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 contents

검색결과 1,362건 처리시간 0.026초

콘텐츠기획 방법으로서 강제연결법과 의미론의 효용 : KBS<단박인터뷰> 기획과정의 자기 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The Usefulness of Forced Connection Method & Semantics as a Content Planning Tools : An Autoethnography on Planning Process of KBS Current Issue Program )

  • 홍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8-47
    • /
    • 2018
  • 새로운 콘텐츠를 기획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여전히 새로운 콘텐츠를 기획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미디어 학계의 논의는 활발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콘텐츠를 기획하는 방법으로서 강제연결법과 의미론의 유용성을 자기문화기술지 방식을 통해 검토하며, 인문학이 콘텐츠 생산 현장과 어떻게 접합되는 지 검토해보았다. 연구자가 2007년 방송사 재직 당시 기획했던 시사 인터뷰 프로그램인 <단박인터뷰> 기획 과정을 자기 문화기술지 방식으로 기술하고, 그 경험을 사회문화적 의미와 연결시키고자 했다. 시사 프로그램 제작 경험이 없었던 연구자는 강제연결법을 사용하여 낯선 단어의 의미를 결합하여 '단박인터뷰'를 기획했고, '곧바로', '지체 없이', '현장에서', '솔직하게'를 뜻하는 '단박'이라는 의미를 충실하게 나열함으로써 제작방식과 출연자를 결정하게 되었다. 연구자의 이와 같은 기획방법은 단어의 의미를 기술한 뒤 의미에 맞게 제작 메커니즘을 모색한, 이른 바 의미론에 의한 콘텐츠 기획방식이라 할 수 있다. 의미론에 의한 기획은 단기간에 적은 인원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하는 한계상황이 만들어낸 기획 법으로, 콘텐츠 기획에서 인문학적 접근이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라 하겠다.

광주비엔날레의 정책변화: 창설 선언문과 20주년 혁신안 사이 (On Policy Change of Gwangju Biennale: in Between the Gwangju Biennale Declaration and the Innovations Suggested on the 20th Anniversary)

  • 권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245-2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엔날레 창설 이후의 정책 변화가 이를 구현할 예술 감독 선정과 주제 발표, 이어 감독이 설정할 주제를 드러낼 작가 초청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전시로 나타나는 데 미친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가장 오랜 비엔날레인 광주비엔날레의 창설 당시 선언문과 20년 뒤인 2015년 내놓은 혁신안을 비교 분석했다. 이들 선언문과 혁신안에는 미술의 세계화와 지역성, 비엔날레붐, 글로벌리즘, 정체성과 전통 수호 등 당시 미술평론의 키워드가 빠짐없이 녹아들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비엔날레 창설선언문이 20년간 단계적 발전을 거쳐 '20주년 혁신안'으로 이르는 과정에서 초창기부터 강조됐던 '광주정신'이 과거사의 재현에 그치는 게 아니라 오늘날 세계 각지의 인권 탄압을 말하는 예술로 보편화되며 확장됐다는 점, 지역성의 맥락은 커뮤니티 아트의 형태로 구현돼 갔음을 분석했다. 특수성의 보편화, 커뮤니티 아트의 확대는 오늘날 한국 현대미술 전시 지향의 변화와도 그 맥락이 상통한다.

대중문화의 전위 언어로서 프린트 (Prints as Avant-garde Language of Mass Culture)

