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o gargarizan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섬피(蟾皮)에 대(對)한 고찰(考察) (The Study on Bufobufo gargarizns Cantor)

  • 김재용;조종관
    • 혜화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120
    • /
    • 2001
  • We came to the conclusion after considering all of information from many kinds of books on the Bufobufo gargarizans Cantor.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originated from the bufonidae of caudata of amphibia of chordata. 2. The form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obese, about 12 centimeter long and the color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dark brown, black. 3. The charateristics and the tastes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cold and spicy and the Guigyung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heart and stomach. 4. The significant gredient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Bufagin, Steroids, Cinobufotoxin, ${\beta}$-sitosterol, Bufothionine, Bufotenidine, Bufo tenine, Bufalin, Butotalidin Hellebrigenin, Bufochrome. 5. The efficacy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pajinggyunhyul(破懲堅血), salgamjok(殺疳積), taehuyol(退虛熱), etc. 6. In direction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one time dosage is 2-3 gram in internal medicine, in external medicine dosage depends on the width. 7. Bufobufo gargarizans Cantor should be cautious in use those who is pregnant, have heart disease, gastritis, gastric ulcer. 8. The side effect of Bufobufo gargarizans Cantor is nausea, vomiting, abdomen discomfort, diarrhea, palpitation, headache, lethargy, etc. 9. Bufobufo gargarizans Cantor could be use in hepatoma, esophgeal cancer, stomach cancer, skin cancer, breast cancer and leukemia.

  • PDF

Abundance and Breeding Migration of the Asian Toad (Bufo gargarizans)

  • Sung, Ha-Cheol;Park, Oan-Hee;Kim, Su-Kyung;Park, Dae-Sik;Park, Shi-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4호
    • /
    • pp.287-292
    • /
    • 2007
  • We monitored a breeding population of the Asian toad (Bufo gargarizans), in the Wonheunge pond at Sannamdong, Chungju, from 5 March to 11 April, 2006 and 14 February to 31 March, 2007 to investigate their movement patterns, breeding population siz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Terrestrial migration to the pond started on 5 March in 2006 and 14 February in 2007. We captured a total of 266 immigrating individuals (213 males, 53 females) in 2006 and 307 (222 males, 85 females) in 2007, and found 50 adults apparently killed by motor vehicles while migrating to the pond in 2007. Emigration from the pond to terrestrial sites started on 15 March 2006 and 5 March 2007. We captured a total of 245 emigrating toads (181 males, 65 females) in 2006 and 99 (92 males, 7 females) in 2007. An additional 10 emigrating adults were found dead on the road. During both the immigration and emigration periods, two peaks in capture frequency appeared for each sex in each breeding season. The immigration peaks corresponded with higher temperatures, while the emigration peaks corresponded with high humidity. Migrating Asian toads showed sexual size dimorphism and a male-biased sex ratio. Body weights and SVL (snout-vent length) of immigrating and emigrating individuals were negatively related with migration dates.

두꺼비 (Bufo gargarizans) 난소주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varian Cycle of Asian Toad (Bufo gargarizans))

  • 박세화;고선근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419-424
    • /
    • 2015
  • 두꺼비 (Bufo gargarizans)의 난소주기를 파악하기 위해 암컷 성체를 대상으로 gonadosomatic index (GSI)와 난소 내 여포난자의 크기와 난황 축적 정도를 기준으로 발달과정을 연중 조사하였다. 4월에는 난소 무게와 GSI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여포난자들은 난황 축적 전단계의 상태로 존재하여 난황 형성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된다. 난소 무게와 GSI가 증가하기 시작한 5월의 난소에서는 난황 축적 전기단계의 여포난자가 출현하였고 6월에는 난황 축적 중기단계와 난황 축적 전단계의 여포난자가 존재하여 난소 무게와 GSI도 증가하여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시기에 난황 축적현상이 진행되는 것을 의미하며 난소 무게와 GSI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9월에는 난황 축적 중기단계의 여포난자들과 난황 축적이 거의 완성된 난황 축적 후기단계의 여포난자들이 존재하였다. 난황 축적을 마치고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들은 10월부터 일부 출현하기 시작하여 동면기인 12월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2월의 난소에서는 성장이 완료된 여포난자가 전체적으로 존재하여 여포난자의 성장기에는 난소 내의 모든 여포난자들이 동시적 (synchronized)으로 진행되지 않고 각각의 여포난자에 따라 진행되다가 배란시기에 성장이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는 난소주기를 나타내었다.

