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the Human Relation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and the Resolution Strategy in the School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학교에서 맺는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과 그 해결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Received : 2020.03.29
  • Accepted : 2020.04.28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s they experience the lifecycle of teachers, to analyze and comprehend the difficulties of these teacher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propose a resolution strategy. The study is intended to assist beginning teachers in adapting well to their work and profession as teacher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growth in quality of education; it is also intended to prepare beginning teachers to utilize their time in elementary school as a period of self-improvement to become proficient teachers. The difficulties in human relations that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 in school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relations with administrators and fellow teachers, relations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relations with students. The standardized and uniform culture of a school and the administrators and fellow workers imposing such a culture are the reason for the difficulties that beginning teachers face, and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fellow teachers the beginning teachers will encounter in their first school exerts a serious influence on the growth of these teachers, who have just begun their career in education. Furthermore, the lack of skills to discipline students eventually leads beginning teachers to face difficulties in controlling students in the classroom, and the process of encountering and resolving various classroom problems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teachers' proficiency. Moreover, the attitude of students' parents who behave toward them as novice teachers serves as the reason for beginning teachers to lose their confidence or face difficulties in their careers, and exerts an influence on student counseling and guidance. The resolution strategy that beginning teachers apply as they encounter such problems with the enti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is as follows: imitation, listening, and accepting the thoughts and to renounce. To resolve the difficulties that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allocate space and time to discuss their difficulties and possible plans for resolution during the beginning teachers' training period and initiate a mentoring system in schools. Lastly, it is necessary that the offices of education continuously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on beginning teachers and publish casebooks on such studies.

본 연구는 교사의 생애주기 속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특징을 탐구하고 그 특징에 따른 해결전략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로 인해 초임교사가 교직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교육의 질을 높이고 신규교사 스스로가 초임교사 기간 동안 좋은 교사로 성장할 수 있는 준비기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초임교사가 학교에서 맺는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은 크게 관리자와 동료교사와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3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학교의 통일문화와 그 문화를 강요하는 관리자와 동료교사는 초임교사를 힘들게 할 수 있으며 또, 초임교사가 첫 학교에서 어떤 동료교사를 만나느냐에 따라 초임교사의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 초임교사들은 학급경영경험이 적으며, 학생을 다루는 기술이 부족하여 교실에서 학생들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초임교사 기간 동안 교실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속에서 숙련된 교사로서 성장해 나간다. 뿐만아니라 자신을 초보자로 대하는 학부모의 태도에서 초임교사는 어려움을 겪고 자신감을 잃기도 하며 학부모의 태도에 따라서 학생상담이나 지도에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러한 교육주체들과의 문제 속에서 초임교사들이 주로 해결하는 전략은 모방하기, 경청과 수용, 합리화하기, 포기하기이다. 초임교사의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임교사 연수 중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며 학교 내에서 멘토링제도를 활성화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지원청에서는 초임교사에 관한 질적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사례집을 발간하여 초임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근(1989). 초임교사의 근무자세와 업무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 권미숙(2003).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초기 6개월간의 교직적응과정연구 : 내러티브적 접근. 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학연구 제 10집 제 2호. 23-48.
  3. 김영천․정정훈(2003). 잔인한 3월 :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3월의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학연구 제 10집 제 2호. 49-78.
  4. 김영천(2004).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연구동향과 예들. 열린교육연구회. 열린교육연구 제 12집 제2호. 79-105.
  5. 김영천(2005). 별이 빛나는 밤 1,2. 서울 : 문음사.
  6. 김영천(2006). 미운오리새끼(한국 초임교사의 일 년 생활). 서울 : 문음사.
  7. 김영천(2013). 초임교사는 울지 않는다.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8. 김재춘․박정순․강희종(2010).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과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탐구.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제41집. 65-96.
  9. 김종미(2009). 멘토링에 대한 초등 초임교사의 인식.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제22권. 301-326.
  10. 김한별(2008). 초임교사의 학교문화 적응과정에서의 학습경험 이해. 한국평생교육학회. 평생교육학연구 제 14집.
