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on Effect of the Work-Family Spillover between Full-time Married Working Women's Inefficient Working Culture and Career Interruption Intention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의도와의 관계에서 일-가정 전이의 매개효과: 전일제 기혼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 Received : 2015.03.25
  • Accepted : 2015.06.15
  • Published : 2015.08.28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mediation effect of the work-family spillover between full-time married working women's inefficient working culture and career interruption intention. The mediation effect is tested by classifying the work-family spillover effect into two subfactors: the work-family conflict and the work-family facilitation. For this purpose, we sampled 281 full-time married working women aged between 30 and 50s and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both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facilitation play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This finding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examine the effects of subfactors for work-family spillover to married working women's career interruption.

본 연구는 전일제 기혼 여성근로자의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 의도의 관계에서 일-가정 전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매개효과의 검증은 일-가정 전이를 이루는 하위요인인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촉진의 두 측면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의 30-50대 전일제 기혼 여성 근로자 총 2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 의도 간에 일-가정갈등은 부분매개의 역할(partial mediation)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효율적 업무문화와 경력단절의도 간에 일-가정 촉진 역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에서는 일-가정 전이에 대한보다 세분화된 관련 요인들을 지속적으로 탐색하고, 이들 변인들이 전일제 기혼 여성근로자들의 경력단절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손영미, 박정열,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족 전이에 미치는 조직문화와 지원제도의 영향력 비교", 한국웰니스학회지, 제9권, 제4호, pp.111-124, 2014.
  2. M. R. Frone, Work-Family Balance, In J. C. Quick & L. E. Tetrick (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pp.143-16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3.
  3. J. H. Greenhaus and G. N. Powell,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31, No.1, pp.72-92, 2006. https://doi.org/10.5465/AMR.2006.19379625
  4. J. G. Grzywacz and A. B. Butler, "The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work-to-family facilitation: Testing a theory and distinguishing a construct," J.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10, pp.97-109, 2005. https://doi.org/10.1037/1076-8998.10.2.97
  5. L. Wadsworth and B. Owen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conflict in the public sector," PAR, Vol.56, No.2, pp.75-87.
  6. 최화영, 정철영, "국내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산업교육연구, 제28호, pp.65-92.
  7. K. Byron, "A meta-analytic review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J. of Vocational Behavior, Vol.67, No.2, pp.169-198, 2005. https://doi.org/10.1016/j.jvb.2004.08.009
  8. 강혜련, 김태홍, "가정영역의 책임이 근로자의 노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인사관리연구, 제24권, pp.347-369, 2000.
  9. 손영미, 박정열,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 장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9권, 제2호, pp.161-190, 2014.
  10. 강혜련, 임희정, "성취동기와 가족친화제도가 기혼 여성의 직장-가정 갈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조절변인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5권, 제2호, pp.1-14, 2000.
  11. 정우진, 김강식, "근로시간과 일-가정갈등 및 이직의향", 질서경제저널, 제17권, 제2호, pp.69-87, 2014.
  12. W. R. Pasewark and R. E. Viator, "Sources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accounting profession", Behavioral Research in Accounting, Vol.18, pp.147-165, 2006. https://doi.org/10.2308/bria.2006.18.1.147
  13. 박정열, 손영미, 김정운, "직장인의 일에 대한 재미지각척도 개발 및 구성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7권, 제2호, pp.241-260, 2001.
  14. 통계청, 경제활동 인구조사, 통계청. 2014a.
  15. OECD. OECD employment outlook 2014. OECD Publishing, 2014. DOI:10.1787/empl_outlook-2014-en.
  16. 통계청, 2013 성별 고용률과 임금격차 조사, 통계청, 2014b.
  17. 장서영,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제74권, 제 1호, pp.79-104, 2008.
  18. 안은정, "일-가정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연구 : 가정친화조직, 직무특성, 역할관여 및 개인특성을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 제11권, 제 2호, pp.75-120, 2013.
