼레이터에게는 자세한 시스템 안내와 정보를 제공한다. 고장 진단 모듈은 오퍼레이터가 장비의 고장을 진단하고 수리하는 것을 자원하기 위하여 전문가 시스템과 멀티미디어를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전문가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단한 다음, 멀티미디어에 의한 어드바이스가 텍스트를 포함한 정지 화상이나 음성을 포함한 동화상에 의해 제시된다. HELPS는 훈련 시간과 고장 진단 및 수리 시간의 측면에서 평가되었고, 본 시스템 사용 전에 비하여 약 30%이상의 시간을 절감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본 시스템은 ICAI와 가상현실 기법 등을 이용하여 확장된다면 더 많은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주의하지 않은 방해자극이 표적의 식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attended Distractors on the Identification of Targets)

  • 박창호
    • 인지과학
    • /
    • 제24권4호
    • /
    • pp.365-391
    • /
    • 2013
  • 순간 노출된 자극판에서 표적과 동일한 방해자극이 옆에 있을 때, 표적의 정확 보고율이 떨어지는 부적 반복효과가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는 부적 반복효과의 성질을 탐구하기 위해, 자극판의 제시 전에 표적이 제시될 가능성이 있는 위치를 빨간 네모(주의창)로 표시하고, 표적이 제시되지 않는 위치는 회색 네모(비주의창)로 표시하는 기법을 도입했다. 실험참가자는 주의창 위치를 주의함으로써 표적을 더 잘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 1에서는 세 위치 중 두 위치가 개별(작은) 주의창으로 표시되었고, 실험 2에서는 네 위치 중 가운데 두 위치가 합쳐진(큰) 주의창으로 표시되었으며, 실험 3에서는 네 위치 중 가운데 두 위치가 큰 주의창으로 표시되거나 그 둘 중 한 위치가 작은 주의창으로 표시되었다. 세 실험의 결과, 주의창 위치에 제시된 두 문자들을 식별하는 조건에서는 선행 연구와 같이 부적 반복효과가 관찰되었다. 비주의창 위치에 제시됨으로써 주의 받지 않은 방해자극은, 세 실험에 걸쳐서 표적의 식별에 부적 반복효과(혹은 그 경향성)를 낳거나, 또 그 반대효과인 정적 반복효과(혹은 그 경향성)를 낳았는데, 표적과 방해자극의 거리 및 주의창의 크기가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 반복효과에 대한 반복맹 설명이나 위치불확실성 가설이나 억제적 주의포착 가설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 대신에 자극판에서 요구되는 공간 주의 변동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안한다. 주의와 지각의 관계에서 본 연구 과제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PDF

일본인이 지각하는 한국어 자음의 구조 (The Structure of Korean Consonants as Perceived by the Japanese)

  • 배문정;김정오
    • 인지과학
    • /
    • 제19권2호
    • /
    • pp.163-175
    • /
    • 2008
  •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 12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초성 자음에 대한 지각적 혼동을 조사하여 그들이 한국어 자음을 지각할 때 사용하는 심리적 차원과 특질들을 추출하였다. 개음절들은 비소음(no noise) 조건과 소음 조건에서 제시되고 참여자들은 그 정체를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로 자음들 간의 혼동 행렬(confusion matrix)을 구성하였고 이 행렬 자료로 가산 군집 분석, 개별차이 척도법 및 정보 전달율을 계산했다. 가산 군집 분석 결과, 비소음 조건에서 일본인들은 '다 타'를 가장 유사한 소리로 지각했으며, '가 카', '자 차 짜', '타 따', '파 빠', '사 싸' 순으로 지각적 군집을 형성하였다. 소음 조건에서는 '가 다 바', '마 바', '차 카 타 파' 등 10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는데, 이 군집들은 같은 청취 조건에서 '싸 짜', '다 자', '파 하' 등 발성 유형(공명, 이완, 기식, 긴장)이 같고 조음 방법이 다른 음소들을 유사한 소리로 지각한 한국인의 군집들과 큰 차이를 보였다. 개별차이 척도법을 적용한 결과, 소음 조건에서 공명음을 포함한 이완음과 나머지 음소를 구분하는 차원(이완성 차원), 기식성의 정도와 관련된 차원(기식성 차원) 및 조음 위치(설정음과 주변음)와 관련된 차원(설정성 차원)을 찾았다. 한국인이 보인 기식성과 긴장성 차원은 이원적인 값을 갖고 있었으나 일본인이 보인 차원은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정보 전달율을 분석한 결과, 일본인은 한국인에 비해 기식성과 긴장성의 후두 자질은 잘 지각하지 못하지만 순음성과 설정성의 조음 위치 자질은 더 잘 지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각 언어의 음소 범주를 구성하는 기저 표상의 구조적 차이로 다루는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PDF

