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ning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초

가다랑어 자숙액, 혈합육, 두부 및 내장의 유효성분 (Available Components of Cooking Drips, Dark Muscle, Head and Raw Vicera from Skipjack)

  • 최영준;김인수;이근우;김근배;이남걸;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01-708
    • /
    • 1996
  • 가다랑어 부산물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성과 해산어 사료원으로서의 가치를 판단할 목적으로 자숙액, 자숙 혈합육, 해동 된 내장 및 자숙 두부를 시료로 택하여 일반성분,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조성과 핵산관련물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분의 함량은 자숙액, 내장, 혈합육, 두부의 순으로 낮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혈합육이 $26.6\%$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조지방은 가다랭이 두부가 가장 높은 $8.5\%$였으며, 내장과 혈합육은 거의 비슷한 $6.1\%$$6.8\%$였다. 2. 자숙액의 총아미노산 중 비교적 많은 아미노산은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 그리 고 histidine으로 총아미노산의 $53\%$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중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그리고 leucine으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자숙액,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유리아미노산 양은 각각 543.7mg/100mL, 1429.7mg/100g, 5397.5mg/100g, 594.9 mg/100g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부위에 따라 조성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합육과 두부의 중요 아미노산은 taurine, histidine, anseriene 이었다. 한편 내장은 몇가지 아미노산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고른 아미노산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특히 혈합육은 다른 시료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histidine, anserine 및 carnosine을 포함하고 있었다. 5.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포화지방산은 $46.21\%,\;43.69\%,\;50.24\%$, 모노엔산은 $18.07\%,\;28.87\%,\;24.58\%$, 폴리엔산은 $35.74\%,\;27.80\%,\;25.14\%$였다. 혈합육의 총지 방산은 DHA, palmit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함유 비율이 높았으나, 내장과 두부는 palmitic acid, DHA, oleic acid의 순으로 함유 비율이 높았다. 6. 혈합육, 내장 및 두부에서 ATP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inosine과 hypoxanthine의 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내장의 hypoxanthine의 양은 혈합육의 4배, 두부의 3배에 해당하였다.

  • PDF

효소 분해에 의한 가다랭이 혈합육 단백질 농축물의 단백질 보강제로서의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with the Protein Forthification Material of Skip-jack Dark Meat Protein by Enzymatic Hydrolysis)

  • 우강융;배영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23-329
    • /
    • 1995
  • 가다랭이 통조림 제조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혈합육의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다랭이 혈압육 단백질 농출물과 ${\alpha}-chymotrypsin$으로 단백질 농축물을 가수분해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만들어 이들의 용해도, 가수분해도, 유리아미노산 함량 등을 측정하고, 모조 어간장 및 어묵제조시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통하여 기호성 등을 평가하였다. 단백질 농축물의 pH 1 부터 12 사이에서의 용해도는 전 구간에 걸쳐 36% 이하였고, pH 7에서 가장 낮은 22%를 보였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전 구간에 걸쳐 65%에서 81%로 나타났고, 용해도가 가장 낮은 pH는 7이었다. 용해도 곡선의 양상은 두 단백질에서 비슷하였다. 단백질 농축물의 가수분해도는 가수분해 12시간에서 79.8%였고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약간의 증가만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단백질 농축물이 단백질 가수분해물 보다 약간 높았으나,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 단백질 모두 taurine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단백질 농축물에서는 taurine, histidine, arginine, alanine 순으로 많은 함량을 보였고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는 valine, taurine, leucine, alanine순으로 많이 함유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모조 어간장 제조시 첨가할 경우 모조 어간장 제조 원료액 100ml당 8g의 첨가가 적당하였고, 관능검사 결과 시판 어간장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다. 어묵제조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2%까지 첨가여도 품질면에서 손색없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복숭아 일차가공품(一次加工品)의 저장성(貯藏性)에 관한 연구(硏究) (Storage Trial of Preliminary Processed Peach)

