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tificate revoca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1초

타원곡선 암호를 이용한 효율적인 인증서 폐지 메커니즘 (An Efficient Certificate Revocation Mechanism Using Elliptic Curve Crypto-system)

  • 윤이중;한재우;한대완;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14
    • /
    • 2001
  • 각종 인터넷 보안기술의 기반기술로 작용하는 PKI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PKI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비효율적인 이용, 인증서 폐지 이유 발생 시점과 실제 인증서 폐지 시점의 시간차 발생 등의 문제를 갖고 있는 CRL을 이용하는 기존의 인증서 폐지 메커니즘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타원곡선 암호체계에서 mECC 기술과 Weil pairing을 이용하여 새로운 방식의 인증서 폐지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인증서 폐지메커니즘은 PKI 시스템 운용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무선 PKI와 같이 빠를 속도라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을 요구하는 환경에 적합하다.

분산 OCSP에서 인증서 상태 검증을 위한 효율적인 CRI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CRI managing for Certificate Status Validate in Distributed OCSP)

  • 김경자;장태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91-97
    • /
    • 2008
  • 기존 CA(Certificate Authority)에서 인증서의 유효기간 및 클라이언트에서 폐지한 CRI (Certificate Revocation Information)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행하여졌으나, 클라이언트 측면에서 인증서의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기에는 미흡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분산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환경에서 새로운 CRI 운영 모델을 제안한다.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s)을 분할하여 여러 OCSP 서버에게 최신의 CRL을 중복시키고, 그 외 CRL은 각 서버들에게 중복하여 분산시킨다. 이로써 기존의 CA의 병목현상을 줄이고, 전송되는 CRL의 크기도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인증서 상태를 실시간으로 검증할 수 있다.

  • PDF

실시간 인증서 상태검증의 성능개선 (Improvement of Performance for Online Certificate Status Validation)

  • 정재동;오해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4호
    • /
    • pp.433-440
    • /
    • 2003
  • 실물 경제행위가 사이버 공간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거래 상대방의 신원확인 문제가 대두되면서 전자서명이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인증서 폐지목록을 이용한 전자서명 검증방안이 실시간 검증에 대한 취약점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온라인 인증서 상태검증이라는 방법이 도입되었다. 이 경우 사이버 거래의 전자서명 검증을 요구하는 모든 트랜잭션 부하가 한 곳의 서버노드에 집중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현재 국내 금융거래에서는 이 방법을 일부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곧 한계를 드러낼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검증을 보장하면서, 인증 검증을 요청하는 노드에서 실시간 인증서의 상태정보론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인증서를 폐지할 때 폐지관리 노드가 검증노드에 인증서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시켜준다. 이 방법의 특징은 폐지관리 노드가 인증서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검증노드의 리스트를 저장한다. 인증서 사용자가 처음으로 한 검증노드를 접속한다면 상위 폐지관리 노드까지 가서 인증서 상태정보를 확인하여야 하며 이 때 폐지관리 노드에 사용하는 검증노드가 저장한다. 그 이후에는 폐지관리 노드에 폐지요청이 발생할 때 그 인증서를 사용하는 모든 검증노드에 실시간으로 폐지정보를 전달한다. 제안한 방식의 장점은 인증서 검증이 검증 요청 노드에서 완료될 수 있어서 검증시간을 단축시킬수 있다는 점과 인증서 상태정보에 대한 요청이 폐지관리 노드 한 곳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SN에서의 효율적 통신을 위한 인증서 폐지 목록 표현 기법 (Communication-Efficient Representations for Certificate Revoc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

  • 맹영재;아지즈;이경희;양대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7호
    • /
    • pp.553-558
    • /
    • 2007
  • WSN의 보안 알고리즘은 센서노드의 제한된 자원을 근거로 비교적 적은 연산과 적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대칭키를 이용하여 주로 연구되어 왔다. 하지만 공개키와 관련한 최근의 연구들은 실제 측정을 통해 센서노드가 가진 적은 자원으로도 공개키가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였으며 WSN에서 공개키의 사용을 가정한다면 자원 절약적인 키 관리 방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공개키의 중요한 키 관리 작업 중 하나인 인증서 폐지를 위한 두 가지 효율적인 인증서 폐지 목록 표현 기법을 소개한다. 첫 번째는 broadcast encryption에서 사용되는 CS(Complete Subtree)를 이용하는 기법이고 두 번째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이진벡터로 표현한 새로운 기법인 BVS(Bit Vector Scheme)이다. BVS 및 CS를 이용하여 통신 오버헤드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보이고 관련된 방법들의 비교로 결론을 내린다.