  • 임영길;김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81-192
    • /
    • 2009
  • 현대미술에 있어서 프린트는 시각이미지 분야에서도 판화가 지닌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동시에 대중의 욕구를 충족하고 소통하는 데에 있어서 전위성을 띠고 있다. 그것은 판화의 형식이 르네상스 시기의 라인컷(Line Cut)에서부터 칼라 프린트의 프로세스, 사진, 20세기의 카툰의 시작, 그리고 광고와 예술, 그래픽 포스터로 이어지는 다양한 표현과 매개체의 변화에서 보듯이 고정적이기 보다는 유동적인 매체로서 복잡하고 다양한 문화 지형 속에서 말-언어보다는 개인들의 욕구와 특성을 원활히 소통할 수 있는 시각 언어 행위로써의 그 역할을 훌륭히 수행해왔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중문화의 전위언어로서 프린트들, 즉 판화가 정치와 경제 분야에서 첫 번째, 언어와 그림언어간의 특성의 차이들과 그것들이 우리의 감각적인식이나 행동에 어떻게 작용하는 가를, 그래픽 포스터의 구체적인 특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두 번째로는 판화예술이 순수 예술로서 그 언어적인 행위를 어떻게 수행해 왔는가를 연구하는 데에 있다.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Healing Action Mechanism of Senior Dance's Educational Effect)

  • 유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4-121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복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무용분야 수혜기관으로 선정된 노인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 7명이다. 연구의 자료는 1:1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사복지사들은 노인무용교육을 단순한 신체활동보다는 정서, 인지, 정신, 사회적 예술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해 개인의 긍정적 정서와 인지력을 자극하여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삶의 만족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가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무용 교육은 개인과 공동체간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삶의 질을 점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치유적 예술활동이라 할 수 있다.

UCC 뉴미디어아트에 나타난 소통미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ve Aesthetics in UCC New Media Art)

  • 김일권;서용덕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68-76
    • /
    • 2011
  • 오늘날 디지털미디어와 인터넷의 발달로 새로운 사회 문화적 영역이 만들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편집장비를 이용하여 개인적인 영상 및 콘텐츠를 인터넷상에서 활용 및 전달하고자하는 UCC는 이 시대의 새로운 문화 영역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새로운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컨텐츠와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소통 미학적 연구를 시도함으로서 UCC의 예술로서의 가치, 문화적 가능성과 아울러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에 나타난 문화적, 예술적, 차원에서 시지각적 의미와 분석을 고찰하고, 개인을 넘어 공동체의 자기표현 과정 등의 구조까지 이해하며 서로 상호 소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디지털 네트워크의 단편적인 면, 종합적인 면, 등을 고려하여 자유문화의 실현이 어떻게 가능한지, 무분별하게 복제되고, 양산되는 UCC 컨텐츠 내에서의 질적 발전을 열어나가는 의미와 구조를 분석함으로서 UCC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수용에 대한 연구 - 사실주의를 중심으로 - (Aesthetic Approach of Digital Images - Focus on Realism -)

  • 윤영두;최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46-154
    • /
    • 2010
  • 철학과 사상, 서사와 효과, 문화와 예술 영역으로 양분되어 논의되었던 포스트모더니즘의 담론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하여 그 영역이 모호해졌다.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문화예술전반에 걸쳐 매체예술을 비롯하여 미학적 접근에 대하여도 변화를 가져왔다.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해석은 기존의 이미지의 재현논리의 중심에서 디지털 기술이 만들어내는 이미지에 대한 특징 분석 및 해석과 함께 디지털 이미지들을 어떻게 수용해야하는가의 문제로 변화하고 있다. 하이퍼 리얼리티를 강조하는 디지털 이미지는 기존의 영화의 미학적 접근방식이 아닌 쇼트 단위로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디지털 이미지는 프레임 단위 안에서 이미지의 현실 재현성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기존의 총체적인 내러티브상의 영화 이미지의 미학적 특성에 대한 접근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한다. CGI가 만들어내는 디지털 이미지는 프레임단위에서 재현되는 핍진성의 척도와 시뮬레이션, 극사실주의 개념으로써 해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환영성이 강조되는 영화에서는 내러티브상의 사실주의적 접근보다는 회화적 차원에서의 현실 재현적 차원으로의 미학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포토샵 레이어 기능을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수업 (Composition of Oriental Painting Lesson Using Photoshop Layers)

