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39초

조직구성원의 지각된 CSR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Employees' Perceived CSR on Job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ty -)

  • 지용익;김찬중;김홍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4호
    • /
    • pp.167-185
    • /
    • 2017
  • 기업의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대와 요구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수행된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이직무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정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기업 중 7개 업종, 기업의 종업원 496명을 표본으로 설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구성원의 지각된 CSR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CSR은 조직정체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조직정체성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CSR은 조직정체성을 매개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 직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이 기업이 진정성 있는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한다고 지각할수록 직무태도의 개선을 가져오고, 개인의 정체성을 조직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이 강해지며 이러한 조직정체성의 강화를 매개로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가져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본 연구에서 조직정체성을 매개로 CSR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한 구성원의 직무태도 개선 가능성 등 경영 관리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과제들도 함께 제시하였다.

  • PDF

외식 기업의 CSR 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식 뷔페 프랜차이즈 기업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nsumer Loyalty in the Foodservice Industry: Focusing on Korean-Style Buffet Franchise)

  • 권준혁;이남규;황태경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7권2호
    • /
    • pp.15-25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erceiv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on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loyalty among using Korean food buffet franchis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to industry practitioners in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CSR effect in the marketing perspectiv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panel of online research companies who are over 20 years old and dined in at Korean style buffet franchise outlets more than five times. A total of 370 samples were used after eliminating outliers and missing data. the data were analyzed SEM with SPSS and AMOS. Result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1) social CSR activities have an effect only on emotional trust; 2) food-related CSR activities influence both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and 3) both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loyalty in Korean style buffet franchis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causal impact from environmental CSR activities.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food-related CSR activities have the greater influence on the cognitive trust, and cognitive trust is more influential on the customer loyalty than the emotional trust.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o industry practitioners. First, that CS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stomer trust suggests that Korean style buffet franchises should focus on CSR activities to improve customer trust. Second, that food-related CSR activities have the greater influence on the cognitive trust implies that industry practitioners should reinforce food-related CSR activities as a marketing tool to enhance emotional trust and the overall credibility of their franchise. Third, we need to find CSR measures at the social level that can secure emotional trust so that customer loyalty can be formed. Fourth, Korean food buffet franchise food service companies should concentrate their efforts on CSR activities at food and social level among the three dimensions suggested by researchers in order to form customer loyalty. For next study, perceived concept of CSR on individual customer should be examined.

Political Connections and CSR Disclosures in Indonesia

  • SARASWATI, Erwin;SAGITAPUTRI, Ananda;RAHADIAN, Y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1097-1104
    • /
    • 2020
  •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evidence about how political connections, proxied by government ownership and the existence of politically connected board members, affect the exten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disclosures in Indonesian listed companies. This research uses the legitimacy theory as a basis for explaining management's motivation for disclosing its CSR. The sample consists of 131 firm-year observations from 38 non-financial public companies that published sustainability reports from 2013 to 2017. We measured the CSR disclosures using a disclosure checklist on the sustainability reports. We subsequently processed the data using a random effect (R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 shows that CSR disclosures were greater in government-owned companies but lower in companies that have politically connected board members. The results support the legitimacy theory that the government intends to demonstrate legitimate national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by showing that government-owned companies are sustainable. However, CSR disclosures seem to have a substitutive relationship with the existence of politically connected board members, since those political connections may protect the company from public pressure and/or the risk of litigation, reducing the need for CSR disclosures. This research provides evidence that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connections may have different impacts on corporate disclosures.

사회적 책임 활동 주제와 광고모델 및 메시지 소구방식에 따른 CSR광고 제작전략 (CSR Ad Strategy Based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me, Model and Message Appeal)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59-168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 광고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광고모델 선정 전략을 중심으로 사회적 책임활동광고 제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관계없이 모델의 가치부합성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제 분야의 경우에는 모델의 신뢰성이 중요하며, 반면 환경 분야에서는 모델의 매력성이 더욱 중요하였다. 둘째, CSR 광고 제작자들이 CSR 광고모델을 연예인을 선정할 때는 가치부합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인 반면, 전문가일 경우에는 가치부합성 뿐만 아니라 매력성과 신뢰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감성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신뢰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한다. 반면, 정보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매력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광고를 제작할 때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관련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중소기업 CSR에 대한 소비자 기대불일치가 기업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Consumers' Expectancy Disconfirmation abou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SR on Corporate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 김은정;황성원;김종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95-108
    • /
    • 2015
  •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문제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중소기업에 적용시키기 보다는 중소기업의 규모와 환경 등 대기업과는 다른 중소기업만의 특성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국내 중소기업에 기대하는 사회적 책임활동의 하위차원별(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기대수준에 비해 실제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불일치 정도가 해당 중소기업의 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불일치 요인 중 경제적 및 자선적 책임 요인은 기업이미지 및 기업이미지를 매개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법적 및 윤리적 책임 요인은 기업이미지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명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이 위기 시 기업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삼성중공업 기름유출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orporate Reputation, Perceived Motivation and Perceived Fi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Recognition of Corporate Legitimacy in Crisis - Based on the Oil Spill Incidence of Samsung Heavy Industries)

