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T

검색결과 610건 처리시간 0.022초

석류 추출물의 간암세포 성장 억제 및 항산화 활성 효과 (The Effects of Pomegranate Extracts on the Growth Inhibition against HepG-2 Liver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 박경태;김두운;신태선;심선엽;김문용;전순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0-127
    • /
    • 2009
  • 석류씨, 석류 외피 분말 추출물 및 석류 과즙(주스 1과 주스 2) 추출물을 DPPH 라디컬 소거활동에 HepG-2 세포 그리고 항산화 활동에 추출물의 성장억제를 측정하였다. 높은 농도를 가진 모든 샘플은 HepG-2 세포에 대하여 성장 억제를 보였으며, 2,500 ppm의 처리구에서는 2회 감압 농축한 과즙 농축물(43%)>석류씨 분말 추출물(42%)>석류외피 분말 추출물(38%)>1회 감압 농축한 과즙 농축물(29%) 순으로 나타났다. BHT와 시료들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티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2.5 ppm의 처리구에서 석류외피 분말 추출물(60.8%)>BHT(29.9%)>석류씨 분말 추출물(16.2%)>2회 감압 농축한 과즙 농축물(15.1%)>1회 감압 농축한 과즙 농축물(12.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25, 50, 100 및 200 ppm처리구에서는 석류외피 분말 추출물(81.9$\sim$85.3%)>석류씨 분말 추출물(33.4$\sim$83.0%)>BHT(31.3$\sim$47.8%)>2회 감압 농축한 과즙 농축물(15.4$\sim$36.8%)>1회 갑압 농축한 과즙 농축물(13.4$\sim$36.1 %)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쑥(산쑥)의 물 추출물과 에테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Artemisia montana Pampan))

  • 이기동;김정숙;배재오;윤형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7-22
    • /
    • 1992
  • 탈지된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으로부터 물 추출물 및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페놀산,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들은 시판용 식용 대두유를 기질로 하여 $45^{\circ}C{\pm}1^{\circ}C$, 빛이 없는 항온기에서 32일간 저장하였으며, 매 4일 간격으로 과산화물가와 TBA치를 측정하였다. 물 추출물을 첨가한 시험구에서 항산화 효력이 모두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나 BHA와 유사한 효력을 보였으나 BHT보다는 모두 항산화 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에테르 추출물인 유리형, 에스터형 및 불용성 페놀산을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대조구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았으며 유리형은 항산화 효력이 BHA와 유사했고 에스터형은 BHA보다 높고 BHT보다 낮게 나타난 반면 불용성 페놀산은 BHT보다 항산화 효력이 높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세가지 페놀산 추출물 중에서는 불용성 페놀산이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에스터형, 유리형 순이었다. Gas chromatography 로 부터 분리 동정된 페놀산은 catechol, vanillin, umbellinferone, protocatechuic acid, ferulic acid, caffeic acid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때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산쑥은 caffeic acid, catechol, protocatechuic acid등의 항산화 효력이 강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식용대두유 기질에서 좋은 항산화 효력를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 PDF

