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Comprehension of Men Learning by the Principles of Complex System and the Book of Changes

복잡계의 원리와 주역의 사유방식이 주는 교육에의 시사점

  • Received : 2020.03.29
  • Accepted : 2020.04.28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Men learning has no fixed route. In other words, any route can be taken, which can also be seen in the structure of other "complex systems" discussed in modern society. It can also be examined through Yang's long-standing classic, The Book of Changes Men learning itself started from informal learning to become today's formal learning. As we look at the stages of human civilization's progress, we can quickly discover these stages of development. The issue of human beings has always been a topic of discussion, and these discussions are ongoing. Men learn through language and tools, technology and culture, and through philosophy, art, and religion to deal with their complex and diverse mental world. Through these various activities, learning is accomplished. This is not limited to the physical processes of one generation learning through inheriting knowledge; men's learning, a kind of mental process, has extended our life. This is why there is no other reason that men's minds and learning are always developing. This study is about how to learn in a complex and diversified modern society and to find out how to coexist with the principles of the "complex system" and The Book of Changes.

인간의 학습은 정해진 노선이 없다. 즉 어떤 길로 가도 되고 이르는 길 또한 천태만상이라는 것이다. 이는 현대사회에서 논의되어지는 복잡계의 구조에서도 살펴볼 수 있고, 동양의 오랜 고전인 『주역』을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인간의 학습 자체는 무형식학습에서 시작해서 오늘날의 형식학습까지 전개되어 왔다. 인류 문명의 발달 단계를 살펴나가다 보면 이러한 발달 단계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 인간 자신이라는 문제는 언제나 많은 논의가 되어왔고, 이 논의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인간은 언어와 도구를 통해, 그리고 기술과 문화를 통해, 그리고 철학과 예술·종교를 통해 그들의 복잡하고 다양한 정신세계를 다루고 담아냈다. 또 이러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져 왔다. 이는 한 세대의 유전을 통한 육체 과정에 한하지 않고, 학습이라는 정신과정으로 삶의 확장을 이루어낸다. 인간의 마음과 학습은 언제나 현재진행형일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본 연구는 복잡다양하고 다원화된 현대사회에서 어떤 학습을, 그리고 어떻게 함께 공존해나가야 할지를 복잡계의 원리와 『주역』의 사유방식을 통해 모색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周易
  2.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6). 미래는 더 나아질 것인가. RHK.
  3. 남회근(2011). 주역계사 강의. (신원봉 역). 도서출판 부키. (1991).
  4. 한숭희(2018).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근. 교육과학사.
  5. 한숭희(2019). 교육이 창조한 세계. 교육과학사.
  6. 김형기(2000). 주역의 공존윤리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이경민(2014). 복잡계의 구조에서 본 주역의 예측.판단의 문제.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정소영(2020). 생태주의적 복잡계에서 본 주역의 變通的세계와 생명공동체적 가치관.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권일찬(2011). 周易의 氣와 음양오행론과 System Theory.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43-61.
  10. 김연재(2010). 복잡계 이론에서 본 주역과 그 메타적 세계관 -동아시아적 사유원형의 모색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제152집. p.83-126.
  11. 김연재(2011). 주역의 生態易學과 그 생명의식. 아태연구 제18권 제3호. p.23-47.
  12. 김연재(2016). 인간생태학에서 본 주역의 세계와 공동체적 가치관. 새한철학회. p.73-95.
  13. 김연재(2016). 주역의 생태적 人間觀, 치유 및 행복의 메커니즘- 命運의 실타래 풀기. 한국동양철학회 2016년 동계학술대회 발표집, p.93-128쪽.
  14. 배재학(2015). 교육에서 복잡성 이론의 함의. 교육철학 제55집. p.23-51.
  15. 심임섭.고진호(2015). 복잡적응시스템으로서 학교의 존재론 및 인식론. 교육철학 제55집. p.53-78.
  16. 유영만(2006). '단순한' 학습의 '복잡성': 복잡성 과학에 비추어 본 학습복잡계 구성과 원리. 한국성인교육학회 9권 2호. p.5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