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k of Changes (周易)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1초

『본초강목(本草綱目)』을 통해 본 『주역(周易)』의 물상(物象)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ymbols of the Book of Changes Described in the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 김민정;강연석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5-147
    • /
    • 2018
  • Analyzing the Book of Changes, researchers noted that animals and plants utilized as symbols in the Book of Changes were later used as medicinals in East Asian medicine. They found 24 animals and plants utilized as symbols in the Book of Changes; specifically in six statements on the hexagrams and 53 statements on the lines. The animal and plant symbols in 59 statements are more clearly interpreted with the descriptions in the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Eleven plants referenced in the Book of Changes were written with their nicknames, causing confusion to the researchers of later times. Using the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however, these plants can be identified. Livestock were mentioned 34 times among the 59 statements, with horse and cattle being the most often at eight times, each. They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ir sex and color. The writers of the Book of Changes constructed an elaborate symbol system with the animals that are familiar to people, and which, through this research, has been decoded through cross references to the Compendium of Material Medica.

동아시아 수학의 철학적 배경과 교육적 함의: 계사전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Background of East Asian Mathematic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 with a Focus on GyeSaJeon)

  • 정해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01-313
    • /
    • 2019
  • This paper briefly examines the Book of Changes that i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East Asian ancient mathematics and its collection of complementary(ShíYì), and then examine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GyeSaJeon, which explains the basic principles of Book of Changes as one of ShíYì. GyesaJeon reveals the unique East Asian thought of dealing with numbers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formation of Eight-Gwae(Bagua) and Sixty-four-Gwae based on Yin-Yang theory. It understands numbers in terms of symbols, not quantitative, and use them to represent characteristics or hierarchy of certain classes, and to explain certain principles.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of using East Asian mathematics history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are discussed.

복잡계의 원리와 주역의 사유방식이 주는 교육에의 시사점 (Comparative Comprehension of Men Learning by the Principles of Complex System and the Book of Changes)

  • 박혜정;도영애
    • 한국교육논총
    • /
    • 제41권1호
    • /
    • pp.59-79
    • /
    • 2020
  • 인간의 학습은 정해진 노선이 없다. 즉 어떤 길로 가도 되고 이르는 길 또한 천태만상이라는 것이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논의되어지는 복잡계의 구조에서도 살펴볼 수 있고, 동양의 오랜 고전인 『주역』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인간의 학습 자체는 무형식학습에서 시작해서 오늘날의 형식학습까지 전개되어 왔다. 인류 문명의 발달 단계를 살펴나가다 보면 이러한 발달 단계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 인간 자신이라는 문제는 언제나 많은 논의가 되어왔고, 이 논의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인간은 언어와 도구를 통해, 그리고 기술과 문화를 통해, 그리고 철학과 예술·종교를 통해 그들의 복잡하고 다양한 정신세계를 다루고 담아냈다. 또 이러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져 왔다. 이는 한 세대의 유전을 통한 육체 과정에 한하지 않고, 학습이라는 정신과정으로 삶의 확장을 이루어낸다. 인간의 마음과 학습은 언제나 현재진행형일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본 연구는 복잡다양하고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어떤 학습을, 그리고 어떻게 함께 공존해나가야 할지를 복잡계의 원리와 『주역』의 사유방식을 통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 PDF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와 주석서에 대한 서지학적(書誌學的) 연구 (Study on bibliography of "Zhouyi cantong qi(周易參同契)" and the Book of Annotation)

