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g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27초

코팅 용액의 조성 최적화 및 코발트-크롬 금속스텐트의 화학적 표면개질을 통한 친수성 천연 고분자 코팅층의 표면 거칠기 개선 (Improving Smoothness of Hydrophilic Natural Polymer Coating Layer by Optimizing Composition of Coating Solution and Modifying Chemical Properties of Cobalt-Chrome Stent Surface)

  • 김대환;금창헌
    •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56-261
    • /
    • 2018
  • Recently,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deaths worldwide has increas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ercutaneous cardiovascular intervention and drug-eluting stents (DES) has been highlighted. Despite the great clinical success of DES, the re-endothelialization at the site of stent implantation is retarded owing to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from the coated drug, resulting in late thrombosis or very late restenosi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tudie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to excavate new drugs that promote rapid re-endothelializa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d hydrophilic drug, tauroursodeoxycholate (TUDCA), that improves the proliferation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and promotes apoptosis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In addition, we utilized shellac, which is a natural resin from lac bug to coat TUDCA on the surface of the metal. When using conventional coating method including biodegradable polymers and organic solvents, phase separation between polymer and drug occurred in the coating layer that caused incomplete incorporation of drug into the polymer layer. However, when using shellac as a coating polymer, no phase separation was observed and drug was fully covered with the polymer matrix.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composition of coating solution and modifying the hydrophilicity of the metal surface using oxygen plasma, the surface roughness decreased due to the increased affinity between coating solution and metal surface. This result provides a method of depositing a hydrophilic drug layer on the stent.

전라북도연안 인공어초의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Artificial Fish Reefs in the Costal Area of Jeon Bug Province)

  • 박종수;서만석;김지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21
    • /
    • 2000
  • 연구해역의 인공어초의 시설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편이나 부분적으로 하단 부분이 약간 매몰되었고, 조류에 의해 약간 해저가 패여 있었다.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어초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1. 조사해역에서 20종의 어류가 어획되었고, 잠수조사 관찰종은 10종이었다. 2. 부착생물로서는 수산식물 5종과 수산동물 5종이 관찰되었다. 3. 단위 노력당 어획량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2.12 : 1.41, 연승 10.23 : 5.43. 삼중자망 4.93 : 2.86를 보였다. 4. 어구별 종조성은 시설구와 비교구를 비교하면 통발 94 : 58, 연승 85 : 37, 삼중자망 118 : 62를 보였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인공어초 시설구에서 비교구 보다 약 2 배의 어획효과가 높았다.

  • PDF

님추출물 아자디라크틴의 살충활성과 국내 이용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Neem Extracts (Azadirachtin) and its Current Status of Practical use in Korea)

  • 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63-471
    • /
    • 2021
  • 열대식물인 인도멀구슬나무(Azadirachta indica)는 병해충과 방제와 의학적인 목적으로 오랫동안 이용하였다. 본고에서는 님제의 활성성분인 아자디라크틴의 해충에 대한 곤충생장조절, 기피, 섭식저해, 산란억제 등 다양한 작용기작과 국내 이용현황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국내 유통되는 친환경유기농자재 중에서 님제 제품은 총 57종이었다. 그중 효능효과가 표시된 자재는 7종이었고 평균 아자디라크틴 함량은 0.38%로써 세계적으로 유통되는 평균 함량 2.1%와 비교할 때 약 5.5배 낮았다. 국내에서 님제의 방제효과에서 진딧물은 실험에서 다소 변이는 있었으나 대부분 9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꽃매미 약충에 누적살충률은 73~77%를 보였고,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가는 50~72% 범위로 살포효과가 인정되었다. 노린재와 나방류에 대한 방제효과는 대체적으로 낮았다. 본고는 유통되는 님제품의 이해와 실험자료의 해석에 필요한 주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코어 안정화 운동이 길랭바래증후군 환자의 몸통 근력, 근활성도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증례보고 (Effects of Core Stability Exercise on Strength, Activation of Trunk Muscles and Pulmonary Function in a Guillain-Barre Syndrome Patient: Case Report)

