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us diseas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5초

미주 신경의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백서의 기도내 혈장 유출에 대한 FK224의 효과 (Effects of FK224, a $NK_1$ and $NK_2$ Receptor Antagonist, on Plasma Extravasation of Neurogenic Inflammation in Rat Airways)

  • 심재정;이상엽;이상화;박상면;서정경;조재연;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44-751
    • /
    • 1995
  • 연구배경: 여러 종류의 자극으로 감각신경(C-fiber)의 말단부에서 분비되는 신경단백질인 substance P와 neurokinin A는 기관지 평활근의 수축, 점막의 혈장 유출 및 점액의 과분비를 일으켜 기관지 천식 발병 기전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 이러한 기도 신경단백질은 $NK_1$, $NK_2$, $NK_3$ 등의 3종류의 수용체를 통하여 작용하며, $NK_1$ 수용체에 주로 작용하는 substance P는 기도의 혈관확장과 혈장 유출에 관여하며 $NK_2$ 수용체에 작용하는 neurokinin A는 기도의 수축에 주로 작용하며 기도혈장 유출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적: 저지들은 백서의 미주신경인 비교감 및 비부교감 신경을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기도 혈장 유출에서 $NK_1$$NK_2$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이용하여 기도내 신경성 염증에서 혈장유출에 대한 효과를 기도 부위별로 확인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백서 21마리를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어 미주신경에 전기적 자극을 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 2분간 자극한 군(NANC2군)과 신경 단백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미주신경 자극 전에 사용한 군(FK224군)에서 Evans blue dye를 이용하여 기도 부위별 혈장 유출의 정도를 각 군간에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2분간 신경 자극한 군(NANC2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기관에서 49.7(${\pm}2.5$)ng/mg으로 353%, 주기관지에서 38.7(${\pm}2.8$)ng/mg으로 221%의 증가와 말초기관지 19.1(${\pm}1.6$)ng/mg으로 151%로 혈장 유출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주로 상부 기도에서 혈장 유출 정도가 심하였으나, 폐실질은 13.0(${\pm}1.8$)ng/mg, 76%로 대조군과 차이는 없었다(p>0.05). 2) 신경 단백질 수용체 차단제를 사용한 FK224군은 2분간 신경 자극한 군에 비하여 기관에서 24.3(${\pm}2.2$)ng/mg으로 49%, 주기관지에서 22.3(${\pm}1.6$)ng/mg 으로 58%의 억제와 말초기관지 13.3(${\pm}0.8$) ng/mg으로 70%로 혈장 유출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백서에서 미주신경(NANC)의 전기적 자극으로 유발된 혈장유출은 기도에서만 발생되고 주로 상부기도에서 혈장유출이 심하며, $NK_1$$NK_2$ 수용체 차단제인 FK224를 전처치하여 substance P와 neurokinin A의 수용체 차단으로 기도 혈장 유출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도 및 기도이물의 통계적 고찰(제5보) (A Statistical Survey of Foreign Bodies in Air and Food Passage (Report V))

