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ron content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3초

사과 왜성대목들의 줄기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 (Physiological Changes in Rooting Zone of Dwarf Apple Rootstocks (Malus domestica Borkh.) after Stem Etiolation Treatment)

  • 권순일;김목종;백봉렬;남종철;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1-156
    • /
    • 2007
  • 본 시험은 주요 왜성대목인 M.26 과 M.9, 발근력이 낮은 O.3, 발근력이 높은 Mo.84 등 4 종류의 사과 대목 품종을 재료로 휘묻이 번식시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를 시기별로 각각 비교, 분석하여 부정근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휘묻이 번식시 대목별 발근율은 Mo.84가 가장 높았고, O.3가 가장 낮았다. 대목 별 휘묻이 전 후의 IAA함량은 황화 처리 전 발근력이 높은 Mo.84에서 가장 높았으나 휘묻이 일수가 경과할 수록 IAA 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반면 발근력이 기장 좋은 Mo.84의 ABA 함량은 휘묻이 처리 전 후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휘묻이 처리전에 비하여 처리후에서 ABA 함량은 모든 대목 품종에서 감소하였다. Boron의 함량은 발근율이 낮은 O.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C/N율은 모든 대목들에서 발근율이 높은 Mo.84 대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목의 휘묻이 처리에 따른 IAA 함량은 대목의 발근율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ABA 함량과 boron의 수준은 사과왜성대 목들의 발근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가 향상된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은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 (Improvement of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Epoxy/boron Nitride/silver Nanoparticle Composite)

  • 김승용;임순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426-4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은나노입자 및 보론나이트라이드의 혼합이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에폭시/보론나이트라이드 복합체의 경우 열전도도가 보론나이트라이드의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에폭시/은나노입자의 경우는 열전도도가 크게 변화 없었으며 전기전도도는 20 vol%에서 퍼콜레이션 현상을 보여주었다. 퍼콜레이션 함량 이하에서 은나노입자를 고정시키고 보론나이트라이드를 첨가하여 조사한 결과 전기전도도 및 열전도도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EELS and electron diffraction studies on possible bonaccordite crystals in pressurized water reactor fuel CRUD and in oxide films of alloy 600 material

  • Chen, Jiaxin;Lindberg, Fredrik;Wells, Daniel;Bengtsson, Bernt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668-674
    • /
    • 2017
  •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boron species in fuel CRUD (Chalk River Unidentified Deposit) would provide essential and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root cause of CRUD-induced power shifts (CIPS). To date, only bonaccordite and elemental boron were reported to exist in fuel CRUD in CIPS-troubled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cores and lithium tetraborate to exist in simulated PWR fuel CRUD from some autoclave tests. We have reevaluated previous analysis of similar threadlike crystals along with examining some similar threadlike crystals from CRUD samples collected from a PWR cycle that had no indications of CIPS. These threadlike crystals have a typical [Ni]/[Fe] atomic ratio of ~2 and similar crystal morphology as the one (bonaccordite) reported previously. In addition to electron diffraction study, we have applied electron energy loss spectroscopy to determine boron content in such a crystal and found a good agreement with that of bonaccordite. Surprisingly, such crystals seem to appear also on corroded surfaces of Alloy 600 that was exposed to simulated PWR primary water with a dissolved hydrogen level of $5mL\;H_2/kg\;H_2O$, but absent when exposed under $75mL\;H_2/kg\;H_2O$ condition. It remains to be verified as to what extent and in which chemical environment this phase would be formed in PWR primary systems.

보론 도핑 여부에 따른 DLC 박막의 레이저 가공 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aser Processing in the DLC Thin Film according to Boron Doped Content)

  • 손예진;최지연;김태규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55-160
    • /
    • 2019
  • Diamond Like Carbon (DLC) is a metastable form of amorphous carbon that have superior material properties such as high mechanical hardness, chemical inertness, abrasion resistance, and biocompatibility. Furthermore, its material properties can be tuned by additional doping such as nitrogen or boron. However, either pure DLC or doped DLC show poor adhesion property that makes it difficult to apply contact processing technique. Therefore we propose ultrafast laser micromachining which is non-contact precision process without mechanical degrad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precision machining process of DLC thin film using an ultrafast laser by investigating the process window in terms of laser fluence and laser wavelength. We have also demonstrated various patterns on the film without generating any microcracks and debris.

