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Non-Invasive Sex Determination of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via Sex-Specific Amplification of the Amelogenin Gene

  • Baek-Jun Kim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4호
    • /
    • pp.154-158
    • /
    • 2023
  • The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is among the most threatened or endangered species in Asia. For it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ex identification of U. thibetanus using non-invasive samples (e.g., hair and/or feces) is potentially valuable. In this study, a non-invasive molecular method for sex identification of U. thibetanus samples collected from various countries was first utilized, and it was based on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mplification of the amelogenin gene via PCRs. Thirty-three bear DNA samples, extracted not only from blood (n=9) but also from hair (n=18) and feces (n=6), were used. We performed sex-specific PCR amplifications of the amelogenin gene using a primer set, SE47 and SE48. The primer set could successfully amplify a single X-specific band for females and both X- and Y-specific bands for males from all blood (100%) and hair (100%) samples. In addition, the primer set could distinguish the sex of bears in four out of a total of six fecal samples (approximately 67%). This study's findings suggest that this molecular method can be applied to sex identification of Asiatic black bears from various Asian regions using non-invasive samples, such as hair and feces.

반달가슴곰에서 시행된 고환절제술 (Orchiectomy in the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 정동혁;이승용;양정진;석성훈;공주연;박세진;진소영;김민향;이배근;이희천;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63-365
    • /
    • 2015
  •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은 국제적 멸종위기종으로,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종복원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자연방사가 어려운 개체들은 제한된 사육 시설로 인해 곰 개체수 관리가 필요하여 수컷에서 고환절제술을 시행하였다. Tiletamine-zolazepam 2 mg/kg과 medetomidine $40{\mu}g/kg$ 합제를 이용하여 곰을 포획하고, 기관 삽관을 통해 isoflurane으로 전신마취를 유지하였다. 고환절제술은 전음낭 절개를 통해 closed method로 시행되었으며, LigaSure를 사용하여 정삭을 소락 절단였다. 절개면 피하조직은 흡수성 봉합사로 연속봉합 하였으며, 피부는 조직접착제로 봉합하였다. 별다른 부작용 없이 전신마취에서 회복되었으며, 총 마취 시간은 58분(곰 A)과 53분(곰 B)이었다. 수술시간은 26분(곰 A)과 24분(곰 B)이었으며, 술 후 부종이나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반달가슴곰에서 LigaSure를 이용한 최초의 고환절제술 증례이다.

동면중 반달가슴곰에 대한 혈중 Progesterone치와 초음파진단기를 이용한 임신진단 (Pregnancy Diagnosis by Measuring Serum Progesterone Level and Ultrasonography for Asiatic Black Bear(Ursus thibetanus) Being under Hibernation)

  • 신남식;김용준;윤재원;김영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8-301
    • /
    • 2004
  • Pregnancy diagnosis by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for both pregnant and non-pregnant Asiatic black bears which were being under hibernation. Pregnancy was diagnosed for a pregnant bear by detecting images of heart-beat and vertebrae on ultrasonograph. Serum progesterone levels were measured for both pregnant and non-pregnant bears. The level of serum progesterone was 5.79 ng/ml for a pregnant bear and 0.76 ng/ml for a non-pregnant bear, respectively, thereby it was considered that measurement of serum progesterone level can be also useful for pregnancy diagnosis for Asiatic black bear.

Maxent 모델을 이용한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분포변화 예측 (Habitat Distribution Change Prediction of Asiatic Black Bears (Ursus thibetanus) Using Maxent Modeling Approach)