  • 김기령;홍원표;이춘근;이정권;박기현;김상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6.2-6
    • /
    • 1979
  • 식도 및 기도이물은 응급을 요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중요한 질환으로 취급되어 왔고 이에 관하여 많은 문헌을 찾아볼 수 있다.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문명의 발달과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서 오늘날의 식도 및 기도 이물의 종류와 발생빈도 등에서 도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 본 교실에서는 이러한 이물의 실태와 추이를 관찰하기 위해 이미 4차에 걸친 식도 및 기도이물 통계를 보고한 바 있거니와 이제 다시 제 5보로서 1973년 1월부터 1977년 12월까지만 5년간에 걸쳐서 체험한 186례의 이물을 대상으로 통계적 관찰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이물의 빈도는 식도에서는 주화가 가장 많고 금속첨, Disc, 골편 등의 순이였으며 기도에서는 땅콩과 곡물이 많았다. 2) 성별빈도는 식도에서는 남자가 56.4%, 여자가 43.6%로써 남녀의 차가 크지 않았으나 기도에서는 남자가 71.7%, 여자가 28.3%로 남자에서 많았다. 3)연령별 빈도는 식도 및 기도에서 다같이 10세 이하의 연령층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식도이물에 있어서 5세 이하 연령층에서는 주화 등을 우발적으로 오연함으로 인한 것이지 만 30대나 60대에서는 식도협착이나 치아손실로 인한 저작 불충분 때문에 육류 또는 식괴가 저류되는 점이 흥미롭다. 4) 부위별 빈도는 식도에서는 제 1협착부가 제일 많았으며 기도에서는 우측 기관지가 많았으나 좌측 기관지와의 차이는 적었다. 5) 이물의 잔류기간은 과반수 이상이 24시간 이내였다. 6) 주화의 종류로서는 10원주화가 67.0%로 제일 많았으나 100원 주화의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p<0.01)를 보였으나 수도평균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기니픽의 만성화농성중이염의 측두골 병리조직학적 병변의 검경상 만성염증성병소의 내이, 특히 와우침입로로서의 정원창의 병변이 뚜렷하여 이로 인한 외임파강내의 염증성병변이 뚜렷이 나타나 있으며 와우관의 특히 기저회전에서의 유모세포의 손실이 심한 것으로 보아 중이염으로 인한 골도의 고음역에서의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A group), vinclozolin, procymidone, tetradifon cypermethrin, 그리고 fenvalerate(B group)에서는 70%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고, 2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는 5%나 1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했을 때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전체 16종의 농약 중 14종에서 75%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으나, alachlor와 bifenthrin은 매우 낮은 회수율을 보여서 ethyl acetate와 hexane의 혼합용매가 이들 두 농약성분의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은 용출 용매임을 알 수 있었다.NO_2의$ 급성 중독증상으로서는 눈, 코를 강하게 자극하고 폐충혈, 폐수종, 기관지염, 폐염 등을 일으킨다. 만성 중독시에는 만성폐섬유와 및 폐수종을 일으킨다. (4) $오존(O_3)$ Ozone은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오는 $NO_2$ gas 및 탄화수소와 작용하여, PAN이라는 자극성 물질을 생성시키는 광학적 Smog의 주요소로 알려져 있다. 자극적인 냄새가 있음으로 불쾌감을 주고 비, 인후점막의 전조감과

  • PDF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의 임상적 고찰 (The Characteristics of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Presenting with Solitary Pulmonary Nodule)

  • 김호철;천은미;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한용철;이경수;한정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2호
    • /
    • pp.280-289
    • /
    • 1997
  • 연구목적 : 기관지폐포암은 다양한 임상적, 방사선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며 대표적인 방사선적인 양상으로 또는 종괴, 국소적 경화, 미만성 결절 또는 경화 등으로 나타난다. 고립성 결절 또는 국소적 경화 병변으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은 다발성 병변과는 달리 예후가 좋으므로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고립성 결절로 나타나는 기관지폐포암은 비특이적 임상증상과 다양한 방사선 양상으로 폐렴, 폐결핵, 양성병변으로 오인되어 치료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기관지폐포암의 임상적, 방사선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1996 년 8월까지 서울삼성병원에서 병리학적으로 기관지폐포암이 진단되고 방사선 소견에서 고립성 폐결절로 나타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방사선적인 특성을 조사였다. 결 과 : 환자는 총 11명으로 남자는 6명, 여자 5명이었고 환자들의 연령은 37세에서 69세로 중앙 연령값은 60세이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증상이 없이 단순흉부촬영에서 우연히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진단되었다. 단순흉부촬영상 대부분 경계가 불명확한 결절 또는 음영증가의 소견을 보였고 단순흉부촬영후 추측진단 양성병변이나 결핵성 폐병변으로 오인되었던 예가 6예였고 5예에서만 악성 결절로 추정되었다. 전산화단층촬영상 경화, 간유리 모양, 기관지 공기 조영, open bronchus sign, internal bubble-like lucencies, spiculated margin 또는 pleural tag등의 소견이 대부분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FDG-PET 검사를 시행한 8예중 3예에서 악성을 의심하는 소견이 보였고 5예에서 위음성의 소견을 보였다. 병리학적인 진단은 경기관지폐생검과 경피적 폐생검을, 통해 진단된 예가 각각 1예, 2예이었고 8예에서는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폐생검을 통해 이루어졌다. 환자는 모두 폐엽절제술을 시행받았고 수술후 병기는 $T_1N_0M_0$가 8예, $T_2N_0M_0$가 3예로 근치적 절제술이 가능하였다. 결 론 : 고립성 결절 양상의 기관지폐포암은 증상 없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단순흉부촬영상 주로 경계가 불명확한 결절 또는 음영증가의 소견으로 나타나 양성병변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약, 이런 병변이 추적검사에서 계속 남아 있거나 커지는 경우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경화, 간유리 모양, 기관지 공기조영, internal bubble-like lucencies, spiculated margin 또는 pleural tag등 소견을 보인다면 개흉술 등을 포함한 적극적인 진단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앙고라 토끼의 급성폐사성질병(急性斃死性疾病)의 병인학적(病因學的) 연구(硏究) : 소위(所謂) 토끼의 바이러스성(性) 급사병(急死病) (Etiological Studies on the Acute Fatal Disease of Angora Rabbits : The So-Called Rabbit Viral Sudden Death)