인증서 폐기 메커니즘의 최근 동향 분석 (Recent Trend Analysis of Certificate Revocation Mechanism)

  • 황원섭;김자영;정수민;윤동식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2004년도 제1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7-82
    • /
    • 2004
  • Kohnfelder는 1978년 그의 학사논문 'Towards a Practical Public-Key Cryptosystem'을 통해 처음으로 서명된 데이터구조 즉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공개키를 전달할 수 있는 인증서의 개념을 소개했다. 따라서 20년이 넘도록 이 개념은 무결성 관점에서 공개키를 필요한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확장 가능하고 안전한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다. 간단히 말하면, 공개키 인증서는 사용자의 이름이나 사용자와 연관된 어떤 특성을 사용자의 공개키와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현재 공개키 기반의 인증서는 인터넷뱅킹, 전자상거래 분야뿐만 아니라 개인 식별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대신 사용되는 등 그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인증서가 만료되지 않았더라도 발급된 인증서가 더 이상 유효해서는 안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인증서가 유효기간이 종료되기 전에 공개키 인증서를 폐기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면서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인증서 폐기는 PKI의 광범위한 사용에 따라 점차 중대한 문제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인증서 폐기 메커니즘 및 최근 동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Certificate Revocation List Distribution Scheme over the eMBMS for Vehicular Networks

  • Kim, Hyun-G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77-83
    • /
    • 2016
  • To verify the trustworthiness of messages, public key certificates and certificate revocation list(CRL) has been standardized for vehicular networks. However, timely distribution of large CRLs to vehicles should be more elaborated with low bandwidth utilization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o address this concern, we propose a CRL distribution scheme using long term evolution(LTE) point-to-multicast transmission, namely the enhanc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eMBMS). The schem is much more resourc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unicast CRL distribution schemes for vehicular networks and it allows realizing the regional CRL distribution schemes efficiently in LTE network. By means of ns-3 simulation, we analyze the performance, latency, and execution time of the scheme in terms of varying coverage of the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over single frequency network (MBFSN).

A Novel Certificate Revocation List Distribution for Vehicle Communications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Dan, Du Anh;Kim, Hyun-G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09-116
    • /
    • 2017
  • Short-lived pseudonym certificates as vehicle identities could satisfy both security and privacy requirements. However, to remove revoked certificates especially in vehicle communications, pseudonym certificate revocation list (CRL) should be distributed resource-efficiently from a practical deployment point of view and in a timely mann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CRL distribution scheme capable of CRL multicast to only activated vehicles registered to the CRL multicast group using the 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namely, the GCSE which is being standardized. The scheme is resource efficient by using CRL distribution paths instead of paging processes to find out multicast vehicle(s) within a certain region.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outperforms in terms of paging cost, packets transmission cost, and the processing cost at the respective entities compared to the existing four schemes in the literature.

A Regional Certificate Revocation List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the Local Vehicle Location Registration for Vehicular Communications

  • Hong, Hwi-Seung;Kim, Hyun-G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91-99
    • /
    • 2016
  • A certificate revocation list(CRL) should be distributed quickly to all the vehicles in the network to protect them from malicious users and malfunctioning equipments as well as to increase the overall security and safety of vehicular networks. However, a major challenge is how to distribute CRLs efficient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Regional CRL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the vehicle location registration locally to manage vehicle mobility. The method makes Regional CRLs based on the vehicles' location and distributes them, which can reduce CRL size and distribution time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method's signaling performance of vehicle's registration is enhanced from 22% to 37% compared to the existing Regional CRL distribution method. It's CRL distribution time is also decreased from 37% to 67% compared to the existing Full CRL distribution method.

검증자목록을 이용한 실시간 인증서 폐지 정보 전송의 설계 (Design of Online Certificate Revocation Information Transfer using Verifier Lists)

  • 이용준;정재동;오해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5-54
    • /
    • 2003
  • 공개키 인증서는 유효기간 이전에도 소유자의 신원정보 변경이나 개인키의 훼손과 같은 이유로 폐지가 가능하다. 인증서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유효기간을 가지기 때문에 폐지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공개키 기반구조에서 기술적인 중요한 문제는 인증서 상태에 대한 처리에 있다. 본 논문은 금융 네트워크의 환경에서 적합한 실시간 인증서 상태 확인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의 특징은 검증자목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인증서 폐지 정보를 전송하는데 있다. 이 방식은 성능에 대한 실험에서 대표적인 상태확인 메커니즘인 실시간 인증서 상태 프로토콜(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과 동일한 현재성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감내하기 어려운 집중된 네트워크 전송에서 상태 확인의 부담을 줄인다.

델타 CRL 운영 기술 개발 (Development on the Operating Technique for Delta CRL)

  • 김락현;엄희정;염흥열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5-27
    • /
    • 2002
  • 본 논문은 현재 국내·외에서 개발되었고 개발되고 있으며, 이미 표준화 단계를 앞두고 있는 인증서 발급 시스템 중에 인증서가 폐지되었을 경우에, 발급하는 인증서 폐지 목록(CRL)을 발급하는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고, 발급되는CRL의 크기를 감소시키며, 또한 전체 CRL의 발급 시간을 늘일 수 있는 Delta-CD 발급 시스템의 개발 및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상에서의 인증서 발급의 단점을 해소하고, 인증서를 보관하고 있는 인증서 보관소에 대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