A Study on Reusable Metal Component as Burnable Absorber Through Monte Carlo Depletion Analysis

  • Muth, Boravy;Alrawash, Saed;Park, Chang Je;Kim, Jong Sung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96
    • /
    • 2020
  • After nuclear power plants are permanently shut down and decommissioned, the remaining irradiated metal components such as stainless steel, carbon steel, and Inconel can be used as neutron absorb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ssibility of reusing these metal components as neutron absorber materials, that is burnable poison. The absorption cross section of the irradiated metals did not lose their chemical properties and performance even if they were irradiated over 40-50 years in the NPPs. To examine the absorption capability of the waste metals, the lattice calculations of WH 17×17 fuel assembly were analyzed. From the results, Inconel-718 significantly hold-down fuel assembly excess reactivity compared to stainless steel 304 and carbon steel because Inconel-718 contains a small amount of boron nuclide. From the results, a 20wt% impurity of boron in irradiated Inconel-718 enhances the excess reactivity suppression. The application of irradiated Inconel-718 as a burnable absorber for SMR core was investigated. The irradiated Inconel-718 impurity with 20wt% of boron content can maintain and suppress the whole core reactivity. We emphasize that the irradiated metal components can be used as burnable absorber materials to control the reactivity of commercial reactor power and small modular reactors.

질화규소-질화붕소 복합재료의 준소성 특성 (Quasi-Plasticity of $Si_3N_4$-BN Composites)

  • 이기성;이승건;김도경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00-205
    • /
    • 1998
  • 질화규소-질화붕소 복합재료의 접촉하중에 의한 손상거동을 질화붕소 첨가량의 함수로 고찰하였다. Indentation응력-변형율 곡선은 선형성을 벗어나 소성 특성을 갖는 재료임이 밝혀졌으며, 재료 표면으로 부터의 ring이나 cone형상의 균열 대신 표면하부에 전단응력에 의한 마이크로 크기의 준소성 변형 영역이 넓게 형성되어 손상저항성이 높은 재료로의 활용이 기대되었다. 이 때 마이크로 파괴와 연관된 shear faults가 이 재료의 소성을 갖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질화붕소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질화규소-질화붕소 재료는 보다 soft해지고 준소성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Ti-Nb 합금강에서 합금성분의 변화에 따른 석출물거동이 고온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cipitates on Hot Ductility Behavior of Steel Containing Ti and Nb)