  • 이차수;박청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77-290
    • /
    • 1987
  • This paper dealt with etiological studies on the acute fatal disease of Angora rabbits occurring as a group in Korea. The disease was confirmed as an acute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viru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disease produced a high morbidity in the rearing Angora rabbits and a high mortality in the infected rabbits, and was acute. The infected rabbits died soon without premonitory signs after inappetenc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affected rabbits rose to $40^{\circ}C$ and nearly all deaths occurred within 48 hours after inoculation. In many cases a bloody foam was visible from the nostrils after death.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disease the nervous signs, such as ataxia, paralysis of the legs, and torticollis could be recognized in the some cases. Rabbits that had recovered from the disease were severe emaciation, and bristly and sparse hairs. In macroscopical findings, there were hemorrhage and edema of the lung, hemorrhage or hyperemia of the tracheal and broncheal mucosae, appearance of blood-tinged effusion in the respiratory tract. The principal lesions were found in the liver. Usually the lobular necrosis of the liver cells was progressed, and focal necrosis and hemorrhagic spots of various sizes were often observed in the liver. Liver was as a whole pale. In chronic cases, however, there was a slight liver cirrhosis with the atrophy of the parenchymal cells. The other lesions encountered grossly consisted of swelling and petechiae of the kidney, hyperemia and hemorrhage of the spleen, catarrh of the small intestine, and hyperemia of the brain. The urinary bladder contained a lot of turbid urine or bloody urine and urinary cast, and was distended with the urine. In microscopical findings, the most striking lesions occurred in the liver and may be classified as viral hepatitis. The hepatic lesions were initially characterized by progression from periportal to peripheral necrosis of the lobules with the infiltration of mononuclear cells. Focal necrosis of various sizes, hemorrhage and hyperemia were often observed in the hepatic lobules. In chronic cases, there were intensive infiltration of lymphocytes,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ppearance of plasmal cells, and atrophy of parenchymal cells in the hepatic tissue. Perivascular lymphocytic infiltration and meningitis were seen in the brain and spinal cord. In the kidney, there were acute glomerulonephritis, hemorrhage, necrosis of the uriniferous tubules, and retention of eosinophilic substance within the renal tubules.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infiltration of mono-nuclear cells were found in the interstitial stroma of the kidney in chronic case. There were also hemorrhage and edema in the lung, hyperemia and hemorrhage in the trachea and bronchus, perivascular lymphocytic infiltration and focal myocardial necrosis in the heart, hyperemia and hemorrhage in the spleen, vacuolization and desquamation of mucous epithelia in the urinary bladder, catarrhal inflammation of the small intestine, hemorrhage in the adrenal cortex and hyperemia in the other organs. In the electron microscopical findings of the hepatic tissue, crystals of viral particles appeared in the cytoplasm of the hepatocytes and the sinusoidal endothelial cells, and the viral particles, were small in size and polygonal. The authors suppose the virus may belong to picornaviridae family of RNA viruses. Also immature virus-like particles, dilat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destruction of nuclear membrane were seen in the hepatocytes.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sudden death is an acute viral disease characterized by hepatitis and the affected rabbits may be died of viremia.