  • 박하나;허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361-373
    • /
    • 2014
  • 동양회화 수업이 소홀히 여겨지는 이유는 교사의 부담과 용구의 준비와 사용의 번거로움 때문이다. 이러한 부담감은 매체의 전환으로 극복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양회화 수업의 단점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며 효과적인 구도 수업을 위한 방안으로 포토샵 프로그램의 레이어를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 수업을 제시하였다. 포토샵을 활용한 동양회화 구도 수업 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1학년 60명을 대상으로 수업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수업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대다수(75%)가 동양회화 구도 수업에 포토샵 수업이 적절하며, 포토샵을 활용한다면 주제에 상관없이 참여하겠다는 의견이 58.3%로 포토샵에 높은 흥미를 나타내었다. 포토샵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의 장점으로 직접 그리지 않아 부담이 적은 점(33.3%),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점(30%), 준비물이 없는 점(26.6%) 등을 답하여 포토샵 활용이 기존 동양회화수업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온컬러를 활용한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tilizing Neon Color)

  • 이나례;정경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03-311
    • /
    • 2011
  • 21C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TV나 영화,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나 영상물은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시대가 바뀌고 무한한 정보의 공유와 기계의 발전으로 인해 유행과 사상이 빠르게 전달되고 있으며, 좀 더 감각적이고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 주위에는 마치 공기처럼 특별한 존재감 없이 인간의 식별능력을 넘어선 수많은 색(컬러)이 있다. 이러한 컬러는 시각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그 시대의 트렌드(trend)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게 된다. 바로 이 점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네온컬러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컬러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네온컬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어 네온컬러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시각문화 속에서의 컬러의 중요성과 그 심리를 파악하며 네온컬러의 특성과 시각문화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내고 그것을 어떻게 미술교육에 응용하여 실연(實演)할 것인가를 연구 하였다.

텍스트 데이터 시각화의 표현 재료와 접근 방식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Expressive Materials and Approaches to Text Visualization)

  • 김효영;박진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64-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연구의 한 분야인 텍스트 시각화에 대하여 그 시각적 표현의 재료가 되는 텍스트 데이터의 종류 및 본질,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다양한 텍스트 시각화의 사례 연구를 통해 텍스트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표현적 접근 방식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텍스트 시각화 연구는 컴퓨터의 발달과 방대한 데이터의 공개, 그리고 시각화 툴의 범용화 등의 기류를 타고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학, 예술, 인문, 사회 등 학제 간 융합 연구를 통해 다양한 작품 또는 연구 성과물로서 창작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비롯한 데이터 시각화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접근 방식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데이터는 이해와 해석의 대상이며, 가공 및 접근에 따라 무한한 정보와 가능성을 갖는다. 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데이터의 이해와 해석에서 출발하는 텍스트 시각화라는 융합 학문적 연구 분야는 미래 인간 사회에서 데이터가 차지할 위상을 고려할 때, 보다 체계적인 연구와 이론적 축적을 필요로 한다.

축제만족도가 재방문의사와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stival Visitor's Satisfaction on Revisit and Word of Mouth Intention)

  • 민동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56-363
    • /
    • 2008
  • 축제의 양적 팽창에도 불구하고 지역축제에 대한 만족도는 몇몇 축제를 제외하곤 그리 높은 편이 아니다. 이는 지역축제의 본질적 목적에 비해 경제성을 강조한 나머지 지역축제의 개최목적인 지역관광산업의 발전, 지역문화의 보전, 지역주민의 여가기회확대, 지역공동체 의식의 함양, 지역이미지 제고 등을 고려하지 못한 축제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행사내용과 형식들이 차별화되어 있지 못한 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문화체육관광부의 축제평가기준을 토대로 제24회 김포문화예술제에 참여한 관광객과 지역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축제 만족도 결정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지역주민과 관광객간의 재방문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김포문화예술제가 성공적인 지역축제가 될 수 있도록 축제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