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Commercial Processed Foods

시중 유통 가공식품 중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 전옥경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김연천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 한선희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tent of heavy metals in canned foods and soft drinks available on the Korean markets. Trace metals (Pb, Cr, Cd, and Sn) were detected in 24 kinds, 120 samples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canned foods was in the order of Sn (6.930 ppm)>Cr (0.050 ppm)>Pb (0.030 ppm)>Cd (0.008 ppm), which was the same order in soft drinks as Sn (3.519 ppm)>Cr (0.080 ppm)>Pb (0.024 ppm)>Cd (0.001 ppm). The total contents of heavy metals in canned fruits and fruit juice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cans and drinks made of vegetable and fish. It can be supposed that the high acidity owing to the organic acid of fruit itself promotes to extract metals from can materials, and although fish usually contains more heavy metals than vegetables, canned fish revealed low level because internal organs and most of skin which had more heavy metals than meat were removed throughout canning process. Because processed foods such as canned foods and soft drinks are very popular with the children and adolesc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life style and eating habit, and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heavy metals by the habitual intake of these is increasing simultaneously, it is suggested that more practical study about the process of exposure and the amount in each step is needed fur the assessment of safety.

본 연구는 가장 대중적인 가공식품이라 할 수 있는 통조림류, 청량음료류 등에 있어서의 중금속 함량을 분석하고 안전성과 오염 정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0년 3월에서 2001년 2월말까지 서울시내 대형 유통 매장에서 판매 중인 통조림, 청량음료 총 24종 120건을 채취하여 납(Pb), 크롬(Cr), 카드뮴(Cd), 주석(Sn)함량을 측정한 결과, 통조림에 있어서의 납의 평균 함량은 과일통조림이 0.041ppm으로 가장 높았고, 농산물통조림과 수산물통조림은 0.024ppm으로 나타났으며 청량음료류는 과일쥬스류가 0.043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탄산음료(0.029ppm), 혼합음료 (0.017ppm)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과일 원료인 제품에서 납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원료 자체에 의한 영향보다는 과일 유기산에 의한 산도의 증가에 의하여 중금속의 용출이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라 판단 되며, 또한 수산물 통조림의 납 함량이 과일, 채소류 통조림보다도 낮게 나타난 것은 시료로 사용된 참치, 꽁치, 고등어통조림의 경우 이미 가공과정에서 중금속 함량이 높은 내장과 껍질 부위의 많은 부위가 제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크롬함량의 경우 납과 유사하게 과실 원료인 통조림과 과실쥬스류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이것은 총 크롬 함량이므로 3가 크롬과 6가 크롬의 함량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카드뮴 함량은 통조림과 청량음료의 경우 수산물 통조림을 제외하면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는데 특히 청량음료의 경우 식품위생법상의 기준이 0.1ppm인 것에 비해 점반적으로 수ppb수준으로 나타나 기준으로서의 필요성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통조림과 청량음료의 주석 함량은 과일 원료인 경우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농산물 통조림의 경우 특히 죽순 통조림의 주석 함량이 매우 높아 최고 61.760ppm을 나타내었는데 죽순 자체의 산도가 높지 않은데도 통조림의 주석 함량이 높은 것은 죽순 가공과정에서 갈변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리한 아황산염의 영향으로 산도가 낮아진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식과 가공식품의 섭취량이 과거에 비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식생활에 미치는 영양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보다 현실적인 접근방식에 의한 가공식품 전반에 걸친 영양학적 위생학적 평가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