  • PDF

안구 부속기의 점막연관 림프조직형 림프종의 증례보고 (MALT Lymphoma of Ocular Adnexa: A Case Report)

  • 조정남;김융수;정찬민;서인석;조지웅;박혜림;최재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321-324
    • /
    • 2008
  • Purpose: Lymphoma originated from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MALT) is most common in gastrointestinal system, and rarely found in salivary gland, thyroid, bronchus or orbit. We experienced a case of MALT lymphoma which was originated from conjunctiva and involving lower eyelid without metastasis. Methods: A 40-year-old man suffered palpable mass on right lower eyelid without pain. Orbital computed tomographic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showed a conical mass($1.9{\times}1.2{\times}0.9cm$ size) inside lower eyelid. The mass was completely excised under local anesthesia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as followed. Results: Microscopic finding showed a multiple follicular colonization. In the follicle, small lymphocytes and plasma cells differentiated to centrocyte-like cell, monocyte B cell, plasma cell were diffusely infiltrated. Immunophenotyping was preformed on fixed section. The majority of the small cells were immunoreactive for the B cell marker CD20. Based on the typical histological findings supported by immunostaining, the mass was defined as MALT lymphoma. After excision, SPECT, abdominal CT was carried out and there were no evidence of extraorbital disease. Conclusion: Biopsy and pathological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s who complain palpable mass on lower eyelid because of possibility of MALT lymphoma. Although MALT lymphoma is rarely metastasize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xtraorbital involvement using SPECT or other radiologic exams. For detecting extraorbital involvement, periodic follow-up examination is need.

허혈 재관류 손상 실험의 쥐 생체 모델 작성 (Preparation of In Vivo Rat Lung Model for Ischemia-Reperfusion Injury)

  • 이원진;박희철;홍기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11호
    • /
    • pp.963-966
    • /
    • 1995
  • Ischemia reperfusion injury occurs in various diseases. The role of oxygen free radicals in IR injury of the lung has been spotlighted and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this study, we tried to prepare a stable rat lung model for IR injury, focusing on surrounding conditions as hilar stripped left lung, clamped left pulmonary artery and bronchus,and declamped after determined period was passed, and right main pulmonary aretery was clamped. Arterial blood gas analyes were performed at 1, 10, 20, 30, minutes after reperfusion. Before clamping, PaO2 was 95 to 120 mmHg in all animals. There were six groups; Group I : temperature 15o C, and 120 minutes clamping, Group II: 20 oC, and 120 minutes clamping, Group III : 25 oC, and 120 minutes clamping, Group IV : 15oC, 90 minutes clamping, Group V : 20 oC, 90 minutes clamping,Group VI: 20 oC, 75 minutes clamping. Each groups contained 10 Sprague Dayley rats. The humidity was maintained 100 % as circulation imerged isotonic Hartmann`s solution of the pleural cavity. In group IV, V, and VI, PaO2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animals immediately after reperfusion, but 43 % survived till 10 minutes after reperfusion, it was 74.0$\pm$5.7, 73.3$\pm$10.8,and 88.2$\pm$17.7 mmHg. Pulmonary edema was observed histologically in 2/10 animals in group IV, 6/10 in group V , 3/10 in group VI, 9/10 in group I, and the other lungs showed all edema. We established a stable model by setting ischemic time,and temperature, between 75 to 90 minutes,15 to 20o C, and isotemperature Hartmann`s solution immersion of the pleural cavity.

  • PDF

만성기침에 대한 보조제제로써 청인(淸咽)트로키 복합투여의 임상적 유효성 평가 (Clinical Effects of Chungin-troche As an Adjuctive Medicine with Chronic Cough Patients)

  • 노영래;최준용;이성헌;김재환;정희재;정승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16-729
    • /
    • 2008
  • Objectives : We design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hungin-troche(CIT) preparation as an adjunctive medicine to a herbal extract of Chungsangboha-tanggagambang(CSBH). Methods : A paralled, comparative study of CSBH+CIT and CSBH was conducted on 42 patients of chronic cough who attended Division of Allergy, Immune & Respiratory Syste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between December, 2007 and June, 2008. The treatment in each group lasted for two weeks. Patients were asked to fill in the Leicester Cough Questionnaire (LCQ)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each treatment legimen. Results : 42 patients completed the trial and no adverse effects were reported. Both CSBH +CIT group and CSBH grou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total LCQ score after 2 weeks from baseline. Social domain score and total score in patients taking CSBH+CIT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ose scores in CSBH patients. Conclusion : CSBH+CIT compositive preparation and CSBH separate preparation appeared to have some benefits in the treatment of chronic cough. However, additional CIT preparation to CSBH can improve social domain in LCQ of chronic cough patients.

