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le Components of Cooking Drips, Dark Muscle, Head and Raw Vicera from Skipjack

가다랑어 자숙액, 혈합육, 두부 및 내장의 유효성분

  • CHOI Yeung Joon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In-Soo (Department of Food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eun-Woo (Department of Seafood Processing Kunsan University) ;
  • KIM Geon-Bae (Department of Seafood Processing Kunsan University) ;
  • LEE Nahm-Gull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J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최영준 (경상대학교 수산가공학과) ;
  • 김인수 (경상대학교 식품과학과) ;
  • 이근우 (군산대학교 수산가공학과) ;
  • 김근배 (군산대학교 수산가공학과) ;
  • 이남걸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조영제 (부산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6.09.01

Abstrac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a by-products of skipjack canning as a food or feedstuff, the proximate composition, total and free amino acids, total lipid composition, and nucleotide related compounds were analyzed. The crude protein was highest in dark muscle, while lipid was highest in head. The important total amino acids in by-products were founded to be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 and histidine. The important free amino acids from dark muscle and head were taurine, histidine and anserine. The amounts of histidine, anserine and carnosine in dark muscle was higher than those of cooking drips, head, and raw vicera. The major fatty acids in by-products were palmitic, stearic, oleic and docosahexaenoic acid (DHA). The inosine and hypoxanthine were important nucleotide related compounds in by-products. The results suggests that by-products from skipjack can be used as food sources and feedstuffs especially for marine fish culture.

가다랑어 부산물의 식품소재로서의 활용성과 해산어 사료원으로서의 가치를 판단할 목적으로 자숙액, 자숙 혈합육, 해동 된 내장 및 자숙 두부를 시료로 택하여 일반성분, 총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조성과 핵산관련물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분의 함량은 자숙액, 내장, 혈합육, 두부의 순으로 낮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혈합육이 $26.6\%$로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조지방은 가다랭이 두부가 가장 높은 $8.5\%$였으며, 내장과 혈합육은 거의 비슷한 $6.1\%$$6.8\%$였다. 2. 자숙액의 총아미노산 중 비교적 많은 아미노산은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 그리 고 histidine으로 총아미노산의 $53\%$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중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그리고 leucine으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자숙액,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유리아미노산 양은 각각 543.7mg/100mL, 1429.7mg/100g, 5397.5mg/100g, 594.9 mg/100g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부위에 따라 조성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혈합육과 두부의 중요 아미노산은 taurine, histidine, anseriene 이었다. 한편 내장은 몇가지 아미노산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고른 아미노산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특히 혈합육은 다른 시료에 비하여 비교적 많은 histidine, anserine 및 carnosine을 포함하고 있었다. 5. 혈합육, 내장 및 두부의 포화지방산은 $46.21\%,\;43.69\%,\;50.24\%$, 모노엔산은 $18.07\%,\;28.87\%,\;24.58\%$, 폴리엔산은 $35.74\%,\;27.80\%,\;25.14\%$였다. 혈합육의 총지 방산은 DHA, palmit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함유 비율이 높았으나, 내장과 두부는 palmitic acid, DHA, oleic acid의 순으로 함유 비율이 높았다. 6. 혈합육, 내장 및 두부에서 ATP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inosine과 hypoxanthine의 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내장의 hypoxanthine의 양은 혈합육의 4배, 두부의 3배에 해당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