  19. M. R. Frone, J. K. Yardley, and K. S. Markel, "Developing and testing an integrative model of the work-family interface," J. of Vocational Behavior, Vol.50, pp.145-167, 1997. https://doi.org/10.1006/jvbe.1996.1577
  20. M. T. Ford, B. A. Heinen, and K. L. Langkamer,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 of Applied Psychology, Vol.92, No.1, pp.57-80, 2007. https://doi.org/10.1037/0021-9010.92.1.57
  21. 이병재, 정태석, "직장-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J.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제11권, 제8호, pp.75-93, 2013.
  22. A. Ahmad and Z. Omar, "Informal workplace family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Testing a mediation model,"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41, No.4, pp.555-556, 2013. https://doi.org/10.2224/sbp.2013.41.4.555
  23. G. E. Kreiner, "Consequences of work-home segmentation or integration; A person-environment fit perspective," J.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7, pp.485-507, 2006. https://doi.org/10.1002/job.386
  24. 김효선, 차운아, "직장-가정 간 상호작용과 가족 친화적 조직지원이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2권, 제4호, pp.515-540, 2009.
  25. 최현정, "직장-가정 지원(WFF), 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0권, 제2호, pp.157-174, 2011.
  26. 정효수, "보상특성 및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1-22, 2010.
  27. 최병권, "보상특성 및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7권, 제4호, pp.145-170, 2013.
  28. 조선희, 박현식,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2권, 제1호, pp.323-340, 2012.
  29. 연영란,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 간호조직 문화 및 이직의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 15권, 제8호, pp.4981-4986,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8.4981
  30. P. P. M. Janssen, M. C. W. Peeters, J. Jonge, I. Houkes, and G. E. R. Tummer, "Specific relations between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psychological outcomes and the mediating role of negative work-home interference," J. of Vocational Behavior, Vol.65, pp.411-429, 2004. https://doi.org/10.1016/j.jvb.2003.09.004
  31. A. J. Montgomery, E. Panagopolou, and A. Benos, "Work-family interference as a mediator between job demands and job burnout among doctors," Stress and Health, Vol.22, pp.203-212, 2006. https://doi.org/10.1002/smi.1104
  32. S. Geurts and E. Demerouti, "Work/non work interface: A review of theories and findings," In M. J. Schabraq, J. A. M. Winnbust, & C. L. Cooper (Eds.), The handbook of work and health psychology. Chichester: John Wiley & Sons, pp.279-312, 2003.
  33. E. L. Hughes and K. R. Parkes, "Work hours and wellbeing: The roles of work-time control and work-family interference," Work & Stress, Vol.21, No.3, pp.264-278, 2007. https://doi.org/10.1080/02678370701667242
  34. 김대수,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 그리고 반생산적 업무행동 간의 관계: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의 매개 효과", 경영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247-272, 2013.
  35. 문영주, "사회복지사의 가족친화문화인식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확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3호, pp.121-145.
  36. M. E. Hambrick, J. M. Simmons, and T. Q. Mahoney, "An inquiry into the perceptions of leisure-work-family conflict among female ironman particip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Management and Marketing, Vol.13, No.3, pp.173-199, 2013. https://doi.org/10.1504/IJSMM.2013.059719
  37. Y. Lau, C. M. J. Lai, P. San wan, T. Ka Ying Wong, and L. Yin Lai, "Work-family conflicts, family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functioning in Hong Kong," International Employment Relations Review, Vol.18, No.1, p.82, 2012.
  38. S. J. Lambert, "Processes linking work and family: A critical review and research agenda," Human Relations, Vol.43, No.3, pp.239-257, 1990. https://doi.org/10.1177/001872679004300303
  39. 김정운, 박정열, 손영미, 황기돈, 일과 삶의 조화 (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 서울: 문화관광부, 2006.
  40. J. G. Grzywacz and N. F. Marks, "Reconceptualizing the work-family interf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correlates of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between work and family," J.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1, pp.111-126, 2000. https://doi.org/10.1037/1076-8998.5.1.111
  41. C. Simmons, J. Cochran, and W. Blount, "The effects of job-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probation officers'inclinations to quit," American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21, No.2, pp.213-229, 1997. https://doi.org/10.1007/BF02887450
  42. B. G. Tabachnick and L. S. Fidell,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Y: Harper & Row, 2001.
  4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1173,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4. R. A. Karasek, "Job demands, job decision at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4, pp.285-308, 1979. https://doi.org/10.2307/2392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