  • PDF

폐양성 종양 61례의 외과적 고찰 (Clinical Study of 61 cases Benign Lung Tumor)

  • 박종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2호
    • /
    • pp.272-289
    • /
    • 1989
  • Benign lung tumors compose a heterogeneous group of solid growths that present variations in clinical features, depending on whether the origin is within the bronchus on lung parenchyma or from visceral pleura. Benign tumors of the lung are relatively uncommon, and series are to be f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classification of benign tumors of the lung continues to be controversial because of disagreement concerning the origin and prognosis of many common lesions. We adopt Liebows original classification but excluded bronchial adenoma which no longer considered as benign tumor and added pulmonary A-V fistula and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We analyzed 61 cases of benign tumors which were composed of 16 original Korean cases and 45 cases which were reported on journal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The results were. [1] Incidence; Of 61 cases, chondromatous hamartoma was 2 cases [41 %],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10 cases [16.4 %], pulmonary A-V fistula 5 cases [8.1 %], sclerosing hemangioma 4 cases [6.5 %], teratoma, plasma cell granuloma & mesothelioma were 3 cases [4.9%], Castlemans disease 2 cases [3.3%], and mucous gland adenoma, paraganglioma, and leiomyoma 1 case [1.6 %]. [2] Age & Sex distribution; Male 30 cases and female 31 cases. Mean age was 31.4 years old. [3] Main symptom; was coughing, 32.8%, and no symptom, 24.6%. [4] Sixty eight percentage of chest film showed mass density, and 4 cases showed calcification, 2 cases had lobulation. [5] Size of mass was large and multiple mass was 2 cases. Endobronchial tumors were 9 cases, 14.9 %. [6] Three cases of endobronchial tumor were preoperatively diagnosed by bronchoscopy and 2 cases of pulmonary A-V fistula were diagnosed by pulmonary arteriography. [7] Seven cases, 11.5%, had associating diseases such as bronchogenic cyst, thymic cyst, Schwannoma, situs inversus, bronchiectasis and bronchogenic carcinoma. [8] Minor resection such as excision 8i: wedge resection were 15 cases, 26.2 %, and 6 cases, 75.4 %, of lobectomy were performed including 5 cases of pneumonectomy 5 cases had. [9]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ne case, 1.6 %, expired due to respiratory insufficiency. Two cases had re-operation due to bleeding and hemoptysis.

  • PDF

종괴로 발현한 원발성 폐 혈관중심성 림프종 1예 (A Case of Primary Pulmonary Angiocentric Lymphoma Manifested as a Mass)

  • 권형주;박영우;이무열;이철호;김진관;김미영;황인석;유흥선;황순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3호
    • /
    • pp.426-431
    • /
    • 1999
  • 저자등은 건성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여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검사 소견상 우측 폐야에 거대종괴가 관찰되어 우하엽 절제술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상 T 세포 기원의 혈관중심성 림프종으로 진단받은 1예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좌측 주기관지에 발생한 연골종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Chondroma)

  • 김영아;정재한;장윤수;김형중;안철민;조상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1호
    • /
    • pp.78-83
    • /
    • 2000
  • 기관지내 연골종은 드문 양성 종양으로 폐 절제술 또는 내시경적 절제술로 치료가 가능하므로 다른 질환과의 감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종례는 2년간의 호흡곤란으로 치료를 받았으나 호전되지 않아 굴곡성 기관지 내시경, 흉부 전산화 촬영 후 기관지내 결핵 및 악성 종양 의심하에 기관지 절제술 및 단단 문합술을 시행 받고 기관지내 연골종으로 최종 진단 받은 환자로 현재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