  • 이동선;구영조;신동화;로이소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9-226
    • /
    • 1981
  • 수확시기가 아주 짧은 복숭아의 가공기간(加功其間)을 연장(延長)하기 위하여 수확시기에 일차가공품으로 대량 처리 저장하는 방법을 정립코자 복숭아를 반절(半切)솔리드팩으로 가공하였다. 침지 전처리방법, 살균방법, 포장방법 및 저장조건이 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완제품 복숭아 통조림으로 가공하여 관능적으로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연산 및 비타민 C침지에 의한 플라스틱 필름 파우치 포장저장 6개월에서의 품질은 3 겹파우치는 비타민C 처리구가 좋았고 2 겹파우치는 구연산처리구가 양호하였다. 2. 포장후 살균 및 고온충진 등 살균방법이 솔리드팩 저장중 색택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컸으나 최종 완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3. 포장방법 이 솔리드 팩 저장 및 완제품 가공적성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관(罐) 및 3 겹파우치 포장이 2 겹파우치 포장보다 양호하였다. 4. 저장중 품질보존 및 완제퓸 가공적성으로는 상온$(20^{\circ}C)$ 보다 저온$(5^{\circ}C)$ 저장이 효과적이었다.

  • PDF

토마토페이스트소스첨가 멸치(Engraulis japonica) 육젓필레통조림의 제조 및 특성 (Processing and Characteristics of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Fillet using Tomato Paste Sauce)

  • 권순재;이재동;윤문주;박진효;제해수;공청식;노윤이;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19-725
    • /
    • 2014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basic data for application to the canning process of salt-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fillet using tomato paste. The salt fermented anchovy fillet was prepared by fermenting anchovy fillet with salt 15% at $5^{\circ}C$ for 15 days and then cold air drying the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for 1 h at $16{\pm}1^{\circ}C$. The dri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85 g was filled with 60 g of tomato paste sauce (tomato paste 42%, gum guar 1.0%, salt 2.0%, starch syrup 2.0%, cooking wine 1%, water 52%) and seamed by vacuum seamer in 301-3 can, then sterilized at Fo 9 and 11 min in a steam system retort at $121^{\circ}C$, respectively. The factors such as chemical composition, pH,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amino-N, color value (L, a, b), texture profil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sensory evaluation and viable bacterial count of the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were measured. Texture value of the product sterilized at Fo 11 min was higher than at Fo 9 min condition. In both sterilized cans, the viable bacterial counts were not detected. There wa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physicochemical between sterilization conditions.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most sensory evaluation inspector judged that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sensory difference of both products sterilized at Fo 9 min and at 11 min. The results showed that sterilization of Fo 9 min was more desirable than that of Fo 11 min to prepare canned salt-fermented anchovy fillet using tomato paste sauce, because this condition is more economical.

참치(Katsuwonus pelamis) 자숙액 농축물의 마우스 대식세포 및 비장세포에 대한 면역증강활성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Cooking Juice Concentrates on Mouse Macrophages and Spleen Cells)

  • 강보경;김꽃봉우리;안나경;최연욱;김민지;박시우;박원민;김보람;박지혜;배난영;안동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76-784
    • /
    • 2014
  • Tuna cooking juice concentrate (TCJC) is by-produced during the canning processing of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and it is well known that TCJC contains various nutritional components. Therefore, the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TCJC was investigated using macrophage RAW 264.7 cell line and the spleen cell isolated from BALB/c mice. The TCJC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6, TNF-${\alpha}$, and IL-$1{\beta}$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in RAW 264.7 cells without any toxicity.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of TNF-${\alpha}$ was increased over 300-fold. The production of both Th1 cytokine (such as IFN-${\gamma}$, TNF-${\alpha}$, IL-2, and IL-12) and Th2 cytokine (IL-4, IL-6, IL-10) was also increased by TCJC treatment in splenocytes. Moreover, the TCJC increased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ompared to cont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CJC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promoting various cytokine production.

Kinetics of Thermal Inactivation of Peroxidases and Polyphenol Oxidase in Pineapple (Ananas comosus)

  • Lee, Ting Hun;Chua, Lee Suan;Tan, Eddie Ti Tjih;Yeong, Christina;Lim, Chew Ching;Ooi, Siew Yin;Aziz, Ramlan bin Abdul;Aziz, Azila binti;Sarmidi, Mohd Roji b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661-666
    • /
    • 2009
  • The heat tolerance and the inactivation kinetics of peroxidase (POD) and polyphenol oxidase (PPO) in pineapples (Ananas comosus) were studied in the temperature range $45-95^{\circ}C$. The kinetic parameters, such as deactivation rate constant (k), activation energy ($E_a$), and decimal reduction rate (D) of the thermal inactivation process, were determined. POD in pineapples showed biphasic inactivation behavior at temperatures range $45-75^{\circ}C$ but was monophasic at $85-95^{\circ}C$. This indicate that POD has 2 isozymes, namely heat labile and heat resistant, with $E_a$ of 68.79 and 93.23 kJ/mo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heat denaturation of pineapple PPO could be described as simple monophasic first-order behavior with $E_a$ of 80.15 kJ/mol.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useful in blanching technology where it shows a shortened time with higher temperature can be applied. The determination of the heat tolerance and inactivation POD and PPO, at different temperature range as done in the present work, wa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blanching process. This also will help to optimize the pineapple canning process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od industries in many tropical regions.