  11. 김현진(2012).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현실충격(Reality Shock)과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제 17권. 151-173.
  12. 노지영(2014). 한국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갈등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교육연구원. 교원교육 제 30권. 73-112.
  13. 박성희(2004).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 원미사.
  14. 박은혜․이은화․이현옥․임승렬․조운주(1998). 초임교사를 위한 입문교육 프로그램모형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교사교육. 제 15집 제1호. 220-239.
  15. 박종필(2009). 초등학교 신규 교사의 교직 경험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한국교육학연구 제15권 제3호. 131-157.
  16. 박주희.홍원표(2018).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 효과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제 35권. 207-231. https://doi.org/10.24211/TJKTE.2018.35.1.207
  17. 배장오(1996). 교사론. 서울 : 생각하는 백성.
  18. 서근원(2006). 수업은 왜하지. 서울 : 우리교육.
  19. 설규주(2012). 초임교사의 사회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전문성의 변화와 한계를 고려한 컨설팅의 방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사회과교육 제 51집.
  20. 성병창(2007). 초임교사 교직 적응을 위한 지원 방안. 한국수상해양교육학회. 수산해양교육연구. 310-322.
  21. 송재홍, 원복연(2016).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제 17권. 437-452.
  22. 손성호.임정훈(2017). 초.중등 교사의 생애주기별 핵심역량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33권 2호. 365-397.
  23. 손연아.김동렬 외(2013). 생애사적 접근을 통한 과학교사의 삶과 전문성 탐색.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제 31권. 115-136.
  24. 안창선 외(1999). 교사론. 서울 : 교육 과학사.
  25. 유지영(2008). 교육실습 경험이 초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제 29집 제2호. 21-40.
  26. 유지영(2010). 한국과 미국, 독일의 초임교사 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 제 31집 제1호. 1-21.
  27. 윤홍주(1996). 교사발달 단계 및 직능발달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8. 이동명(2000).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교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지방교육경영 제 5권 제1호. 147-176.
  29. 이승복(1998). 신임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30. 이윤식(1991). 우리나라 중등교사들의 발달과정에 관한 예비적 기술 :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 한국교육개발원. 제 18집. 293-295.
  31. 이윤식(1993). 장학론고 : 교내 자율 장학론. 서울 : 과학과 예술.
  32. 이주연․정혜영(2003). 초등 초임교사의 교직생활에 대한 인식과 정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제 34집 제1호. 125-143.
  33. 이주연․한대동(2005).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관점에서. 부산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 제 15집. 1-34.
  34. 이칭찬(1996). 교사론. 서울 : 동문사.
  35. 전영국(2017). 질적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 25권. 147-168.
  36. 정웅기, 정성수(2018). 초등학교 신규교사 교직적응의 어려움과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지방교육경영 제 21권. 44-69.
  37. 정영수 외(1998). 교사와 교육. 서울: 문음사.
  38. 정정훈․김영천(2005).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딜레마에 관한 사례 연구. 열린교육연구회. 열린교육연구 제 13집. 71-100.
  39. 정하나.홍원표(2016). 초등 수석교사와 초임교사의 수업멘토링 실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제 29권. 207-230.
  40. 조영재(2015). 초등 초임교사 교직적응곤란 영향 요인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8권. 133-157.
  41. 파멜라 메츠, 이현주 역(2003). 배움의 도. 서울 : 민들레.
  42. 한국 교원 단체 총 연합회(1997). 예비 교원을 위한 교사론. 서울 : 교육 과학사.
  43. 하임 G 기너트 외, 신홍민 역(2004). 교사와 학생사이. 서울 : 양철북.
  44. Bullough, R. V(1987). First Year Teacher : A case study. Teachers College Record 9(2).
  45. 홍우림(2015).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제 28권. 255-280.
  46. C. Lacey(1977). The socialization of Teachers. London : Methum and Co. Ltd.
  47. Lortie, D. C. 진동섭 역(1993). 교직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 서울 :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