포도씨 추출물의 항산화성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 장재권;한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24-528
    • /
    • 2002
  • 지방질 식품에 대한 천연항산화제로서 포도씨의 항산화력을 비교하기 위해 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건조수율, 페놀함량, 일반성분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건조수율과 총 페놀함량은 70%(v/v)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가열조건에서 추출하였을 때 각각 4.3%와 51%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일반성분함량은 섬유질이 가장 높았고 회분과 단백질 및 조지방이 3% 내외로 함유되어 있었다. 70% 에탄올 포도씨 추출물(GSE)과 기존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및 BHT 들과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산가, 과산화물가, TBARS에서 GSE가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고 DPPH에서의 전자공여능도 95% 정도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Conjugated Linoleic Acid의 형성과 식품중의 함량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Contents of Food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 안명수;우나리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4-90
    • /
    • 1998
  • Conjugated linoleic acid(CLA)의 생성과 식품중의 함량 및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ethyl linoleate(LA)와 대두유(SBO)를 20$\pm$1$^{\circ}C$, 40$\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의 생성량을 측정하였고 상용되고 있는 시판우유 6종류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그리고 청어, 고등어, 삼치, 꽁치 중의 CLA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CLA, BHT, tocopherol을 기질 대두유에 첨가하고 40$\pm$ 1$^{\circ}C$에서 저장하고, 상승제로서 citric acid를 같이 첨가하여 60$\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를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이들을 180$\pm$1$^{\circ}C$에서 가열하면서 그의 효과를 동시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LA에서의 CLA의 생성은 20$\pm$1$^{\circ}C$에서 저장한 경우, 28일째에 초기량(188ppm)의 약 14배 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40$\pm$1$^{\circ}C$에서는 14일까지 생성량이 증가되나 그 이후는 감소되었다. 대두유에서도 20$\pm$1$^{\circ}C$인 때 14일까지 생성량이 높았으며 40$\pm$1$^{\circ}C$인 때는 7일까지 생성량이 증가되나 그 이후 약간씩 감소되어 LA 및 SBO 모두 20$\pm$1$^{\circ}C$인 때에 CLA의 생성 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식물성 기름 중에서 CLA함량은 유채유에 348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40$\pm$1$^{\circ}C$에서 저장시 면실유의 경우 초기에 292ppm이던 것이 저장 28일째에 1322 ppm으로 증가되고 또한 POV도 10.05 meq/kg oil로 낮아 CLA의 생성이 매우 유효하였다. 대두유는 저장 7일에 767 ppm으로 상당히 큰 증가량을 보인 반면 유채유는 대체적으로 저장시 에 감소되었다. 3. 시판 우유중의 CLA함량은 293~2148 ppm이었으며 제조회사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고 육류중에서는 돼지고기에 2370ppm으로 높았으며 생선 중에서는 삼치에 1040 ppm으로 높았으며, 삼치를 조림했을 경우에는 2039 ppm으로 증가되었다. 4. 저온 저장시 CLA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는 대두유에서는 초기 7일에는 tocopherol 보다는 크고 BHT와 거의 유사하였으며, 21일 이후에는 항산화효과가 없고 오히려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A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항산화효과는 떨어졌으나 상승제인 citric acid가 공존하면 항산화효과가 BHT나 tocophero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유에서 CLA의 항산화효과는 저장 중 BHT나 tocopherol 보다 항산화효과가 높게 나타나 기질유지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180$\pm$1$^{\circ}C$에서 유지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CLA의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BHT나 tocopherol과 거의 유사하였고 저온 저장시의 경우 보다 더 높은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 PDF

Aloe추출물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loe (Aloe arborescences) Extracts on Linoleic Acid and Soybean Oil)

  • 우나리야;안명수;이기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36-541
    • /
    • 1995
  • The antioxidative effect of Aloe extracts on 0.1 M-linoleic acid was compared with some commercial antioxidants during storage at 50${\pm}$2$^{\circ}C$ for 20 hours, and on soybean oils at 60${\pm}$2$^{\circ}C$ for 30 days. In the oxidation of linoleic acid, antioxidative effects of various Aloe extracts and other antioxidants were shown as following orders: 3% Aloe methanol extract > 1% Aloe methanol extract > 0.02% BHT > 3% Aloe ethyl acetate extract > 0.5% Aloe methanol extract > 0.02%-Tocopherol>Aloe methanol extract, 0.1, 0.02% > Aloe ethylacetate extract, 1, 0.5, 0.1, 0.02% > control, while in the oxidation of soybean oil, l% Aloe methanol extract > 0.02% BHT > 3% Aloe methanol extract > 0.02%-Tocopherol>control.