  • 음영배;유경태;이윤환;이호성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1-12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exercise on the strength,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 and pulmonary function in a Guillain-Barre syndrome (GBS) patient. METHODS: A 38-year-old male with GBS was enrolled in the study. A core stability exercis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four weeks with a duration of 30 min/day and a frequency of three days/week. The program consisted of abdominal crunch, Swiss ball crunch, bicycle crunch, medicine ball sit-up with a toss, medicine ball rotational chest pass, raised upper body and lower body, and dead bug. Measurements of the strength of the trunk muscle (trunk flexion and hip flexion), activation of trunk muscles (rectus femoris; RA, external oblique abdominal; EOA, internal oblique abdominal; IOA, erector spinae; ES), and pulmonary function (forced expiratory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at one second; FEV1) were taken before and after four weeks of core stability exercise. RESULTS: The strength of trunk muscles increased in the trunk and hip flexion after four weeks of core stability exercise,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baseline levels.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s increased in RA, EOA, and IOA after four weeks of core stability exercise compared to baseline levels, but decreased in ES after four weeks of core stability exercise compared to the baseline levels. The pulmonary function increased in FVC and FEV1 after four weeks of core stability exercise compared to the baseline leve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e stability exercise improves strength, Activation of the trunk muscle, And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GBS.

차분 퍼징을 이용한 국내 공개 암호소스코드 안전성 검증 (Security Verification of Korean Open Crypto Source Codes with Differential Fuzzing Analysis Method)

  • 윤형준;서석충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0권6호
    • /
    • pp.1225-1236
    • /
    • 2020
  • 퍼징은 예상되는 범위를 벗어난 입력값을 무작위로 생성해 소프트웨어를 동적으로 테스팅 하는 방법으로, 취약점 분석을 자동화하기 위해 주로 쓰인다. 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국내 표준 암호 알고리즘들에 대한 소스코드를 공개하고 있으며, 많은 암호모듈 개발업체들이 이 소스코드를 이용하여 암호모듈을 개발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공개 소스코드에 취약점이 존재할 경우, 이를 참고한 암호 라이브러리는 잠재적 취약점을 가지게 되어 향후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EED, HIGHT, ARIA와 같은 블록암호 소스코드의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한 적절한 보안 정책을 수립하였고, 차분 퍼징을 이용해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스택 버퍼 오버플로우와 널 포인터 역참조를 포함하는 메모리 버그 항목과 오류 처리 항목에서 총 45개의 취약점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취약점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An Analysis on Employing Developer Profit Incentive to Expedite Open Source Software Development

  • Sohn, Jung-woo;Ko, Yohan;Yun, Youngu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57-270
    • /
    • 2022
  • 본 연구는 오픈소스 현상금 프로젝트에서 개발자 이윤 동기의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현상금 프로젝트의 상금 취득에서 기인하는 소득 증대 효과를 미시경제학의 효용 최대화 이론에 근거한 오픈소스 개발자 의사결정 모형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현상금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수의 오픈소스 프로젝트 참여 개발자들의 행동을 시물레이션으로 구성했다. 그 결과는 현상금 프로젝트에서 기인하는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의 상당 부분이 개발자의 소스 코드 학습 비용으로 상쇄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경우 개발자의 소스 코드 학습 비용과 개발 작업 참가의 기회비용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하나의 대규모 현상금 프로젝트보다는 소규모로 작게 쪼개진 현상금 프로젝트를 여럿 운용하는 것이 더욱 향상된 프로젝트 결과물을 만들어 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에 서식하는 애긴노린재(노린재목: 긴노린재과)의 미토콘드리아 전장 유전체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Nysius plebeius Distant, 1883 (Heteroptera: Lygaeidae) from Korea)

  • 신지영;라메스워 마하르잔;이휘종;정민규;김주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83-87
    • /
    • 2023
  • 애긴노린재는 긴노린재과에 속하며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의 다양한 곡물 및 관상용 식물의 주요 해충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애긴노린재의 17,367 bp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에서 13개의 protein-coding genes, 22개의 transfer RNA genes, 2개의 ribosomal RNA genes과 non-coding A+T rich region를 확인하였다. G+C content는 23%로 나타났고 다른 긴노린재과와의 염기서열 유사성이 N. cymoides (94.5%), N. fuscovittatus (91.7%)으로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애긴노린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정보는 향후 긴노린재과의 진화 연구와 해충 방제를 위한 정보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온도조건이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의 발육과 성충의 멸구류 난포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Green Mirid Bug, Cyrtorhinus lividipennis Reuter(Hemiptera: Miridae) and Predation of Planthoppers Eggs by Its Adult)