제 7차 교육과정의 7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개념 분석 - 에너지와 지구 영역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Science Learning Concepts in the 7th Grade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 on Energy and Earth Field -)

  • 박상태;신영숙;이희복;육근철;김희수;김여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6-285
    • /
    • 2002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과학 교과서 에너지 및 지구 영역에 제시된 과학학습 개념을 구체적 개념과 형식적 개념 수준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현행 제 7차 교육과정의 검정을 받은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에너지 영역의 빛, 힘, 파동 단원과 지구 영역의 지구의 구조, 지각의 물질, 해수의 운동과 성분 단원 등 총 6개 단원에 제시된 과학학습 개념을 분석하였다. 출판사별로 제시된 개념의 수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에너지 영역에 제시된 과학학습 개념의 수는 54 - 74개로 나타났으며, 지구 영역에 제시된 개념의 수는 86 - 120개로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영역에서는 형식적 수준의 개념이, 지구 영역에서는 구체적 수준의 개념이 훨씬 많이 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과서 개발시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한 과학학습 개념의 제시 또는 교과 영역별 비중의 차이를 두어 단원을 구성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개념제시자의 특성이 고등학생의 물리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tructors' Characteristics on the Concept Change of Korean High-School Students.)

  • 임정수;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0-350
    • /
    • 1996
  • Knowledge is compos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cept structure already held by students and their experience, and learning can be said to be the active process of solving the cognitive conflict caused by this interac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sts in showing the effective learning method and finding out the elements which the teacher has to own, through examining several forms of pre-conception or mis-conception of the inertia, the force-equilibrium, the action and reaction, the heat, and the electric current, and then finding out their solution and studying student's change in science concepts. For this study, the types of concept on the five above-mentioned materials which students have were examined through the concept-classifying question paper, and the classes to which the class mode for the change of concepts applied, were practised in each different classroom by each different instructor - a professor, a scientist, a teacher, and two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effect of the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se classes, and each different instructor' influence on the change of concept in students. were examined. The result of my study is as follows; 1. Students have various types of pre-conception which are different from science concept, and these types of pre-conception tend to last even after learning in class. 2. The thoughts on the correct science concept of the high school third-grade students who learned the physics i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who don't learn the physics yet, were nearly equal those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by receiving the physics class through the cognitive conflict course were greatly changed especially that students showed the distinct change on mechanics and electric current. 3. Students didn't show the remarkable change of the science concept on the five materials in the four kinds of experimental classes by each different instructor but in the part of mechanics, there was the distinct change between the class by professor and those by the students.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authority and the attitude of the concept demonstrator. 1) The authority, the kind attitud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expe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rrect concept-formation of mechanics part -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mis-conception caused by the intuitive belief. 2) In the class by instructor with the democratic teaching method, the change of concept took place more easily, because in his class students could discuss the subject freely, so that they might experience the thought course to give them the confidence on the science concept.

  • PDF

성역할 개념형성과 교육에 관한 이론적 연구 (A Theoretical Study on Sex Role Concepts and the Problems of Education)

  • 이정덕;홍연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권1호
    • /
    • pp.93-109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education for sex role concepts of children on the basis of factor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in sex role concepts and their formation. Although some maintain that sex role concept of our society has been changing slowly, the traditional sex role concept still dominates and is potentially immanent.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of our society indicates that the formal as well as informal education are facing with various crucial problems in providing the direction of behavior demanded for carrying out the role. The close analysis of the three theories, psychoanalytic theory , social learning theory,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lends a support to the laim of the study that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provide an integrated frame of reference for us to see the sex role education analytically Furthermore, the factors which are found to have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sex role have been analyzed in three areas: Family, School and society. 1)The factors in family such as parental behavior of upbringing and their concepts of sex role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nature of sex tole concept of children. Therefore, the first step to make children to habe a new type of sex-role conception appropriate for modern societies is to change that of parental conception and attitudes. 2)the quantitative as well as the qualitative aspects of school education showed no exceptional trend from the dominant conception of the society, although school are expected to lead the society as formal education institution rather than just reflect the society.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ntents such as the conceived goal of education for eoch sex, textbook constitation, teaching behavior and sex-role concepts of teacher are found to be still dominated by the traditional sex-role assumption. 3) The social factors that have direct relationship with children's sex-role formation are social and cultural, which include social milieu, condition of employment, family structure and mass-media. Since family and school do not educate the young in a social vacuum. their educational function of sex-role formation are doomed to be limited and determined by these social factors. Unfortunately,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showed the dominance of traditional types of sex-role concepts in all these social factors. The education of sex-role concept for children sh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most crucial value problems related with many other important problems, such as direction and patterns of behaviors of each sex, the degree of self-development and capabilities, and consequently human right, equality, humanization and the quality of happiness. Neverthless, the analysis of researches on sex-role education which have been surveyed in this study lead to a conclusion that concerted effort to change the education, formal as well as informal should be provided in every aspect of social life. If the sex role education of the past has aimed at the "feminization"of girls which indoctrinate girls into a limited and fixed role of house wives, the new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directed foward "humanization" of both sexes which opens the diversity of roles for both boys and girl on equal levels and provide future possibilities in accordance to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and interests.

