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ous curriculum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5초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A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 이경진;최진영;최나영;김지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771-797
    • /
    • 2015
  •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음악영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영재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교육을 수혜하고 있는 음악영재 103명을 대상으로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요소 즉, 교육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그리고 음악영재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했다. 요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음악영재 교육목표 중 '자기의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항목에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의 차이가 컸다. 교육내용에서 '클래스 피아노'와 '부전공실기', '음악 현장체험'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부전공 실기'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교육방법에서 음악영재들은 '학습자의 자율적 선택과 흥미를 추구하는 수업'과 '현장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교육평가에서는'학생들 서로에 대한 상호평가'와 '그룹별로 협동해서 공동의 작품이나 연주에 대한 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음악영재들은 '실기실/실습실(연습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고등학생들은 실기실뿐 아니라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창의성 향상을 위한 아두이노 활용 교육과정 개발과 분석 (A Study on Training Courses Development and Analysis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using Arduino)

  • 심주은;고주영;심재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14-525
    • /
    • 2014
  • We have performed a short-term compute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ducation using Arduino.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was to progress basic training interestingly and discover excellent students. Training was about practicing basic examples about H/W, S/W, communication, and solving creative tasks. We divided training participants into a team composed of each 3 members and educated them for 10 hours. Instructors were consists of 1 main teacher and 3 teacher assistants. Training was about assembling Arduino based robot, blinking LED, operating speaker, serial communication, producing softwar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autonomous of robot, and control hardware of robot. 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a meaningful ICT integrated curriculum which has high usefulness in a short period.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ducation completed 96% out of 10 creative tasks, and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 of curriculum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인공지능 수학교육과정의 모듈화 접근방법 연구 (A Modular Based Approach on the Development of AI Math Curriculum Model)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50-57
    • /
    • 2021
  • Although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cess in AI education is a very important issue, little cases are reported in developing effective methods on AI and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level. The universities cover all fields of mathematics in their curriculums, but they lack in connecting and applying the math knowledge to AI in an efficient manner. Students are hardly interested in taking many math courses and it gets worse for the student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s. But university education is very slow in adapting to rapidly changing new technologies in the real world. AI is a technology that is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century, so every one should be familiar with this technology but it requires fundamental math knowledge. It is not fair for the students to study all math subjects and ride on the AI train. We recognize that three key elements, SW knowledge, mathematical knowledge, and domain knowledge, are required in applying AI technology to the real world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a modular approach of studying mathematics knowledge while connecting the math to different domain problems using AI techniques. We also show a modular curriculum that is developed for using math for AI-driven autonomous driving.

Morjorie M. Brown의 가정과 교과과정 모형에 근거한 ‘인간발달과 가족관계’ 영역의 학습지도안 개발 (Lesson Plan Development Based on Marjorie M. Brown’s Home Economics Curriculum Paradiam in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

  • 장혜경;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9-131
    • /
    • 1994
  •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lesson plan for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hip”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urrent educational practice in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employed goal and the nature of home economics are neither stated specifically nor closely interrelated. This problem has led us not being able to achieve pursuing go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employ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In view of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lesson plan reflecting the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inefficiency in the current practice of secondary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lesson plan was based on the Marjorie M. Brown’s philosophy of home economics whi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goal of home economics is to help individuals and families to become autonomous in their own family life and to be more capable of interacting with others in behalf of well-being of the family and of social evolution toward a free society. 2. The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is conceptualized as practical science and personal service profession. 3. the nature of problems which home economics should deal with is perennial and practial. 4. Practial reasoning composed of historical understanding, critical action, and reflective thinking is appropriate for the previously mentioned goal and characteristics of home economics and for dealing with perennial practial problems. The lesson plan was proposed for one of perennial problem, “How should we understand, create, and maintain our family culture\ulcorner”by employing practial reasoning and teaching models such as “role play”and “classroom meeting.”