  • 김태근;양두하;조영호;송교홍;오장근
    • 생태와환경
    • /
    • 제49권3호
    • /
    • pp.197-207
    • /
    • 2016
  • 본 연구는 국립공원을 포함한 국내 보호지역에서 반달가슴곰 (Ursus thibetanus)을 효과적으로 보전하고, 종 복원을 성공하기 위해서 종의 재도입에 적합한 지역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Maxent 모델과 기후, 지형, 그리고 도로 및 토지이용과 관련된 환경 변수를 이용하여 반달가슴곰의 출현 기록이 있는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그리고 인도를 대상으로 잠재 서식지를 예측하고, 이와 관련된 기후 및 환경 변수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미래 기후변화에 따라서 반달가슴곰에게 적합한 서식 범위의 면적과 지리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생물보전을 위해서 야생생물의 서식지분포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Maxent 모델의 판별정확도를 나타내는 AUC 값이 0.893 (sd=0.121)으로 산출되었다. 이는 반달가슴곰의 잠재 서식지를 예측하고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서식지 변화특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였다. IUCN에서 평가한 반달가슴곰의 분포지도와 비교해서, 현존 지역 (Extant)은 Maxent 모델로 예측된 서식 확률이 국가별 지역적으로 다양하고, 멸종 지역 (Extinct)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반달가슴곰이 서식하는 환경 특성의 차이가 지역적으로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반달가슴곰의 잠재 서식지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은 기후, 지형 그리고 인위적 요소인 도로로부터의 거리와 같은 요소보다 토지피복 유형의 영향이 가장 높았는데, 특히 낙엽활엽수림지역이 더욱 선호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기온의 연간범위보다 연평균강수량과 건조시기의 강수량의 영향이 더욱 클 것으로 예측되었고 도로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식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달가슴곰은 먹이자원뿐만 아니라 인간의 간섭이 없는 보다 안정된 지역을 선호할 것으로 추측된다. 미래 기후변화에 따라서 서식적합지역은 점차 확장할 것으로 전망되었고, 남한에서는 전남, 전북 그리고 강원도지역이, 일본에서는 Kyushu, Chugoku, Shikoku, Chubu, Kanto 그리고 Tohoku의 접경 지역이, 중국에서는 Jiangxi, Zhejiang 그리고 Fujian의 접경 지역이 향후 아시아지역에서 반달가슴곰이 서식할 수 있는 핵심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보전과 효율적인 관리, 인위적으로 도입된 개체의 방사지점 선정, 향후 서식 범위의 확장에 따른 보호지역 설정 그리고 인간과 충돌지역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earning Curve of a Low-Volume Veterinary Surgeon for Laparoscopic Salpingectomy in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 Dongwook Heo;Seong-Min Kim;Dae-Yoen Hwang;Ill-Hwa Kim;Hyun-Gu Ka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38-444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arning curve of a low-volume veterinary surgeon for laparoscopic salpingectomy of Asiatic black bear. A total of 66 Asiatic black bears (Ursus thibetanus) were presented for sterilization using laparoscopic salpingectomy. These 66 bea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22 bears according to the order of surgery (A, B, and C groups, 22 bears per group). One veterinarian performed laparoscopic salpingec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ody weight, or crown-rump length between groups. The hazard of completion for salpingectomy by 5 minutes was higher (p < 0.0001) in B and C groups than A group, whereas the hazard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B and C groups. The factor that affected the hazard of completing salpingectomy by 5 minutes was heart rate, not age or weight. Operation time was 12.61 ± 8.04 minutes for group A, 5.35 ± 4.38 minutes for group B, and 2.80 ± 1.16 minutes for group C. The operation time for salpingectomy shortened over tim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in operation time was present only between groups A and C (p = 0.001). The operation time for laparoscopic salpingectomy decreased rapidly for the first 7 bears (p < 0.05). It then decreased gradually until the 66th case. Operation time of laparoscopic salpingectom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tabilized after 33 cases (p < 0.05). As a result, the number of bears required for a low-volume veterinary surgeon to be proficient in laparoscopic salpingectomy is 33 or more.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확대 사례 (A case study of the habitat expansion of the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ussuricus))

  • 김정진;김태욱;최주열;박석호;한상현;이사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96-203
    • /
    • 2019
  • 과거 한국에는 반달가슴곰이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반달가슴곰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산업화, 서식지 파괴, 밀렵으로 인해 절멸 상태에 이르렀다. 2000년대 초반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환경부에서는 절멸 위험에 처해 있는 생물종에 대한 복원과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외부로부터 한반도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과 동일한 아종을 도입 방사한지 14년이 흐른 2017년에 지리산에서 약 80 km 떨어진 수도산에서 반달가슴곰이 발견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과거 지리산에서 방사했었던 3년생 반달가슴곰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지리산에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추진한 이후 가장 멀리서 이동한 사례이다. 이후 지리산에서 2회 재방사를 하여 다시 수도산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지리산에서 활동하는 반달가슴곰에 비해 많은 이동거리와 행동권을 나타냈다. 수도산에서 3번째 방사 이후 안정적인 이동 패턴과 서식영역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집단의 서식지 확산과 이에 따른 광역적 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MaxEnt와 GIS를 활용한 반달가슴곰 동면장소 분석: 비동면 기간 동안의 서식지 비교 연구 (Analysis of Hibernating Habitat of Asiatic Black Bear(Ursus thibetanus ussuricus ) based on the Presence-Only Model using MaxEnt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Comparative Study of Habitat for Non-Hibernating Period)

  • 정대호;강병선;조재운;김석범;김정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02-113
    • /
    • 2016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겨울철 서식지 환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GIS 및 기계학습 모형으로 서식환경을 분석하여 지리산국립공원의 겨울철 동면기 서식지인 동면 장소 출현과 비동면기 동안의 서식지 환경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환경요인 중 동면 장소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경사로 41.4%, 그 다음으로 고도가 20.4%, 탐방로로부터 거리 10.9%, 영급 7.7%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반달가슴곰 서식지와 동면지역 서식지 평가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평균 고도는 동면지역이 63m가 높았으며 최적 고도는 400m 이상 높게 나타났다. 평균 경사는 $7^{\circ}$가 높고 최적 경사는 $12{\sim}43^{\circ}$ 더 급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와의 거리는 동면지역이 평균 300m 이상 더 떨어져 있었으며, 최적 이격 거리의 범위는 1,300~2,400m 더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철 동면의 메커니즘을 위한 동면 지역선택 시 조금 더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안전하고, 인간과의 접촉에서 멀어지려는 습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반달가슴곰이 동면기간 동안 혹독한 추위와 많은 위협요인을 피할 수 있는 동면 장소를 선택하는 서식환경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반달가슴곰의 동면 생태 기작과 서식지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