강바닥판 구조성능 개선을 위한 보강재 설치에 관한 매개변수해석 (A Numerical Analysis on the Diaphragm and Cutout Structures for Improvement of Structure Performance in Orthotropic Steel Decks)

  • 신재철;안주옥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41-47
    • /
    • 2009
  • 강바닥판의 횡리브 복부판에서는 전단력과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하는 동시에 종리브의 비틀림으로 인한 면내외 변형이 작용하기 때문에 교차부와 컷아웃부에 응력집중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피로균열 발생사례가 가장 높은 교차부와 컷아웃부에서의 응력집중현상 완화를 통하여 피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상세를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다이아프램의 설치는 교차부와 컷아웃부에서의 응력집중현상 완화효과에 유리한 구조상세이다. 다이아프램의 위치에 대한 응력집중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서 다이아프램 위치를 횡리브 복부판과 일치된 곳으로부터 교축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며 그 응답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컷아웃폭을 대상으로 매개변수해석을 수행하여 최대응력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이아프램은 횡리브 복부판과 횡리브 축 방향으로 일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응력집중현상을 완화시켜 구조성능 개선에 유리한 구조상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다이아프램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설치한 경우가 피로성능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컷아웃폭은 바닥강판으로부터 종리브 바닥판면까지의 거리($y_{gotal}$)에 대한 바닥강판으로부터 컷아웃부의 종리브와 횡리브 교차점까지의 거리($y_i$)의 비($y_i/y_{total}$) 0.85가 되도록 컷아웃폭을 설정하는 경우가 구조성능 개선에 유리한 구조상세임을 알 수 있었다.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Commercial Processed Foods)

  • 전옥경;김연천;한선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8-314
    • /
    • 2001
  • 본 연구는 가장 대중적인 가공식품이라 할 수 있는 통조림류, 청량음료류 등에 있어서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고 안전성과 오염 정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0년 3월에서 2001년 2월말까지 서울시내 대형 유통 매장에서 판매 중인 통조림, 청량음료 총 24종 120건을 채취하여 납(Pb), 크롬(Cr), 카드뮴(Cd), 주석(Sn)함량을 측정한 결과, 통조림에 있어서의 납의 평균 함량은 과일통조림이 0.041ppm으로 가장 높았고, 농산물통조림과 수산물통조림은 0.024ppm으로 나타났으며 청량음료류는 과일쥬스류가 0.043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탄산음료(0.029ppm), 혼합음료 (0.017ppm)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과일 원료인 제품에서 납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원료 자체에 의한 영향보다는 과일 유기산에 의한 산도의 증가에 의하여 중금속의 용출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라 판단 되며, 또한 수산물 통조림의 납 함량이 과일, 채소류 통조림보다도 낮게 나타난 것은 시료로 사용된 참치, 꽁치, 고등어통조림의 경우 이미 가공과정에서 중금속 함량이 높은 내장과 껍질 부위의 많은 부위가 제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크롬함량의 경우 납과 유사하게 과실 원료인 통조림과 과실쥬스류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이것은 총 크롬 함량이므로 3가 크롬과 6가 크롬의 함량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카드뮴 함량은 통조림과 청량음료의 경우 수산물 통조림을 제외하면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는데 특히 청량음료의 경우 식품위생법상의 기준이 0.1ppm인 것에 비해 점반적으로 수ppb수준으로 나타나 기준으로서의 필요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조림과 청량음료의 주석 함량은 과일 원료인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농산물 통조림의 경우 특히 죽순 통조림의 주석 함량이 매우 높아 최고 61.760ppm을 나타내었는데 죽순 자체의 산도가 높지 않은데도 통조림의 주석 함량이 높은 것은 죽순 가공과정에서 갈변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한 아황산염의 영향으로 산도가 낮아진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식과 가공식품의 섭취량이 과거에 비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식생활에 미치는 영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보다 현실적인 접근방식에 의한 가공식품 전반에 걸친 영양학적 위생학적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통조림용 가다랑어육의 식품성분 (Components of White and Dark Muscle of Skipjack for Canning)