  • 배순도;박경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16
    • /
    • 1997
  • 온도조건에 따른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발육과 벼멸구 및 애멸구의 알에 대한 성충의 포식량을 조사하였다.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난부화율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96%, 88%, $75^{\circ}C$$64^{\circ}C$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졌다. 난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1.0일 10.0일 6.7일 및 5.6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졌다. 약충기간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13.7일 12.7일, 10.2일 및 9.1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약충기간이 짧았으며, 영기별 발육기간은 4령충에서 가장 짧았고, 1령충에서 가장 길었으나, 식이곤충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성충수명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22-23.5일, 19-20일, 16-17일 및 11-12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크게 짧았으나, 식이곤충 및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벼멸구 및 애멸구 알에 대한 암컷과 수컷성충의 포식량은 $23^{\circ}C$, $26^{\circ}C$, $29^{\circ}C$$32^{\circ}C$에서 각각 약 56-61개 및 26-57개, 56-60개 및 47-49개, 43-46개 및 40-42개 그리고 28-30개 및 26-27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포식량이 적었으며, 성별간에는 대체로 수컷보다 암컷에서, 식이곤충간에는 애멸구보다 벼멸구의 알을 약간 많이 포식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마리당 일간 포식량은 2.0-3.0개 였다.

  • PDF

온도 및 먹이가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난 포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and Food on the Nymphal Development and Adult Longevity of the Green Mirid Bug, Cyrtorhinus lividipennis Router (Hemiptera: Miridae) and Its Egg Predation)

  • 배순도;배태웅;조현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1-97
    • /
    • 2002
  • 온도 및 먹이가 등검은황록장님노린재의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약충과 성충의 먹이의 종별 난 포식량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약충의 발육기간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13.2-13.7일, 10.4-10.9일 및 9.0-9.3일이었다. 약충의 난 포식량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10.6-14.3개, 7.5-9.2개 및 5.8-7.5개로 끝동매미충, 흰등멸구, 애멸구 및 벼멸구의 난 순으로 많았다. 약충의 탈피 횟수는 4회가 55-75%로 3회의 25-45%보다 높았으며, 온도 및 먹이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우화율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52-70%, 48-66% 및 22-38%로 먹이에 따른 차이와 함께 온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성충수명은 1종 먹이만 제공한 경우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19.75-22.45일, 15.55-16.95일 및 10.25-11.65일 이었으나, 4종 먹이를 함께 제공한 경우 성충수명은 1종 먹이만 제공한 것보다 약간 긴 경향이었다. 성충의 포식량을 1종 먹이만 제공한 경우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35.7-54.2개, 31.6-44.55개 및 18.1-28.15개로 온도조건에 관계없이 끝동매미충, 흰등멸구, 애멸구 및 벼멸구의 난 순으로 많았다. 하지만 4종 먹이를 함께 제공한 성충의 포식량은 24$^{\circ}C$, 28$^{\circ}C$ 및 32$^{\circ}C$에서 각각 3.95-28.9개, 2.9-28.95개 및 1.7-13.6개로 제공된 먹이간에 차이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먹이간 성충 포식량의 현저한 차이는 기주선호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온도조건에 따른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발육 및 산란 (The Development and Oviposition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miptera: Alydidae) at Temperature Conditions)

  • 배순도;김현주;박정규;이건휘;박성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25-330
    • /
    • 2005
  • 망사시험관을 이용하여 20, 24, 28 및 $32^{\circ}C$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난 및 약충발육과 성충수명 및 산란수를 조사하였다. 부화율은 $28^{\circ}C$에서 100%였으며, 이 온도에서 멀어질수록 부화율은 낮아졌다. 난기간은 $32^{\circ}C$에서 7일 이었으며, 온도가 낮아질수록 날기간이 길어져 $20^{\circ}C$에서 16.7일이었다. 영기별 발육기간은 1령에서 $1.7{\sim}3.5$일로 가장 짧았으며, 영기가 증가할수록 발육기간이 점점 길어져 5령에서 $5.0{\sim}10.1$일로 가장 길었다. 약충기간은 20, 24, 28 및 $32^{\circ}C$에서 각각 38, 30, 23 및 18일 이었다. 우화율은 20, 24, 28 및 32에서 16, 41, 72 및 68% 이었다. 암컷 및 수컷성충의 수명은 $28^{\circ}C$에서 각각 63 및 60일로 가장 길었고, $20^{\circ}C$에서 각각 20 및 19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전기간은 $20^{\circ}C$에서 11일로 가장 길었으며, 온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짧아져 $32^{\circ}C$에서 5일로 가장 짧았다. 산란수는 $28^{\circ}C$에서 67개로 가장 많았고, $20^{\circ}C$에서 21개로 가장 적었다. 발육임계온도는 알의 경우 $10.3^{\circ}C$였고, 1, 2, 3, 4 및 5령충은 각각 9.3, 12.7, 10.0, 11.0 및 $8.7^{\circ}C$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