  • PDF

드로잉 교육의 뇌과학적 기제 연구 - 애니메이션 드로잉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rain Scientific Mechanism of Drawing Education - Focusing on the Animated Drawing)

  • 박성원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6호
    • /
    • pp.217-236
    • /
    • 2014
  •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의 전문적인 특성을 고려한 드로잉 교수법을 연구하기위한 문헌분석 과정으로 뇌의 기능과 학습, 창작 기제를 고려한 교수법을 적용하면 애니메이션 드로잉능력이 효율적으로 신장될 것이라는 관점의 연구를 위한 원리분석 과정이다. 최근 들어 각 분야의 교육방법에 대한 대안적인 논의로 뇌기반 학습원리가 적용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는 미술과 드로잉 교육 뿐만 아니라, 예술전반적인 교육적 대안으로 적용 실시되고 있다. 반면, 애니메이션 드로잉은 미술적 소양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움직임에 대한 구조적 지식과 인지적 감각, 소통방식을 숙련할 수 있는 종합적인 교수법을 요하는 것에 비해 전문적인 교수법 개발 연구는 미진하다. 이에 효과적인 교육의 원리를 뇌의 기제로 바라보고 뇌가 학습하고 창의성을 발휘하게 되는 원리를 분석하여 본다. 또한 그림그리기와 뇌의 기능에 대한 원리관계를 통해 드로잉과 뇌의 관계를 알아본다. 그 결과 구조와 형태를 그릴 수 있는 인지적 정보를 관할하는 좌뇌 뿐만 아니라, 그리기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우뇌를 통합 발달시켜야 하며, 창의성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물리적, 심리적 요소가 발현되는 통합적 뇌의 기제를 이해한 교수법이 개발되어야함이 드러났다. 애니메이션드로잉교육은 드로잉 능력에 필요한 예술적 창의 속성을 발휘하는 방법을 교육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은 기존의 애니메이션드로잉 교수법과의 차별성을 찾아내는 토대가 될 뿐만 아니라, 뇌기반-원리는 이후 교육의 전략과 방법 모형을 설계하는데 핵심적인 전략적 정의로 선정될 것이다.

심리적 본질주의와 범주표상 (Psychological Essentialism and Category Representation)

  • 김신우;조준형;이형철
    • 인지과학
    • /
    • 제32권2호
    • /
    • pp.55-73
    • /
    • 2021
  • 심리적 본질주의에 따르면 사람들은 어떤 범주를 규정하는 숨겨진 본질 속성(essential properties)이 있으며 이것이 그 범주가 가지는 전형적 속성들의 인과적 원인이라는 믿음을 가진다(Gelman, 2003; Hirschfeld, 1996; Medin & Ortony, 1989). 이러한 본질주의적인 믿음은 범주가 단순히 상관을 가진 속성의 집합("clusters of correlated features")이라고 제안한 Rosch (1973, 1978)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속성의 통계적 상관, 즉 가족 유사성만을 가진 범주와 달리 본질화된 범주는 범주간 경계가 매우 뚜렷하며 범주내 개체들이 동질적으로 여겨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Gelman, 2003; Prentice & Miller, 2007). 본질주의적 믿음이 범주 표상(범주간 경계, 범주내 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개의 실험을 실시했다. 참가자들은 조건에 따라 가족 유사성 범주와 본질화된 범주를 학습한 다음 범주화 과제(실험 1)와 범주 예시들의 빈도 추정 과제(실험 2)를 실시했다. 그 결과 본질화된 범주에서 범주간 경계가 더 뚜렷해졌으며 범주내 응집성이 높아졌다. 이 결과는 범주 속성의 단서 타당도와 범주 타당도가 증가하여 발생한 것으로 본질주의적인 믿음이 범주구조의 거시적인 표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릿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s on Grit)

  • 홍승희;현용찬;박정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31-1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비인지적 주제인 그릿(Grit)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성과를 파악하고 연구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그릿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방법은 'RISS'의 국내학술논문 중 KCI등재 및 KCI우수등재 그릿(Grit) 논문을 중심으로 사전에 설정된 기준(연도별 학술지 게재 현황,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 주제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총 203개의 그릿 논문이 검색되었고, 국내 학술지 92곳에 게재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대학생 연구가 88건(43.35%)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180건(88.67%)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양적연구 방법으로는 그릿과 다른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매개효과, 차이 검증 및 조절효과 검증 순으로 나타났고, 질적연구는 2017년 이후 연구가 진행되어 그릿 개념, 그릿 척도 개발 및 그에 따른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국내 그릿 발전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여, 교육현장에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