  • 오광수;김정균;김인수;이응호;김복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8-184
    • /
    • 1990
  • 가다랑어 혈합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기초연구로서, 가다랑어 혈합육의 지질성분, 함질소엑스분 및 구성아미노산 등을 보통 육과 함께 분석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보통육은 혈합육에 비해 수분, 조단백질 함량은 약간 많은 반면, 조지방과 조회분 함량은 혈합육이 약간 많았다. 휘발성염기질소량은 보통육이 22.7mgg/100g, 혈합육이 46.9mg/100g으로 혈합육이 보통육에 비해 선도저하가 훨씬 빨랐다. 보통육과 혈합육의 총지질 조성은 각각 중성지질 $79.7\%,\;71.9\%$, 당지질, $6.8\%,\;9.5\%$, 인지질 $13.5\%,\;18.6\%$로 이루어져 있었다. 중성지질의 성분은 free fatty acid 및 triglyceride, 인지질은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이 주성분이었고, Iyso형 인지질의 축적도 확인되었다. 총지질, 중성, 당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보통육은 16: 0 및 18 : 1을 주체로 한 포화산 및 모노엔산의 조성비가 혈합육보다 높았으며, 혈합육은 폴리엔산, 특히 22 : 6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16 : 0, 18 : 0, 18 : 1, 20:5 및 22:6 등이 주요 구성지방산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총함량에서 보통육 쪽이 많았고, 보통육에는 histidine, 혈합육에는 taurine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 IMP량은 통육에서는 680.9mg/100g정도 잔존해 있었으나, 혈합육에서는 IMP의 분해가 급속히 진행되어 73.1mg/100g에 지나지 않았다. TMAO 및 TMA는 보통 육에 비해 혈합육에 훨씬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total creatinine은 보통육 쪽이 많았다. 구성아미노산의 조성은 양시료 간에 별차이가 없었고, glutamic acid, aspartic acid, Iysine, leucine, alanine, isoleucine 및 arginine 등이 주요 구성아미노산이었다.

  • PDF

마비성 패류독 허용기준치 재설정을 위한 연구 3. 마비성 패류독의 내열성 (Reestablishment of Approval Toxin Amount in Paralytic Shellfish Poison-Infested Shellfish 3. Thermal Resistance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 신일식;김영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48
    • /
    • 1998
  • 마비성 패류독(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에 의하여 독화된 패류의 유효이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독화된 진주담치의 중장선 균질육, 0.1N HCI로 추출한 조독소 용액, 중장선으로부터 정제한 gonyautoxin(GTX) group 과 saxitoxin(STX) group 등 4가지 형태의 PSP 독소에 대한 내열성을 조사하였다. 독화된 진주담치의 중장선육 균지액, 산추출 조독소액, GTX group, STX group, STX group 등 4종류의 반응속도 상수는 $120^{\circ}C$에서 $3.28{\times}10^{-2},\;1.20{\times}10^{-2},\;5.88{\times}10^{-2},\;2.58{\times}10^{-2}$이었으며 4종류의 독소 중 0.1 N HCl로 추출한 조독소용액의 D-value가 가장 높았다. 반응속도 상수를 이용한 살균 온도 산정에 있어서, 최초 독력이 $200\;\mu\textrm{g}/100g$인 독화된 진주 담치육의 경우, 독력을 마비성 패류독 규제치인 $80\;\mu\textrm{g}/100g$으로 감소시키는데는 $90^{\circ}C$에서는 약 129분, $100^{\circ}C$에서는 약 82분, $110^{\circ}C$에서는 약 48분, $120^{\circ}C$에서는 약 28분 걸렸다. 이러한 결과는 최초 독력이 $200\;\mu\textrm{g}/100g$인 패류의 경우, 통조림 살균공정 후 잔존 독력이 규제치인 $80\;\mu\textrm{g}/100g$ 이하로 감소시키는 데에는 현재의 살균조건($115^{\circ}C$, 70분) 으로는 충분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