  • 박수정;차희원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5권
    • /
    • pp.496-532
    • /
    • 2009
  • 본 연구는 기업의 존폐가 갈리는 위기상황에서 기업이 필요한 것은 기업의 정당성이라 가정하고, 평상 시 기업의 명성 관리와 사회적 책임 활동 수행이 위기 시 기업의 정당성 확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삼성중공업의 기름유출 사건과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삼성중공업이 발표한 지원대책을 분석사례로 선정하여 성인 3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기업 명성이 기업의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와 적합성이 기업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인식 간 상호작용이 기업 정당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연구 결과, 삼성중공업의 기업 명성은 위기 시 기업의 제도적 정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행동적 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정당성에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은 영향을 미치는 반면,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변인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기업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명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적합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기업 명성, 사회적 책임 활동의 동기, 사회적 책임 활동의 책임성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기업의 실용적 차원 정당성에 대한 3요인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평소 명성 관리와 사회적 책임의 이행으로 공중의 요구를 충족시킨 기업의 경우 위기 상황에서도 기업 자체의 존재와 기업의 행동을 지지하고 인정하는 기업 정당성을 더 쉽게 부여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 기업 존재가치와 기업행위의 정당성을 확보하여 효과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평소 꾸준한 명성 및 관계 관리와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 이행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

The effect of consumers' awareness of e-commerce firm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CSR) activiti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 Dong, Cui;Yoon, Sung-j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225-232
    • /
    • 2022
  • 본 연구는 합리적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전자상거래 CSR 활동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기업-소비자 동일시, 기업의 신뢰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총 240부 유휴설문지를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전자상거래 CSR의 네 가지 차원에서 자선적 책임을 제외하고,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법적 책임 순으로 구매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업 신뢰와 기업-소비자 동일시가 소비자의 CSR 인식과 구매의향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의 CSR 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현재의 이해를 높이는 데 유용한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건설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f Construction Companies)

  • 김명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36-4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건설기업들의 인지도를 분석하고, 대기업과 중소 건설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비교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비교·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건설기업들은 대체로 사회공헌활동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는데, 중소 건설기업들은 대규모 기업들에 비해 필요성의 인식 정도가 낮았다. 중소 건설업체 CEO 및 경영진의 사회공헌 관심도는 아직은 부족했다. 사회공헌활동의 추진형태는 전문성과 네트워크 때문에 모두 직접사업 보다 NGO와 파트너십이 많았다. 향후 사회공헌활동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중소기업 CEO들에 대한 인지도 제고와 사회공헌활동 참여를 독려할 필요가 있다. 사회공헌활동의 필요성은 대체로 공감하고 있지만,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의 경우 참여한 적이 없는 경우도 굉장히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둘째, 사회공헌활동을 위해 NGO와의 유대 및 정보 등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많은 건설기업들이 NGO의 전문성, 전담인력 부족 등으로 NGO와의 파트너십을 선호했는데, NGO의 건설기업에 대한 생리 이해부족, NGO 관련 정보을 얻을 수 있는 인프라 부족 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이는 특히 중소규모 건설기업에서 두드러졌다. 셋째, 원활한 사회공헌 활동을 위해서는 예산지원이 필요하고 전담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리고 외부적으로 정부의 제도적인 지원도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건설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홍보가 강화되어야 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는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 등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중소 건설업체들은 이러한 여유와 능력이 부족하므로 건설산업 사회공헌재단의 역할이 강조된다.

CSR활동 참여성과 연구: 중국시장의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CSR Activities Participation: Focusing on Korean Firms in China)

  • 장정;이형택
    • 무역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69-390
    • /
    • 2017
  • 과거에는 주로 기업차원에서 이루어지던 사회적 책임활동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기업의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참여를 이끌어내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내부구성원의 자긍심과 소속감을 높여 임직원들의 조직만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책임활동을 다루고 있는 기존의 대다수 연구들은 기업차원에서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주로 다루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 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요인을 밝히고, 이러한 개인적 차원에서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의 현지 중국인종업원들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개인차원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활성화시키는 요인은 혁신적 조직문화, 최고경영자의 윤리적 가치관, 직원 개개인의 윤리적 가치관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 PDF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참여평가가 브랜드 동일시 및 구매가치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valuation for Participation in Fashion Brand CSR on Brand Identification and Perceived Purchase Value According to Regulatory Focus)

  • 윤남희;최미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515-1526
    • /
    • 2010
  • Consumer expectations for ethical businesses have become increasingly high in recent years; the fashion industry is working to implement greate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his study establishes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for participation in fashion brand CSR on perceived purchase values. In particular, the process for the evaluation for participation that affect the perceived purchase value through consumer-brand identifications (personal/social) was verified and how the consumer regulatory focuses would influence this process was identified.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at included a series of filtering questions that measured the level of social concern of respondents. Valid data from 505 female consumers were analyzed for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ed that the evaluation for participation in fashion brand CSR positively affected the two dimensions of consumer-brand identification; personal identification and social identification. In addition, consumer-brand identification played a rol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path to influence the perceived purchase values of CSR brands. Lastly, there were differences in reactions to CSR activities by consumer groups with different regulatory focuses. The effect of the evaluation for participation in fashion brand CSR was shown to be higher for consumers with promotion focuses than on consumers with prevention focu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fashion companie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consumer participation in CSR by having consumers participate in ethical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