  • 임명진;김병수;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5-33
    • /
    • 2011
  • Daoism is a very important subject that consists of oriental medicine(traditional east asia medicine). Among the many scriptures, The Zhouyi cantong qi (周易參同契, Token for Joining the Three in Accordance with the Book of Changes) is the main Chinese alchemical scripture. This book is composed with three kinds of subject, Zhouyi(周易, the Book of Changes), the Huanglao(黃老) Tradition and alchemy(鍊金, 爐火). The author's name is not signed but is concealed in the text.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account, the legendary Han immortal from Guiji (會稽, in present-day Zhejiang, 古 浙江), Wei Boyang(魏伯陽), wrote it in the period between Emperor Shun and Emperor Huan of the Eastern Han (126-127 BC), after reading the Longhu jing (龍虎經, Scripture of the Dragon and Tiger). Later he transmitted it to Xu Congshi(徐從事), who appended a commentary, and to Chunyu Shutong(淳于叔通), who first circulated it in the world. While some features of this account provide significant details - especially about the reputed date of the text and about its formation having taken place in stages - the received Cantong qi(參同契) actually is not the product of a single generation of authors, but the result of several centuries of textual accretions as well as theory of three co-authorship by Wei Boyang(魏伯陽), Xu Congshi(徐從事), Chunyu Shutong(淳于叔通). It has over 6000 characters in four-word or five-word verses. Some parts of the book are in styles of prose and poem. Many scholars explain the title "cantongqi(參同契)", saying that "Can(參)" means three, "Tong(同)" means correspondence, and "Qi(契)" means unification. Through images of hexagrams of the Book of Changes, the book illustrates the thought of the Huanglao(黃老) Tradition and alchemy. Wei Boyang(魏伯陽) theorizes his own experience unifying the way of intercourse of Yin and Yang in the Book of Changes, the cultivation of spirit through spontaneity of the Huanglao(黃老) Tradition and the elixir refining of alchemy.

소강절의 수론 사상과 <구수략>에 미친 영향 (The thought of numerical theory of $Sh\grave{a}o$ $K\bar{a}ngji\acute{e}$ and it's influence on )

  • 정해남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5
    • /
    • 2010
  • 본 논문은 소강절의 주저인 <황극경세서>를 토대로 그가 천지만물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구로 삼은 수론 사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최석정의 <구수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본다. 또한 최석정이 소강절의 사상 중 어떤 측면을 계승하고 확장하였는가를 수학사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다산(茶山)의 주역(周易) 해석에 대한 연구 (Study on Dasan's apprehension for I Ching)

  • 임명진;강정수
    • 혜화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7-95
    • /
    • 2004
  • The medicine through I-Ching(The Book of Changes, 易經) is a field of the medical science, which studies physiology, pathology and Yin-Yang philosophy. From ancient times so many scholars have studied I Ching and they are divided into two different school. one is the school of Image and Number(象數學派), the other is the school of reason(義理學派). Da-San Jung Yak-Yong(茶山 丁若鏞) is a distinguished scholar in the I-Ching study, and he had a unique opinion in the analysis about sentences of I Ching. He has done his best to make 'Image and Number(象數)' harmonize with reason(義理). I Ching is the book about changes, which includes everything like natural phenomena, human body and mind. So we can understand human physiology and pathology through I Ching. But it's important to understand it was organized by symbols. The main symbols are Ba-Gua(八卦), 12 Bi-Gua, Zai-Ruo-zhi-Gua(再閏之卦), 50 Yan-Gua(50衍卦) and these symbols originated from the imagess of the four seasons. The image of 12 Bi-Gua coincide with 12 jing-lao(經絡), the images of Zai-Ruo-zhi-Gua(再閏之卦) coinside with Ren-mai(任脈), Du-mai(督脈). 12 Bi-Gua and Zai-Ruo-zhi-Gua(再閏之卦) are fundamental stuffs, on the other hand 50 Yan-Gua(50衍卦) is an application of every phenomenon.

  • PDF

당종해(唐宗海)의 의역사상(醫易思想)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of Tang Zong Hai's Medica-change thought)

