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Interruption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여성의 경력단절과 육아휴직 제도와의 관계 (Determinants of Female-salaried Workers' Career Interruption)

  • 조동훈
    • 노동경제논집
    • /
    • 제39권4호
    • /
    • pp.79-9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 가운데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노동시장에서의 경력단절 결정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여성 임금근로자가 노동시장에서 최초 경력단절을 경험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개인의 특성과 일자리 특성 등을 고려하여 최초 경력단절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 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탈결정에 중요한 요인은 근로자가 속한 사업체가 여성의 출산과 육아로 인한 부담을 실제로 얼마나 고려하는 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내 출산휴가 혹은 육아휴직이 있는 경우 여성 근로자의 경력단절은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혼여성의 경력단절 및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 Interrupted and the Child Care of Married Women)

  • 엄경애;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1호
    • /
    • pp.21-40
    • /
    • 2011
  •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career interruption of highly-educated housewives, their experiences of caring for their children after career interruption, their psychological conflicts and coping strategies, and their attitudes toward reemployment. The participants were university-graduated housewives in their thirties who have pre-school children older than 2 year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twenty-nine participants. The essence of this study is the belief system that career and maternal roles are not compatibl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possessed a certain motherhood ideology, so they gave up working in order to care for their children, deferring their careers for a while. The participants had ambivalent feelings about working mothers, and described their children by highlighting their negative aspects. Additional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persistent conflicts about developing their careers and caring for their children during their period of career interruption. The participants seemed to possess a vague sense of hope about their careers, and their attitudes toward their careers were ambiguous in the past, present, and even in the future.

자기주도적 경력과 경력성공 간 관계 연구 -경력전략으로서의 경력단절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on the career success - Focused on the career interruption -)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2호
    • /
    • pp.13-26
    • /
    • 2016
  •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스스로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경력단절이나 직장이동을 경력개발을 위해 전략으로 활용하려는 이른바 무경계 경력관리(boundaryless career)나 프로틴 경력(protean career)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차원에서의 경력관리을 위한 경력단절이 경력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제3차 인적자원기업패널(HCCP)" 자료를 사용하여 경력관리를 위한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그룹(자기주도적 경력추구자)과 일반경력단절 그룹(일반경력관리자)으로 구분하여 이들 두 집단간 경력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주도적 경력추구자일수록 경력단절과 경력전략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적 경력관리를 하고 있는 근로자일수록 자신의 경력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다른 조직으로의 경력단절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기주도적 경력관리 집단일수록 실질적인 경력성공 달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경력관리자 집단보다 자기주도적 경력추구자 집단이 경력개발을 위한 경력단절이 이후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임금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The Life Course Events and the Career Interruption among Korean Women)

  • 민현주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53-72
    • /
    • 2011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기간을 생애주기사건과 노동시장조건의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9년 여성부의 의뢰를 받아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실태조사" 자료와 다항로짓 방법론을 이용하여, 경력단절여성들의 단절기간을 단기, 중기, 중장기, 그리고 장기로 분류하여 인구학적 변인, 인적자원수준, 생애주기사건, 그리고 노동시장조건이 경력단절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재취업의 조건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적성과 육아병행에 적합한 일자리 확보를 지적하였다. 또한 여성의 연령이 낮을수록, 인적자원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동시장에서의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여성들은 장기간 경력단절(60개월 이상)보다는 단기(12개월 미만)의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녀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자녀양육으로 인해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이 차별로 인해 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에 비해 재취업시기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기나 초등학교 연령의 자녀를 둔 여성들은 장기적인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근로자들의 지속적인 노동시장 참여를 위해서 일가족양립의 제도와 문화조성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동시에, 자녀양육 이외의 차별적 경험이 장기간의 경력단절을 이끄는 요인으로 나타난 바, 이에 대한 개선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경력단절여성 진로장벽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areer Barrier Scale for Career Interruption Women)

  • 김애리;탁진국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8권1호
    • /
    • pp.1-5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 대상 진로장벽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조사 대상은 과거 취업 경험이 있고, 재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결혼, 임신, 출산, 육아, 가족 돌봄 등의 이유로 퇴직을 경험한 만 20세~54세까지의 기혼여성으로 경력단절 기간은 1년 이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1에서는 문헌 검토, 경력단절여성 10명 대상 일대일 심층 인터뷰, 경력단절여성 100명 대상 개방형 설문을 실시 하여 7개요인 63개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도출한 63개 문항으로 경력단절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 39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최종 도출된 39문항과 연구대상에게 중요한 문항이라 판단되었으나 제거된 일부 문항을 추가하여 44문항으로 본조사를 실시 하였다. 경력단절여성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조사에서는 본 검사의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체 표집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1(G1, N=309)은 탐색적 요인분석, 집단 2(G2, N=291)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1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6요인 34문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의 모형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집단 2(G2)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모형적합도 기준에 충족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진로장벽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여자 대학생 진로장벽 검사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경력단절여성 진로장벽 척도와 여자 대학생 진로장벽 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취업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상태불안, 삶의 만족도 변인들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실무적, 정책적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아탄력성, 직무 스트레스가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on Job Performance of Nurses who are Reemployed after Career Interruption)