농약류(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가 두꺼비(Bufo Gargarizans)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sticides(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 on the Asian Toad(Bufo Gargarizans) Embryo Development)

  • 고선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7-215
    • /
    • 2020
  • 농약류 3종의 독성평가를 위해 FETAX(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국내에 서식 중인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Benomyl(살균제), Carbofuran(살충제), Thiobencarb(제초제)의 영향을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율은 증가하였다. Benomyl, Carbofuran, Thiobencarb의 teratogenic concentration(EC50)은 각각 1.03, 8.74, 4.98mg/ℓ을 나타내어 Benomyl이 기형 유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embryo lethal concentrations(LC50)은 7.26, 560.72, 16.87mg/ℓ을 나타내어 Benomyl이 가장 낮은 농도에서 배아가 치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eratogenic index (TI=LC50/EC50)는 Benomyl 7.05, Carbofuran 64.16, Thiobencarb 3.39를 나타내어 TI값이 모두 기형유발물질로 판단되는 기준인 1.5이상으로 시험에 사용된 농약류 3종은 최기형성 물질로 판단된다. Carbofuran이 가장 강력한 최기형성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으며, 농약류가 두꺼비 및 양서류의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작용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살균제 Tebuconazole이 한국산 개구리류(두꺼비, 청개구리, 참개구리) 배아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ngicide tebuconazole on the embryonic development of Korean domestic frogs (Bufo gargarizans, Hyla japonica, and Pelophylax nigromaculatus))

  • 이해범;고선근
    • 환경생물
    • /
    • 제39권3호
    • /
    • pp.311-318
    • /
    • 2021
  • 국내에 서식하는 개구리들의 배아를 이용하여 살균제인 tebucoanzole의 독성을 파악하기 위해 FETAX (Frog Embryo Teratogenesis Assay-Xenopus) 기법에 따라 두꺼비(Bufo gargarizans), 청개구리(Hyla japonica), 참개구리(Pelophylax nigromaculatus)의 배아를 배양하면서 tebuconazole의 효과를 probit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tebuconazole의 농도에 의존하여 유생의 체장 길이는 감소하고 치사율과 기형률은 증가하였으며 tebuconazole의 teratogenic concentration (EC50)은 각각 34.4, 10.6, 14.9 mg kg-1을 나타내었고 embryo lethal concentrations (LC50)은 75.4, 38.2, 39.6 mg kg-1 을 나타내었다. Teratogenic index (TI=LC50/EC50)는 각각 2.19, 3.58, 2.65을 나타내어 두꺼비, 청개구리, 참개구리 배아 발달에 최기형성 물질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보아 tebuconazole은 낮은 농도에서 개구리 배아의 발달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치사율, 기형률, 성장률, 기형양상 등을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국내 서식하는 개구리류 배아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종에 따라 치사율 및 기형률, 기형양상 등의 차이를 나타내는 원인 등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 종 특이적 특성 등을 규명하는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강원도 계방산 지역 양서, 파충류의 종다양성 및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rpetofauna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Population Community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Gyebangsan Area Kangwondo)

  • 심재한;정규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4-99
    • /
    • 1997
  • 계방산 일대에서 채집 및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9종이었으며, 파충류는 2아목 3과 10종이었다. 양서류 중에서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가 우점종으로 조사지역 전역에서 출현하였으며, 계방산 지역의 물두꺼비(Bufoi stejnegeri)는 여타의 지역에 비하여 밀도가 높았다. 산개구리(Rana dybowskii)는 수청골 계곡의 고인물에 다수의 유생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롱뇽 (Hynobius leechii), 산개구리 (Rana dybowskii), 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fisher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두꺼비(Bufo bufo gargarizans)등 5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고, 또한 도롱뇽(Hynobius leechi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등 2종의 한국고유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10종이 확인되었는데 그중 도마뱀(Scincella laterale laterale), 능구렁이(Dia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살모사(Agkistrodon brevicaudus), 까치살모사(Agkistrodon saxatilis), 대륙유혈목이(Amphiesma vibakari ruthveni) 그리고 무자치(Enhydris rufodorsata) 등 6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다. 수청골일대에서는 도마뱀과 아무르장지뱀의 집단서식지가 발견되었으며, 아무르장지뱀의 전체 서식밀도는 36마리/ha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1995년 5워로가 7월에 도로 위에 압사된 개체수는 10종 404개체로 주로 1,2,3,4 Station에서 발견되었는데, 양서, 파충류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관거를 도로 밑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꼬리치레도롱뇽의 유생시기와 성체 생활장소의 이동거리는 500m정도이며, 주로 서식하는 장소는 토질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활엽수림이 극상을 이루는 지역이었다.

