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 of Park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7초

광주광역시 근린공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평가연구 (A Study on the User's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a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City)

  • 김희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6-31
    • /
    • 2007
  • This study is aimed at classifying different types of parks in Gwang-Ju city and providing efficient Planning and guidelines to satisfy the needs of park users.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site surveys of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where park types, locations, neighboring conditions, park layout, and other physical environments were surveyed for the specific status of parks. With those basic data, urban neighborhood park types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1) urban neighborhood parks; 2) riverside neighborhood parks; and 3) natural(mountain side) neighborhood parks. For the second stage of this study, behavior patterns and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empirical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behavio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user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city is the accessibility of the parks which are small but located in neighborhoods, The users tend to visit the nearby parks regardless of size. 2. The users have relatively high levels of satisfaction for urban neighborhood parks which have a lot of green zones or park facilities. Therefore, the park planner should consider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park area and should reconsider the type of park in the planning process. 3. The different type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city do not affec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motivation of park visits. However, the accessibility of the park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users'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park. 4.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for all of the urban neighborhood parks in Gwang-Ju city indicates that the users have a relatively low level of satisfaction. Especially, 26.2% of the users have a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The new parks, which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have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than the old parks which have a lack of facilities, insufficient maintenance, and poor management planning in the park. 5.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ll city neighborhood parks showed a similar tendency with urban type parks, but showed a tendenc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park types.

Leisure Behavior of Characteristics by The Elderly At Parks In Osaka, Japan

  • Yang, Jaejoo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1-7
    • /
    • 2001
  • This paper try to provide basic insight of the changing functions of urban park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urban parks using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done for the city of Osaka, Japa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in the parks in Osaka, Japa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uthors propose the chaining meaning of urban parks in the users perspective and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Study results show high valu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park, such as the fresh air and the shadow of trees and low values on noise and stairways in it. The multidimensional quantitative III classifies the purposes of the elderly using the parks into 3 types: a multi-use type, a walking type and a sightseeing type.

  • PDF

무피복 FR강을 사용한 철골주차장의 화재시 거동성상 예측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redicting Behavior of Open Car Parks Using The Bare FR Steel Exposed to Fire)

  • 김화중;이지희;이창준;추연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8-405
    • /
    • 1998
  • This study investigated to the stability of open car parks below $600^{\circ}C$, as to predict behavior of bare FR steel structure noosed to fire. Especially, This study evaluated deformation of steel structure members of open car parks, considering change of material property by temperature. From the numerical analysis, we know the fact that the deformations comparing of standard values are stable to use the FR steel below 600 $^{\circ}C$ in open car parks plan

  • PDF

Conjoint Choice Model을 이용한 주제공원 이용자들의 선택행동 연구 (A Study on the Theme Park Users's Choice behavior: Application of Conjoint Choice Model)

  • 홍성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8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 folds: a) to introduce conjoint choice model to research the choice behavior of theme park users, and b) to suggest the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me parks. The major four theme park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A leading polling agency was employed to select 432 respondents by probability sampling and to conduct face-to-face interview. Both alternative generating and choice set generating fractional factorial design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to meet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calibration of the conjoint choice model. Dummy coding was used to represent the attribute levels, and the alternative-specific model was calibrat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was quite satisfactory($\rho$$^2$=0.47950), and most parameters values had to expected sign and magnitude. Car was preferred transport mode to shuttle bus for visiting theme parks ; however the most ideal attribute levels only were estimated significantly. Most attribute levels of shuttle bus were estimated significantly except the Dream Land, which is the least attractive park among study areas.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shuttle bus was a mode worth providing to switch the current car dominant visiting pattern of theme parks, which will be one the effective strategies to attract more patrons, especially for potential users adjacent to parks. Several ideals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es, in terms of utilization of more general utility function and new base alternative, and inclusion of more salient attributes such as constraints in the model.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행태 특성의 시계열 분석 (A Time Series Analysis of Urban Park Behavior Using Big Data)

  • 우경숙;서주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5-45
    • /
    • 2020
  •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도시민의 행태를 지원하는 공간으로 공원에 주목하였다. 현대의 도시공원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공간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공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라 그 기능·의미가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온라인상의 데이터는 방문할 공원의 선택 혹은 공원 이용행태의 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빅데이터의 자료 기반의 특징인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최초 년도인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과 양재 시민의 숲의 행태 변화를 빅데이터 기법인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과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사회연결망)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이용행태와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변화가 있었다.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의 이용행태는 제 I시기는 '타다'(동적행태), 제 II시기는 '찍다'(정보통신서비스 행태), 제 I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V시기는 '먹다'(에너지원 행태)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주요 행태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이고, 양재 시민의 숲은 제 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II시기는 '걷다'(동적행태), 제 IV시기는 '놀다'(동적행태)로 주로 동적행태 위주의 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여의도공원·여의도 한강공원은 스포츠 및 레저, 문화·예술, 여가와 관련된 요소가 도출되었고, 양재 시민의 숲은 자연자원 요소가 도출되어 주요 이용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대상지의 행태는 시기별로 특정 행태에 집중화되어 있으며, 차후 발생하는 행태를 선택하거나 제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지에 다양한 행태가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간, 시설 등이 골고루 활용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의 흥미로운 점은 두 공원에서 공통적으로 눈에 띄게 급증한 행태는 에너지원 행태(먹다, 마시다)와 소비행태(사다, 대여하다)이다. 에너지원 행태는 두 공원에서 모두 제 III시기에서 제 IV시기 사이에 10배 이상으로 치솟았으며, 다른 행태와 빈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월등히 높았다. 또한, 공원에 방문하는 시민들은 식음료비, 자전거 등의 대여비, 이밖에 행사 참여 등과 관련된 소비의사가 있으며, 공원이 도심 내 휴식공간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이용행태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오늘날 도시공원은 휴식, 산책 등의 역할을 넘어서 시대적인 트렌드를 반영하며, 소비 성향이 나타나는 놀이공간으로 성향이 변화하였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현대 도시공원에서 일어나는 행태는 양과 내용이 과거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므로 빅데이터를 통해 수집되는 대규모 집단의 행태를 유형화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학제적인 논의를 통해 오늘날 도시공원을 시민들이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친환경적 도시공원 만족도 및 이용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ly-friendly Behaviors in the Urban Parks)