  • 한원배;이종호;김희수;안현환;이승재;김성우;서석종;윤종승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285-292
    • /
    • 2012
  • Hot ductility behavior of precipitation-hardened low-carbon iron alloys containing 0.02 wt% Ti and 0.05 wt% Nb was characterized by a hot tensile stress test. Carbon (0.05, 0.1, 0.25 wt%) and boron (0.002 wt%) contents were varied to study the effect of precipitates on the high-temperature embrittlement of the alloy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600{\sim}800^{\circ}C$. Ductility loss was observed at $700^{\circ}C$ for the tested alloys. The cause of the ductility loss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carbides and ferrite films formed at the grain boundaries during deformation. Although the carbon content tended to raise the total fraction of Nb (C, N), the precipitates were formed mostly in the grain interior as the precipitation temperature was raised above the deformation temperature by the high carbon content. Hence, carbon in excess suppressed the hot ductility loss. Meanwhile, boron addition improved the hot ductility of the alloys. The improvement is likely due to the boron atoms capturing carbon atoms and thus retarding the carbide formation.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붕산염 막대로부터 붕소의 확산 (The Diffusion of Boron from Borate Rod through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오충섭;김재진;김규혁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0-67
    • /
    • 1998
  • 본 연구는 붕산염 막대(borate rod)를 이용한 고건축물 부재의 부후 구제처리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붕산염 막대로부터 붕소의 확산시 목재 함수율과 확산기간의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함수율이 15, 25, 40%로 조성된 목재 시험편에 1,000 mg의 붕산염 막대를 삽입한 후 상온에서 2, 4, 8, 12주간 확산시키고 붕소 성분의 수축 및 횡단방향 확산정도를 평가하였다. 붕소의 원활한 확산을 위해서는 적어도 섬유포화점 이상의 목재 함수율이 요구되었으며, 또한 확산기간의 연장될수록 붕소의 확산 정도가 증가하였다. 붕소 확산의 이방성이 관찰 되었는데, 수축방향 확산이 횡단방향보다 훨씬 우수하였으며 횡단방향에서는 방사방향 확산이 접선방향보다 우수하였다. 동일 함수율과 확산기간의 조합에서도 확산 정도는 수종간에 조금씩 상이하였는데, 모든 방향에서 잣나무를 통한 확산이 가장 용이하였다. 소나무 심재를 통한 수축방향 확산이 변재를 통한 확산보다 용이하였으며, 횡단방향 확산의 경우는 큰 차이는 없었으나 변재를 통한 확산이 심재를 통한 확산보다 약간 양호하였다. 함수율 40%와 확산기간이 12주인 시험편에 대한 결과를 기준으로 할 때, 붕산염 막대의 수축방향 적정 처리간격은 소나무 심재와 잣나무 심재의 경우는 약 120 mm, 소나무 변재의 경우는 60 mm이고, 횡단방향은 수종에 관계없이 공히 약 30 mm이었다. 그러나 보다 정확한 붕산염 막대의 적정 처리간격을 구명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붕산염 막대의 크기와 장기 확산저장이 붕소 성분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DMAB첨가량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을 위한 무전해 Ni 도금박막에 관한 연구 (DMAB Effects in Electroless Ni Plating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김형철;나사균;이연승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632-638
    • /
    • 2014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MAB (Borane dimethylamine complex, C2H10BN) in electroless Ni-B film with addition of DMAB as reducing agent for electroless Ni plating. The electroless Ni-B films were formed by electroless plating of near neutral pH (pH 6.5 and pH 7) at $50^{\circ}C$. The electroless plated Ni-B films were coated on screen printed Ag pattern/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MAB (from 0 to 1 mole), the deposition rate and the grain size of electroless Ni-B film increased and the boron (B) content also increased. In crystallinity of electroless Ni-B films, an amorphization reaction was enhanced in the formation of Ni-B film with an increasing content of DMAB; the Ni-B film with < 1 B at.% had a weak fcc structure with a nano crystalline size, and the Ni-B films with > 5 B at.% had an amorphous structure. In addition, the Ni-B film was selectively grown on the printed Ag paste layer without damage to the PET surface. From this result, we concluded that formation of electroless Ni-B film is possible by a neutral process (~green process) at a low temperature of $50^{\circ}C$.

밤나무 전용복비(專用複肥) 비효시험(肥效試驗) (Effect of Boron Contained Compound Fertilizer on Chestnut Trees)

  • 맹도원;정인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0-255
    • /
    • 1983
  • 밤나무에 대(對)한 합리적(合理的)인 시비(施肥)를 목적(目的)으로 밤나무 전용복비(專用複肥)를 관발(關發)하여 1981-1982년(年)에 걸쳐 은기품종(銀寄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여비시험(旅肥試驗)을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밤나무의 생장량(生長量)은 함붕소복비구(含硼素複肥區)에서 대체(大體)로 양호(良好)하였다. 2. 함붕소구(含硼素區)에서는 낙과방지효과(落果防止效果)가 커서 성숙구(成熟毬) 과수(果數)가 현저(顯著)하게 많았다. 3. 밤수량(收量)은 1982년도(年度) 경우 함붕소복비구(含硼素複肥區)에서 매우 높아 일반복비구(一般複肥區)에 비(比)해 6배(倍)나 되었다. 4. 함붕소복비시용(含硼素複肥施用)으로 토양(土壤) 및 식물체중(植物體中)의 붕소함량(硼素含量)이 높았으며 이는 밤나무의 생장촉진(生長促進), 낙과방지(落果防止)에 영향을 주어 밤 증수(增收)에 기여 하였다고 판단(判斷)된다. 5. 밤의 획기적증수(劃期的增收)를 기(期)하기 위(爲)하여는 밤나무 전용복비(專用複肥)의 시용(施用)은 불가피(不可避)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