  • PDF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유탐구 방안 (A Freedom Inquiry Method by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2007)

  • 이용섭;박미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Freedom Inquiry Method by Revised Science Curriculum in 2007. This study introduced IIM(Independent Inquiry Method), PBL(Problem Based Learning), Small Inquiry Method, Science Notebooks, Project Learning Method about Freedom Inquiry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IM(Independent Inquiry Method) is studying method in the inquiry process center. The inquiry process is composed of total 9 phases, inquiry subject really it is, detailed aim deciding, information searching, it searches, quest result it arranges, aim evaluation, the report making, it announces, it evaluates, it is become accomplished. Second, It is a studying method which it starts with the problem which is Problem Based Learning, study atmosphere creation phase, problematic presentation phase and sleep static problem solving the phase which it attempts, it is become accomplished with autonomous studying phase, coordinated studying and discussion studying phase, discussion resultant announcement studying phase, arrangement and evaluation. Third, Small Inquiry Method, Call it accomplishes the call grade of the students among ourselves 4~8 people degree where only the quest learning capability is similar within class. Also interaction and coordinated function of the members between it leads and the subject which is given in the group it cooperates and it solves with it is a quest method which arrives to aim of commonness. This method divides on a large scale in three parts, it becomes accomplished in programming phase, quest accomplishment and resultant announcement. Fourth, Science Notebooks learns a scientific contents and a scientific quest function and the possibility of decreasing in order to be, from the fact that the help which it understands. This planing, data searching, it searches, becomes accomplished with resultant arrangement, announcement and evaluation. Fifth, The Project Learning Method the studying person oneself studying contents, it establishes a plan and it collects it accomplishes process of etc. it evaluates it leads and a subject and information and with real life it is a method which it studies naturally from the learning environment inside which is similar. This is preliminary phase, project start, project activity and project arrangement.

  • PDF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을 위한 영재 심화 교수-학습 모형과 그 적용 (Search for the Model of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for Gifted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 조석희;강숙희;장영숙;정태희;이혜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31-56
    • /
    • 2002
  • 영재들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이 최대한 계발될 수 있으려면 그들의 특성에 맞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영재들의 잠재적인 지적 능력을 학문적이고 전문적이며 성숙된 성취 수준으로 구현시킬 수 있는 영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교육과정의 내용과 성격을 잘 구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cdot}$중등 영재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재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영재 교수-학습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모형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영재 교수-학습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영재 교수-학습 모형은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중 심화학습에 적절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형을 적용하여 초${\cdot}$중등 자료를 개발하였고, 영재 심화 교수-학습 자료 모형의 활용방안과 영재 교수-학습 자료를 통해 영재교육이 보다 성공적으로 우리 교육에 정착되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하였다.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with a Focus on Curriculum)

  • 박찬호;정일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1-248
    • /
    • 2018
  • 본 연구는 21세기 핵심역량이 대두되면서 시작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측면에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측면에서 볼 때 학생, 학부모, 교원 교육전문직은 대구행복역량교육에 대하여 모두 중간 이상 수준의 인식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균치를 비교하면 학생과 학부모는 큰 차이가 없었고 교원의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교원이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주체라는 점에서 이해 가능한 결과이다. 또한 학부모는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학생과 교원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예측과는 달리 학생과 교원 모두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인식 수준이 낮아졌으며, 특목고 자율고와 특성화고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대구행복역량교육이 2014년에 본격 시행되어 아직 초기라는 점과 함께 대학 입시나 취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여지가 적었기 때문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교육과정이 안착되면서 자연히 개선되겠으나 여기에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안착을 위한 시사점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평가를 CIPP 모형에 근거한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상황, 투입, 과정, 산출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산출에 대해 매우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원의 경우 투입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았다. 비록 학생과 학부모는 상황과 투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산출평가 문항 평균값이 교원의 투입평가 문항 평균값과 유사하였다. 성과에 해당하는 산출평가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교육의 대상인 학생들로부터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임상병리사 교육과정 및 임상실습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of Medical Technologists)