  • PDF

덕유산 국립공원의 양서류상 -대형 건설 공사가 양서류 서식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Amphibia Fauna in Tokyusan National Park -Effects of Amphibia Habitat by Large Construction Works-)

  • 박병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7-212
    • /
    • 1994
  • 덕유산 국립 공원의 양서류강을 1993년 4월 10일, 1993년 8월 8일부터 9일 두차례에 걸쳐 무주 리조트 골프장건설 지역과 지봉 지역에서 조사하였다. 골프장 건설 지역에서는 도롱뇽, 무당개구리, 두꺼비, 참개구리 및 북방산개구리가 관찰되었고 지봉에서는 꼬리치 레도롱뇽과 북방산개구리가 관찰되어 덕유산 국립 공원 지역에서 발견된 양서류는 환경처가 지정한 특정야생동물 꼬리치레도롱뇽, 도롱뇽, 및 두꺼비 3종을 포함하여 총 2목 4과 5속 6종이었다. 비교적 많은 9개체의 꼬리치레도롱뇽이 관찰된 지봉은 해발고도가 높고 수온이 낮으며 자연환경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인적이 드물어 꼬리치레도롱뇽 서식에 적합한 지역으로 사료되어 그 보호가 요망된다. 다수의 도롱뇽 유생과 2개체의 두꺼비를 포함하여 5종의 양서류가 관찰된 골프장 건설 지역은 공사가 진행됨에 따른 종과 개체수의 격감현상을 볼 수 있었다. 국립공원과 같은 자연환경 지역에서의 대형공사는 생물종 다양성 보존에 크게 역행하는 것으로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빈용 한약재의 진통 소염활성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ome Oriental Herbal Medicines)

  • 박종은;최혁재;정석희;김동현;김남재
    • 생약학회지
    • /
    • 제32권4호통권127호
    • /
    • pp.257-268
    • /
    • 2001
  •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veral herbal medicine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the antiinflammatory drugs from oriental herbal medicines. 80% Ethanol extracts of Ephedra sinica, Chaenoleles sinensis, Asiasarum siboldi, Nelumbo nucifera, Scolopendra subspinipes mutians, Evodia officinalis, Aremarrhenae asphodeloides, Bufo bufo gargarizans, Gardenia jasminoides, Piper longum, Carthamus tinctorius, Piperus nigrum, Magnolia officinalis and Siegesbeckia glabrescens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hyaluronidase, trypsin, and albumin denaturation in vitro. They also decreased the acetic acid-induced pain and vascular permeability induced by histamine in mice.

  • PDF

Resibufogenin induces cardiac arrhythmia

  • Xie, Jing-Tian;Mehandale, Sangeeta R.;Malechar, Spring A.;Yuan, Chun-Su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3권2호
    • /
    • pp.51-55
    • /
    • 2003
  • Resibufogenin is a single compound isolated from the skin venom gland of the toad (Bufo bufo gargarizans cantor). Formulations containing toad venom have been widely used a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However, like digitalis, resibufogenin possesses both pharmacological and toxicological activities. Our previous data indicated that resibufogenin induces electro-toxicity, including delayed afterdepolarization and triggered arrhythmias at high concentration, both in cardiac fiber in vitro and in beating heart in vivo.

양서루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Granular Glands in the Amphibian Skin)

  • 김한화;노용태;정영화;지영득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14
    • /
    • 1979
  •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무미양서류인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 두꺼비 (Bufo bufo gargarizans), 개구리 (Rana nigromaculata) 및 옴개구리 (Rana rugosa)의 피부조직은 2.5% glutaraldehyde-paraformaldehyde (pH 7.2)와 1%osmium tetroxide에 전후 고정한 후 ethanol과 acetone으로 탈수, Epon 812 mixture에 포매하여 LKB ultramicrotome으로 초박절표본을 만들어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으로 염색하여 JEOL-100B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선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이루어졌다. 2. 양서류 피부과립선의 선상피세포는 암세포들로 구성되었으나 무당개구리에서는 명세포도 관찰되었다. 3. 양서류 피부과립선은 전분지를 하였다. 4. 양서류 피부과립선 상피세포의 핵은 원형 내지 타원형으로 크고 작은 핵경함요를 보였고, heterochromatin은 주로 핵경 인접부에 많았다. 세포질에는 mitochondria가 핵주변부에 비교적 많이 산재하였고,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핵 주변부에 발달하였지만 smoot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은 미약하였다. 5. 분비과립들은 구형 또는 난형으로 높은 전자밀도를 보였으며 다소 약한 전자밀도를 보이는 과립도 관찰되었다. 6. 양서류 과립선내 분비과립들이 같은 세포내에서 다소 전자밀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분비과립의 형성단계에 따른 농도 차이에 기인하며 그 화학적 조성은 유사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