  • 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6-71
    • /
    • 1999
  • 1. In the recohnition of cosmos true form, It is compared to the Boundless(無極) the Great Absolute(太極),Yin and Yang(兩儀) throungh the fertilazation process of spermatozoon and ovum. 2. It is explained that principle of unchange through the Form and Action(體 用) relation of the outer appearances and Number (象數) with matching the number of nine and ten to HaDoo(河圖) and RakSye(洛書). 3. Eigth divinations(八卦) being compared to the human body, Care presevation of pregnancy(養胎) is explained that head forms firstly(Gun-I 1乾一), secondly lung(Tae-E 兌二), heart(E-Sam 離三), liver(Jin-Sa 震四), gall bladder(Son-Oo 巽五), kidney(Gam-Yuk 坎六), intestines and stomach(Gan-Chill 艮七), lastly flesh forms(Gon-Pal 坤八). 4. It is explained that process of physiological change of $\ll$Nei Ching The Natural Truth in Ancient Times$\gg$(內經 上古天眞論) by matching boy at the age of 8 to Gan-divination(艮卦), and girl at the age of 7 to Tae-divination(兌卦). 5. The theory of six sons from Gun-Gon(乾坤六子論) is explained by relation of Apriority Eight-divination(先天八卦) obedience and disobedience-left and right. 6. It is explained that form of the human-body and the relationship of the Heart - the Kidney through the Gam(坎) Li(離) - divination 7. The effort of interpretating time and space of the Twelve Horary signs is explanined by season, direction, Five elements(五行), rise and decline, the Three Sum(三合), the Six Sum (六合), the six crash(六衡)'s relation. 8. the process of change from apriority(先天) to postery(後天) in the book of Changes(周易) is explanined by comparing to the phenomenum of nature and the human body. 9. The Energy Satus(氣位) ar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of Eight-divination(八卦) and the properties of the good or bad of herb-drugs are differnt from the place of production. 10. The rightness of realizating the Overlapping-divinations(重卦) are compared to the phenomenum of nature through the Divination Virture(卦德). 11. The dependence-relations of The Twelve Meridians(十二經脈) are explained by-matching January with liver meridian, February with gall bladder meridian, march with heart pericardium meridiam, April with small intestine meridkan, August with lung spleen meridian, jury with stomach meridian, August with lung meridian, September with large intestine meridian, October with urinary bladder meridianm November with kidney meridian. December with triple energizer meridian throng The Twelve Byuk-divination. 12. The process of menstration cycle is explained by The Month symbolizing-divination(月候卦). 13. Through The Trade(交易) prove the reason of feverish sympotoms to use feverish Drug, mill sympotoms to use mill drug of prescription and Heart-Kidneys Consensus(心賢相交) and through The Change(變易), prove the chill and feverish consensus of forechill after feverish, fore feverish after chill and through. The Non-Change(不易) explain the reason of chill sympotoms to use feverish drug, feverish sympotoms to use chill drug of prscription. 14. Ho-divination(互卦) applicate Jxa Sa(佐使) herb drug match of Kun Sin Jwa Sa() theory. 15. According to the Hyo-position(爻位) match the ages, body form and drug by matching Ehight-divination(八卦) to the human body form and function in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application emphasize the human body Ehight-divination(人身八卦). 16. Throgh the Order-divination(序卦) explain the rightness of Divination Image(卦象) arrangement and all things take shape by cosmo-energy conseusus(宇宙氣交). 17. Throgh the Mixing-divination(難卦) supply the vacancy of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relationship in the foreword explian the human energy movements, sleep, vomitting, the energy arrival(逮氣), heart pericardium(心包), lung membrane(肺膜) etc.... Like the above sentence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theory of scholar Tang on the viewpoint of easten-the way Western appliance(東道西器) researching abyss of medicine impart to descendants, so I think that the achievement of medicine and the book of Changes(周易) study is very excellant and I expect that the study Korean Oriental Medicine(韓醫學) theory by means of medicine the book of Changes(周易) reference, will be accelarated.

  • PDF

『백서주역(帛書周易)』 「요(要)」의 '부자노이호역(夫子老而好易)'장의 진위(眞僞) 문제 -공자와 『역』의 관계를 중심으로- (A problem of authenticity in the chapter 'Confucius became aged, and liked "The Book of Changes"' of yao 要, "essentials," seen throughout 『帛書周易』 the Mawangdui Boshu Zhouyi Manuscript. -in relation to Confucius and 『易』"The Changes"-)