  • 김영은;이용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7-67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on job performance in reemployed nurses after career interrup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7 nurses who worked at hospitals with more than 100 bed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The nurses had experienced a career interruption of at least one year, and had less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at the current workpla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24.0 program an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participants' job performance, professional self-concepts,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job stress had an effect on the participant's job performance in order, and explained 51.3% of variance in job performance. Conclusion: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career disconnected nurses,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job stress control,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level of ego-resilience.

경력 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의 스트레스 경험 (The stress experience of nurses who are reemployed after career interruption)

  • 손은진;엄재현;남은숙;채영란;길명숙;박은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25-136
    • /
    • 2016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간호사의 경력단절 후 재취업 경험에 대한 스트레스의 경험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대상자는 보건의료기관 근무 후 퇴직하고 3년 이상 단절 후 다시 재취업을 경험한 간호사이다. 분석결과는 총 5개의 주제 군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범주는 '주어진 현실과 내 기대와의 엇박자', '어린선배와의 골이 깊어져 상처가 됨', '변화된 업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몸부림', '슈퍼맘으로서 홀로 지쳐감', '전문직으로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 침'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경력단절 후 재취업한 간호사들은 동료, 가정, 의료 환경과의 엇박자를 경험하면서도 이를 극복하여 궁극적으로 전문직 간호사로 나아가고자 발버둥 치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경력 단절 이후 재취업 하는 간호사가 현장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재취업 간호사를 교육하는 기관에서 변화된 병원환경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더불어 변화된 의료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업무환경과 간호업무의 전문성을 증진시키고 간호사의 자부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경력단절 간호사들이 재취업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정체성과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with Experienced on Beauty Education)

  • 신수정;이인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2권4호
    • /
    • pp.145-159
    • /
    • 2018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women who have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 Furthermore, the aim was to seek effective measures for making a career decision for the successful re-employment of women with a break in their career. From March $3^{rd}$ to April $2^{nd}$, 2018,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80 career-interrupted, married women with age between 30-50 years and with work experience of more than six months. The selected subjects had received 1-9 months of beauty education from variou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beauty academies, and women's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region. A total of 36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PSS Program for data analysis, Cronbach's ${\alph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apparent that the establishment of a career identity and social support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creating a relation with new career decisions for re-employment. Thu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in women with career interruption.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의도와의 관계에서 일-가정 전이의 매개효과: 전일제 기혼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The Mediation Effect of the Work-Family Spillover between Full-time Married Working Women's Inefficient Working Culture and Career Interruption Intention)

  • 박정열;손영미;신규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280-292
    • /
    • 2015
  • 본 연구는 전일제 기혼 여성근로자의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 의도의 관계에서 일-가정 전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일-가정 전이를 이루는 하위요인인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촉진의 두 측면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의 30-50대 전일제 기혼 여성 근로자 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 의도 간에 일-가정갈등은 부분매개의 역할(partial mediation)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의도 간에 일-가정 촉진 역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일-가정 전이에 대한보다 세분화된 관련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이들 변인들이 전일제 기혼 여성근로자들의 경력단절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경력단절 간호사의 경력단절 원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uses of Career Interruption in inactive nurses)

  • 유은주;이건정;황성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16-43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병원 근무 경험과 경력단절 영향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26-55세 경력단절 간호사 20명을 대상으로 간호사로서의 경험, 간호 일의 특성과 퇴직사유의 내용을 인터뷰하였으며 현상학적 방법 중 꼴라쥐(Colaizz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104개의 주요 진술과 17개의 구성된 의미, 6개의 공통 주제군,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2개의 범주는 간호 업무 특성과 근무 환경 특성이며 간호 업무 특성에서는 '시간 압박', '자율성 부재', '신체 감정 노동', '낮은 임금 상승률'의 4가지 공통 주제군이, 근무 환경 특성에서는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의 2가지 공통 주제군이 각각 도출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경력단절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과도한 업무강도를 완화하고 적정수준의 임금인상과 안전한 근무환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