  • 양병선;최세묵;심문정;김충환;배형준;육근돌;김윤식;임용;강지혁;김홍성;김동찬;신경희;이상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20-330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병리사의 3년제 교육과정, 4년제 교육과정, 임상실습현황, 해외 교육과정 및 실습을 조사 분석하여 급변하는 우리나라의 임상병리분야에 대처할 수 있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커리큘럼의 분석은 3년제 25개 대학 및 4년제 25개 대학의 2017학년도 기준 교육과정을 요청하여 전수 조사하였다. 임상실습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 76건, 산업체 1142건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의 분석결과 3년제 대학의 교육과정은 임상병리사 국가시험위주의 교육과정의 편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4년제 교육과정은 미래변화를 반영한 과목이 다양하게 개설되어 있었지만 일부 대학에 불과했다. 또한, 자율적인 수강신청으로 전공과목 중 학생들이 어렵게 여기는 과목에 대해서는 수강하지 않고서도 국가시험을 볼 수 있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임상실습의 경우 다양한 실습기관과 실습시기, 실습학점으로 현실적으로 표준화가 어려운 것이 실정이었다. 실무중심의 교육을 위하여 교내실습교육도 강화되어야 하겠지만, 현장에서의 실무교육 또한 중요하므로 임상실습의 기간과 교육시간에 따른 학점의 편성이 표준화되고, 적절하게 산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임상병리사 직무분석 및 임상현장을 고려하여 현장실무형 교육과정 개정이 필요하며, 이는 임상병리사평가원을 통해 교육과정과 임상실습모델의 표준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액티브 시니어의 신체적 여가활동에서 동기부여 언어의 중요성 -시니어 패션모델 교육을 중심으로- (Importance of Motivational Language in Physical Leisure Activities of Active Seniors -Senior Fashion Model Classes-)

  • 선준호;정선옥;이규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40-156
    • /
    • 2024
  •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otivational language of instructors in senior fashion model classes affects learner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s well as their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ctive seniors aged 50 and above,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LS-SEM and bootstrapping for mediation effects. It was found that autonomous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ask achievement goa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ut not on ego achievement goals. On the other hand, controlled motivation onl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ego achievement goals. Additionally, interpersonal compete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participating, and task achievement goals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ous motiv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is study aim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instructors' motivational language in senior fashion model education and learners' psychology an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help develop a fashion-related leisure activity curriculum. It also suggests efficient instructional directions for instructors in senior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fashion-related leisure activity program curricula in the future.

경호학의 정체성과 미래에 대한 발전 방안 (Development Plan for the Identity and Future of Security Science)

  • 권혁빈;박준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50호
    • /
    • pp.145-172
    • /
    • 2017
  • 2015년 8월 교육부는 사회적 수요에 따른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질적 구조개혁과 재도약 가능성이 있는 대학의 자율적 노력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위해 대학을 평가하여 결과에 따른 등급별 감축 비율 권고 등 정원감축에 노력을 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학령인구 급감에 대비한 선제적 구조개혁이며, 사회적으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대학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하나의 대책마련으로 사료된다. 국내의 경호학과가 1996년 최초 설립 후 미래 4차 혁명 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며 교육목표, 취업진로에 방향이 정체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과감하게 시대에 맞게 관련자격증과 교육과정,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전문교육과정이 앞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그 한 예로 한세대학교, 중앙대학교, 극동대학교에는 산업보안학과가 생겼고 경기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에는 융합보안학과가 생겨나는 추세이다. 대학원의 경우 건국대에 안보재난대학원, 정보정책대학원, 형사사법대학원, 가천대 국가안보대학원, 성균관대 국가전략 대학원 등이 생겨나고 있는 현실에서 경호학으로만 안주해서는 안 되는 시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각 주요 대학의 경호관련, 경찰관련, 산업보안관련, 군사관련 학과들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학과 간의 통 폐합과 시대적 요청에 따른 변화를 미리 예측하여 향후에 대비할 필요가 있겠다. 전문대학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적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과의 유기적인 협조와 산학관의 상호협력을 절실히 모색해야하는 시점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