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On Policy Change of Gwangju Biennale: in Between the Gwangju Biennale Declaration and the Innovations Suggested on the 20th Anniversary

광주비엔날레의 정책변화: 창설 선언문과 20주년 혁신안 사이

  • Received : 2018.01.22
  • Accepted : 2018.04.02
  • Published : 2018.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transformation of Gwangju Biennale policy change their exhibitions. The research analyzed the Gwangju Biennale Declaration which announced upon the foundation of Biennale, as well as the following development plans to examine how the Biennale's aim has changed. There're any Biennale which has the declaration except Gwangju. We can see the keywords of art criticism at that time in the declaration and the innovations suggested on the 20th anniversary of Gwangju Biennale. This research shows the 20 years development of the declaration of Gwangju Biennale which visualize Gwangju spirit achieved more universal expansion by displaying artworks. The achievement of Gwangju Biennale which universalize the Gwangju spirit and expansion of community art parallelize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temporary art.

본 연구의 목적은 비엔날레 창설 이후의 정책 변화가 이를 구현할 예술 감독 선정과 주제 발표, 이어 감독이 설정할 주제를 드러낼 작가 초청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전시로 나타나는 데 미친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가장 오랜 비엔날레인 광주비엔날레의 창설 당시 선언문과 20년 뒤인 2015년 내놓은 혁신안을 비교 분석했다. 이들 선언문과 혁신안에는 미술의 세계화와 지역성, 비엔날레붐, 글로벌리즘, 정체성과 전통 수호 등 당시 미술평론의 키워드가 빠짐없이 녹아들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비엔날레 창설선언문이 20년간 단계적 발전을 거쳐 '20주년 혁신안'으로 이르는 과정에서 초창기부터 강조됐던 '광주정신'이 과거사의 재현에 그치는 게 아니라 오늘날 세계 각지의 인권 탄압을 말하는 예술로 보편화되며 확장됐다는 점, 지역성의 맥락은 커뮤니티 아트의 형태로 구현돼 갔음을 분석했다. 특수성의 보편화, 커뮤니티 아트의 확대는 오늘날 한국 현대미술 전시 지향의 변화와도 그 맥락이 상통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광주비엔날레 편, 광주비엔날레 1995-2014,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p.345, 2015.
  2. 권근영, 광주비엔날레 연구-글로벌리즘 담론의 측면에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0-91, 2017.
  3. Yil Lee, "On the Occasion of the Opening of Korean Pavilion," La Biennale di Vnezia The Pavil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Culture & Art Foundation, pp.1-2, 1995.
  4. 이태호, "망월동 묘역에 펼치는 전국 민족미술인들의 광주통일미술제," 95 광주통일미술제, 광주통일미술제 추진위원회, pp.3-6, 1995.
  5. 광주통일미술제 추진위원, <<광주통일미술제>> 후원 약정서, 1995.6.28,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연구센터 최열컬렉션, 최열 기증 자료
  6. 김태익, "광주비엔날레 한국 작가 9명 참가," 조선일보, p.18, 1995,04.27.
  7. 광주비엔날레 전시기획위원회, 광주비엔날레 발전계획기본안,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p.21, 1998(8).
  8. 광주비엔날레 비전.전략 TF, 광주비엔날레 재도약을 위한 발전방안,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pp.13-21, 2015(4).
  9. 백지숙, "광주비엔날레 관람기...'다시는 저처럼 불행한 비엔날레 관람객이 나와서는 안되겠습니다'," 문화과학, pp.207-218, 1995.
  10. 광주비엔날레 혁신위원회, 광주비엔날레 혁신위원회 공청회, 광주비엔날레 거시기홀, pp.4-5, 2015.02.24.
  11. 린드, 마리아, "예술 감독의 글-2016 광주비엔날레 제8기후대(예술은 무엇을 하는가?)," 제8기후대: 예술은 무엇을 하는가?-2016 광주비엔날레, 현실문화연구, pp.16-20,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