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ormation, Contents of Food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onjugated Linoleic Acid의 형성과 식품중의 함량 및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 안명수 (성신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 우나리야 (성신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98.02.01

Abstract

A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formation, contents in food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LA was known as a mixture of positional isomer of linoleic acid (LA), that was included in milk, meat, and fish. The formation of CLA from methyl linoleate and soybean oil (SBO) storecd at 20${\pm}$1$^{\circ}C$ was higher than at 40${\pm}$1$^{\circ}C$, and CLA formation from methyl linoleate stored at 20${\pm}$1$^{\circ}C$ was over 13 times higher than early amounts(188 ppm) and was higher than that from SBO. In edible vegetable oils, the content of CLA were the highest in canola oil (CAO, 348 ppm) but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at 40${\pm}$1$^{\circ}C$, while the content of CLA in cotton seed oil (CSO) were 292 ppm, which increased dramatically (1322 ppm) during 28 days of storage at 40${\pm}$1$^{\circ}C$. Because the peroxide value (POV) of CSO at that time was very low (10.05 meq/kg $.$ oil), CLA occurrence of CSO was shown to be very available during storage at temperature. CLA content of milk from a market ranged 293∼2148 ppm, which depended on the manufacturing, companies. In meat, the CLA content was very high in pork (2379 ppm), and among fishes, that of spanish mackerel was the highest (1040 ppm, almost same as beef, which increased greatly (2039 ppm) during boiling with seasoning. Antioxidative effect of CLA on SBO was almost same as that of BHT until 7 days of storage at 40${\pm}$1$^{\circ}C$, but decreased greatly after that period. In case of com oil (CNO), antioxidative effects of CLA were higher than those or BHN and tocopherol, suggesting that the effec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s of oils used as substrates. During heating at 180${\pm}$1$^{\circ}C$, antioxidative effect of CLA on SBO appeared almost same as those or BHT and tocopherol, and it was also shown greater effects in heating at high temperature (180${\pm}$1$^{\circ}C$) than at low temperature(40${\pm}$1$^{\circ}C$).

Conjugated linoleic acid(CLA)의 생성과 식품중의 함량 및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methyl linoleate(LA)와 대두유(SBO)를 20$\pm$1$^{\circ}C$, 40$\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그의 생성량을 측정하였고 상용되고 있는 시판우유 6종류와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그리고 청어, 고등어, 삼치, 꽁치 중의 CLA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CLA, BHT, tocopherol을 기질 대두유에 첨가하고 40$\pm$ 1$^{\circ}C$에서 저장하고, 상승제로서 citric acid를 같이 첨가하여 60$\pm$1$^{\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를 측정하여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이들을 180$\pm$1$^{\circ}C$에서 가열하면서 그의 효과를 동시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LA에서의 CLA의 생성은 20$\pm$1$^{\circ}C$에서 저장한 경우, 28일째에 초기량(188ppm)의 약 14배 이상으로 증가되었으며 40$\pm$1$^{\circ}C$에서는 14일까지 생성량이 증가되나 그 이후는 감소되었다. 대두유에서도 20$\pm$1$^{\circ}C$인 때 14일까지 생성량이 높았으며 40$\pm$1$^{\circ}C$인 때는 7일까지 생성량이 증가되나 그 이후 약간씩 감소되어 LA 및 SBO 모두 20$\pm$1$^{\circ}C$인 때에 CLA의 생성 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식물성 기름 중에서 CLA함량은 유채유에 348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40$\pm$1$^{\circ}C$에서 저장시 면실유의 경우 초기에 292ppm이던 것이 저장 28일째에 1322 ppm으로 증가되고 또한 POV도 10.05 meq/kg oil로 낮아 CLA의 생성이 매우 유효하였다. 대두유는 저장 7일에 767 ppm으로 상당히 큰 증가량을 보인 반면 유채유는 대체적으로 저장시 에 감소되었다. 3. 시판 우유중의 CLA함량은 293~2148 ppm이었으며 제조회사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고 육류중에서는 돼지고기에 2370ppm으로 높았으며 생선 중에서는 삼치에 1040 ppm으로 높았으며, 삼치를 조림했을 경우에는 2039 ppm으로 증가되었다. 4. 저온 저장시 CLA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효과는 대두유에서는 초기 7일에는 tocopherol 보다는 크고 BHT와 거의 유사하였으며, 21일 이후에는 항산화효과가 없고 오히려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A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항산화효과는 떨어졌으나 상승제인 citric acid가 공존하면 항산화효과가 BHT나 tocopherol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유에서 CLA의 항산화효과는 저장 중 BHT나 tocopherol 보다 항산화효과가 높게 나타나 기질유지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180$\pm$1$^{\circ}C$에서 유지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CLA의 항산화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BHT나 tocopherol과 거의 유사하였고 저온 저장시의 경우 보다 더 높은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