  • PDF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 Stud.)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 전방실;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1-238
    • /
    • 2001
  •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ohenolic compound from extract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were water-soluble extract 7.98%, methanol extract 12.30% and ethanol extract 11.63%. The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ies of three extracts at the levels of 0.5% were higher than that of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n antioxidative activities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TBARS(thio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in tissues microsome induced with Fe$\^$++/ascorbate, the water-soluble extract was errdctively suppressed in liver and spleen. I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thiocyanate method against lipid peroxidation using linoleic acid,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r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but BH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showed to hav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

항산화제가 바이오디젤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Biodiesel Fuels)

  • 유경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81-86
    • /
    • 2007
  • Biodiesel fuel that consis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long-chain fatty acid alkyl esters is an alternative diesel fuel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or animal fats. However, air causes autoxidation of biodiesel fuel during storage, which can reduce fuel quality by adversely affecting its properties, such as the kinematic viscosity and acid value. One approach for improving the resistance of fatty derivatives to autoxidation is to mix them with antioxida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five such antioxidants in mixtures with biodiesel fuels produced by three biodiesel manufacturers : tert-butylhydroquinone (TBHQ),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propyl gallate (PrG) and $\alpha$-tocopherol. Oxidation stability was determined using Rancimat equipment. The results show that TBHQ, BHA, and BHT were the most effective and $\alpha$-tocopherol was the least effective at increasing the oxidation stability of biodiesel. This study recommends that TBHQ and PrG be used for safeguarding biodiesel fuel from the effects of autoxidation during storage.

Chick Embryo를 이용한 식품첨가물의 독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Teratogenicity of Food Additives in the Developing Chick Embryo)

  • 최재준;이영순;안희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85-190
    • /
    • 1989
  • 1. Srobic Acid 투여군은 무처치대조군에 비하여 embryo의 체장과 체중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를 나타내었는데 체장에 있어서는 1.0ml/egg 및 5.0ml/egg 투여군이, 체중에 있어서는 0.5ml/egg 투여군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2. 2.5ml/egg 수준으로 BHT를 투여한 실험군은 무처치대조군 및 용매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체장, 전지 및 후지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3. Sorbic acid 투여군의 기형발생은 뚜렷한 것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1.0ml/egg 투여군에서는 hydrocephalus를 가지고 있는 embryo를 볼수 있었다. 4.BHT 투여군의 기형발생률은 무처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은 없었으나 전지이상 , 혈종 및 hyrocephalus 가 나타났다.

  • PDF

A New Antioxidant from the Marine Sponge-derived Fungus Aspergillus versicolor

  • Li, Jian Lin;Lee, Yoon-Mi;Hong, Jong-Ki;Bae, Kyung-Sook;Choi, Jae-Soo;Jung, Jee-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4-18
    • /
    • 2011
  • A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marine-derived fungi Aspergillus versicolor led to the isolation of a new aromatic polyketide (1), The structure was elucidated by spectroscopic analysis, and i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inhibitory activity to lipid oxidation were investigated. Those activities of compound 1 were compared with standard antioxidants such as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tertiarybutylhydroquinone (TBHQ), and ascorbic acid ($V_C$). Compound 1 showed antioxidant activity comparable to that of BHA, and sigi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HT.

혼합 유채유로 제조한 라면의 저장안정성 (Storange Stability of Instant Ramyon Manufactured with Blended Rapeseed Oil)

  • 장영상;양주홍;신효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18
    • /
    • 1987
  • The storage stability of Instant Ramyon by industrially prepared with palm, beef tallow and blended rapeseed oils for frying oil was studied. The products was stored under fluorescent light at $60^{\circ}C$ with illumination of 9,000 lux. Changes of peroxide value, total carbonyl value, and absorbance at 232 nm of lipids extracted from Ramyon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he storage stability of Ramyon prepared with oils containing TBHQ had better than that prepared with a mixture of BHA and BHT. The Ramyon prepared with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tallow containing 0.02% BHA/BHT showed higher storage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palm oil alone but showed lower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tallow alone both under the same condition of antioxidant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