  • 주신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1-10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atisfaction of the urban parks and to classify and assess the environmentally-friendly behaviors in the urban parks. For this purpose, the park user's behaviors and satisfactions were surveyed in 10 parks in Seoul and its suburb area. Parks are divided into 2 types, the walking-distance parks and the metropolitan parks, by time to reach, visit frequency and visit purpose. The park us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but not satisfied with some specific items, such as cultural facilities, accommodations for the handicapped, safety facilities and sports facilities. The environmentally-friendly behaviors are positively assessed in general, but the behavior of the natural experience was negatively assessed. The environmentally-friendly behaviors in the urban parks are classified into 2 factors; the experience factor and the activity factor. The parks are categorized into 3 types by these factors. For type I parks, the experience factor is dominant, but the activity factor is relatively low. For type II parks, the both factors are low and the parks are necessary to improve. And type III parks are positively assessed in the aspect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behaviors, even though some park are necessary to complement.

연령층에 따른 강릉시 어린이공원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Us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ark in Gangneung-Si According to Age Group)

  • 염정헌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07-71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usag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arks according to location in Gangneung-si. Weekday and weekend, gender, time of stay, and usage behavior according to age group were analyzed and a video analysis of unmanned camera data for park management was conducted. On the average, the use of children's parks during spring and autumn was more than twice that during summer, and the use rate of children's parks located in old central districts by elderly peopl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use rate of those located in housing development district. Overall, the usage ratio (24.6%) by elderly people was high, and their usage ratio (31.3%) in the morning period from dawn was significantly high. Among the usage behaviors, the rate at which dogs walk was analyzed to be somewhat high. As the usage ratio by elderly people is high with diverse usage behavi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lex functions to children's parks in the future.

울산시 도시근린공원의 실태와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tates and the Use Behavior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Ulsan)

  • 전창미;김선중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115-119
    • /
    • 2003
  • The green space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city. It is shown as the urban neighborhood park. But the current problem of urban neighborhood parks planning in Ulsan is uniform without reflecting area's characteris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lanning methods of urban neighborhood parks by surveying characteristic of each urban neighborhood parks in Ulsan actual states and use behaviors.

  • PDF

자연공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탐방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팔공산도립공원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Natural Parks' Servicescapes o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 Focus on Palgong Provincial Park -)

  • 김보미;이주희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3-94
    • /
    • 2018
  • 본 연구는 자연공원분야에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을 적용하여 서비스스케이프가 탐방객의 지각된 가치, 전반적 만족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연공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주차장, 화장실, 휴식공간, 부대시설 등 공원 내의 시설을 중심으로, 공원까지의 접근성과 시설이용의 편리성 및 쾌적성의 3개 요인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탐방객들이 공원 내의 시설 즉, 서비스스케이프를 호의적으로 인지하면 무형적인 경험의 가치도 호의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반적인 만족과 행동의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탐방객들은 탐방경험을 통한 시간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이에는 서비스스케이프 요인 중 쾌적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연공원의 관리적 측면에서 청결하고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공원에 서비스스케이프의 개념을 적용한 첫 번째 사례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후속연구를 통해 연구결과의 일반화와 신뢰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중심상업지역 근린공원의 공간적 입지특성과 이용행태 분석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of Neighborhood Parks in Central Business District)

  • 최철현;우영숙;정성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5-47
    • /
    • 2015
  • 상업지역 내에 위치한 공원은 이용행태가 일반적인 근린공원과 다를 수 있으며, 인근 상업시설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중심상업지역에 위치한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주변 현황과 여건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공원 이용행태의 특성을 규명하여 추후 공원 조성이나 재정비 시 필요한 개선점 및 보완사항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과 2.28기념 중앙공원은 인근 지역의 지가가 높고 노후화된 건축물이 적은 반면, 경상감영공원 주변 지역은 지가의 하락과 함께 상업시설이 전반적으로 쇠퇴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용자의 연령대는 젊은 층보다 노년층이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의 이용목적에 있어 세 공원 모두 공원 내 시설을 직접 이용하기보다는 주변 상업시설 이용과 관련된 간접적인 형태가 많았으며, 공원이용자의 계층적 특성이 주변 상업시설 이용자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원 이용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은 각 공원의 특성 및 이용계층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공원 조성 및 정비에 있어 공원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이용계층의 영향을 필히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