  • 김상섭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1-22
    • /
    • 2014
  • "백서주역" "요"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통행본 "계사" 하편 10장과 5장의 다섯 단락, 둘째 부분은 공자와 제자 자공(子贛)(자공(子貢))과의 "주역"에 대한 중대한 대화, 셋째 부분은 공자의 '손익지도(損益之道)'에 대한 설명이다. 둘째 부분에서, 공자가 늘그막에 점책인 "역"을 좋아하자 제자 자공은 공자의 평소의 가르침을 미루어 볼 때 공자의 행위를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질문을 한다. 이에 공자는 "주역"을 복서(卜筮)로 사용하는데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점글을 즐긴다고 대답한다. 자공이 그렇게 한다면 사람에게 그릇된 것이라고 말하자 공자는 또 한 편으로 "주역"이 미래를 아는 것을 즐긴다고 말하면서 자신은 백 번 주역점을 쳐 70번을 적중했다고 말한다. 그리고 마지막 단락에서 공자는 "역"의 점치는 면은 뒤로 하고 덕과 의를 살필 뿐임을 강조한다. 이 대화에서 의리와 상수를 함께 언급하는 공자의 역관이 펼쳐진다. 본 논문은 "요"의 둘째 부분 '부자노이호역(夫子老而好易)'장의 내용을 순서대로 인용하면서 공자와 자공의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의리와 상수 두 방면에서 공자의 주역관을 살펴보고 이것이 과연 공자의 본뜻인가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부자노이호역(夫子老而好易)'장의 내용이 과연 공자의 역관을 기록한 것인가 하는 진위 문제의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고, 아울러 공자와 "역"의 관계도 명백하게 밝혀지게 될 것이다.

동시성을 통한 『주역』의 임상철학적 해석가능성 (Possibility of Clinic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Juyeok through Synchronicity)

  • 석영진
    • 철학연구
    • /
    • 제131권
    • /
    • pp.223-244
    • /
    • 2014
  • 이 논문에서 필자는 "주역"을 점서가 아니라 철학적 수양서로서 해석한다. 본래 "주역"은 점을 치기 위해 만들어진 점서였지만, 그 외에 인문학의 담론을 생산하는 풍부한 원천이었다. 왜냐하면 독특한 언어적 상징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주역"의 괘효(卦爻) 체계는 수많은 상징적 기능을 가졌는데 그것은 철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새롭게 해석될 수 있는 여지가 너무나 많다. 그래서 "주역"은 어떤 내용이나 사건에도 대입이 가능하고 그럼으로써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인생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더욱이 "주역"의 독특한 특성은 그것을 읽고 해석하는 사람의 적극적 개입에서 매우 잘 드러난다. 바로 칼 구스타프 융이 이러한 적극적 개입을 통해 "주역"을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이다. 그는 리하르트 빌헬름이 번역한 "주역"의 서문에서 '동시성(同時性)'을 적용한 "주역"해석의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주역"은 미래를 예측하거나 정해진 운명을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하거나 스스로 문제의 해답을 찾아내는 자료(自療)이다. 그것은 단순히 점친 결과물이 아니라 점치는 행위를 통해서 질문자 스스로 괘효 사(卦爻 辭)에 대한 해석을 하도록 한다. 그는 주어진 괘효 사(卦爻 辭)에서 자신의 문제의 해답을 스스로 찾아내는 일에 '동시성(同時性)'을 적용하고 있다. 동시성(同時性)이란, "의미 있는 우연의 일치 현상을 설명하는 무인과적(無因果的) 연관의 원리"이다. 즉, 동시성(同時性)이란 인과율에서 뜻하는 우연성과는 달리 '의미 있는 우연의 일치'를 뜻한다. 그는 동시성(同時性)을 통해서, 괘상(卦象)에서 도출된 점괘는 점치는 인간 혹은 점의 결과를 받는 인간이 가진 일정한 상황 하에서 무의식의 심리 상태가 밖에 투영된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한다. 이러한 융의 해석은 상징적 언어를 사용하는 "주역"의 의미전달 방식이 직접적이지 않고 간접적이기 때문이다. "주역"의 상징적 언어체계의 목적은 객관적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독자 자신의 자기 변화에 있다. 바로 이런 점이 임상철학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상에서 삶의 고민과 고통들에 처한 사람들은 "주역"에서 어떤 괘효사(卦爻 辭)를 고르든 그것에서 자신에게 의미 있고 유익한 조언을 찾을 수 있다. 그것은 본래 자신의 내면 속에 잠재되어 있던 것인데, "주역"의 괘효상(卦爻 象)이나 괘효사(卦爻 辭)를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일 뿐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우리는 "주역"으로부터 괘효(卦爻)의 상(象)이나 사(辭)가 담고 있는 의미를 자신의 상황 속에서 연결시켜 자신에게 필요한 조언 혹은 충고를 스스로 읽어 내어 자기화하면서 자신을 변화시키고 치유하는 하는 힘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점을 "주역"이 가지고 있는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