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nxiety of communication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27초

분노조절문제를 가진 아동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Family Therapy for a Child with Anger Controling Problem)

  • 박태영;유진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19-133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nger of chil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nger of child, the therapeutic techniques of therapist to resolve the marital conflict as well as the anger of child and the changes of family members after getting family therapy. The data was consisted of recording transcripts and note-taking of 8 sessions family therapy. The study used a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and Miles & Huberman's matrix and network display as analysis method. The anger of child included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temperament, fear, anxiety, and negligence of rule. The study revealed parental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and parental experiences from family of origin as factors influencing the anger of child. The study found therapist's self-disclosure, sharing and comparing with similar cases, explanation of dysfunctional communication patterns, explanation about similarity in generational transmission process, and suggestion of new solutions as therapeutic techniques.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e alleviation of marital conflict, the amelioration in the anger of child, and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s of family members after getting family therapy.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이 외래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우울, 불안 및 기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Foot Massage and Supportive Communication by Hospice Volunteers on Depression, Anxiety, and Mood of Cancer Patients Who Undergo Intravenous Chemotherapy at Out-patient Department)

  • 허혜경;송희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4호
    • /
    • pp.232-242
    • /
    • 2010
  • 목적: 종합병원 외래 주사실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대상으로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 제공 후 우울, 불안, 긍정적 및 부정적 기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비동등대조군 전후 시차 유사 실험설계로 연구의 대상은 원주시의 일 3차 종합병원 외래 주사실에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를 편의표집하여 대조군 34명 실험군 30명 총 6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과 질병특성, 최근에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 측정 문항, 그리고 각각 10 cm 시각상사척도를 이용하여 우울, 불안, 활기, 의욕, 희망, 긴장 및 무기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 1 가설인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을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처치 후에 우울과 불안이 더 많이 감소될 것이다'는 처치 후 실험군에서 우울(t=5.26, P<0.001)과 불안(t=5.07, P<0.001)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지지되었다. 제 2 가설인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처치 후에 활기, 의욕 및 희망이 더 증가될 것이다'는 두 군에서 활기, 의욕 및 희망의 처치 전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어 기각되었다. 제 3 가설인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처치 후에 긴장과 무기력이 더 감소될 것이다'는 처치 후 두 군 모두에서 긴장과 무기력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므로, 중재 전후 변화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두 변수의 중재 전과 후의 차이값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검정결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긴장(t=5.64, P<0.001)과 무기력(t=5.38, P<0.001)이 더 큰 감소를 보여 제 3 가설은 지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외래 주사실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동안 호스피스 자원봉사자가 제공한 발마사지와 지지적 의사소통이 암환자의 우울, 불안, 긴장, 무기력을 감소에 유용함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좀 더 정련화된 중재의 개발과 효과검증을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정신분열병 환자 가족의 단기 가족교육 후 대처전략 및 스트레스 변화에 대한 연구 (Chang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y in Families of Schizophrenic Patients after Brief Program of Family Education)

  • 서승우;이호택;백주희;이상연
    • 정신신체의학
    • /
    • 제9권1호
    • /
    • pp.16-27
    • /
    • 2001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이 겪는 각종 스트레스(불안, 우울, 거부감, 걱정 등)와 함께 가족의 대처 전략의 정도를 평가하고 단기가족교육 후 정신분열병에 대한 지식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변화 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해 단기가족교육의 효과를 평가 하고자 하였다. 방법 : DSM-IV 진단기준에 따라서 분류된 정신분열병 환자의 가족 중에서 가족교육을 받은 24 명을 교육군으로 하고 동 질환으로 본과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 중에서 22명을 선정하여 대조군으로 하였다. 교육군에게는 가족교육 전후에, 대조군에게는 환자 입원 시와 4주 이후에 두 번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사용된 설문지는 Family Coping Questionnaire(FCQ), Patient Rejection Scale(PRS), 걱정설문지, 지식설문지,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등이다. 결과 : 1)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 BDI, STAI-S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FCQ의 사회적 관심항목과 지식설문지는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FCQ요인에서는 회피와 관련된 사회적 관심의 전략이 사후평가 점수가 사전평가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모든 설문지에서 사전평가 점수와 사후평가 점수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2) 교육군에서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T의 점수 차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FCQ의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STAI-S의 점수 차 사이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FCQ의 정보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 긍정적 상호작용항목의 점수 차와 PRS의 점수 차 사이에만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3) 교육군에서는 걱정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나이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설문지의 점수 차와 환자의 유병기간 사이에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지만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결론 : 단기가족교육 후에 가족들의 지식이 증가하고 걱정과 불안감이 감소하였으며 환자에게서 벗어나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한편, 교육군에서는 지식의 증가에 따라 불안감이 감소했지만 대조군에서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또한 교육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지식의 변화와는 상관없이 거부감이 적어질수록 긍정적 의사소통의 대처전략을 많이 사용했고 대조군에서 거부감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 PDF

상이한 설계속도 도로에서의 주행속도별 불안뇌파 분석 (Analysis of Anxiety EGG per Driving Speed on Different Design Speed Road)

  • 임준범;이수범;주성갑;신준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2049-2056
    • /
    • 2013
  • 정보통신의 발달로 정보화시대가 도래하면서 속도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교통분야에서도 이동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초고속도로 건설에 대한 설계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설계속도가 120km/h를 초과하는 초고속도로 건설시 운전자가 설계속도의 수준으로 주행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설계속도가 상이하여 도로의 선형과 규격이 향상되면 운전자가 불안을 느끼는 주행속도도 증가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은 피실험자 30명을 모집하여 뇌파분석기를 장착시킨 후 설계속도가 상이한 도로를 실제로 주행하고, simulator를 통해 가상으로 주행하면서 불안감을 느낄 때 발생하는 ${\beta}$파의 파워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한 실험구간은 강변북로(90km/h), 자유로(100km/h), 중앙고속도로(110km/h), 서해안고속도로(120km/h)로 선정하였다. 강변북로와 자유로는 주행속도가 80km/h - 130km/h, 중앙고속도로는 100km/h - 150km/h, 서해안고속도로는 110km/h - 160km/h 일 때의 불안뇌파 파워를 비교하였고, 시뮬레이션 주행은 일괄적으로 110km/h - 180km/h로 주행할 때 발생하는 불안뇌파 파워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paired t-test 검정을 통하여 불안뇌파가 증가하는 시점 속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주행 시 불안뇌파 증가시점의 속도는 실제 도로를 주행할 때 불안뇌파 증가시점보다 약 30km/h높게 나타났으며, 설계속도가 90km/h인 도로와 100km/h도로는 같은 속도에서 불안뇌파가 증가하여 도로의 선형과 규격에 차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설계속도가 110km/h도로와 120km/h인 도로에서는 불안감을 느끼는 주행속도가 모두 증가하여 운전자는 도로의 선형과 규격이 향상됨에 따라 더 높은 속도로 주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2 학습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의 구두 발표 (Oral Presentations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nhance L2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 김경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11-12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향후 진로의 관점에서 L2 구두 발표가 갖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질적 연구 방식을 활용한 연구로 초급반과 중급반에서 L2 구두 발표 수업을 수강한 13명의 대학생이 심층적이고 반 구조화된 면접에 참여했다.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으로 도출된 결과에 따르면, 구두 발표가 크게 세 가지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L2 구두 발표는 말하기, 쓰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영역을 향상시키고, 발표에 대한 자신감을 고취시키며, 향후 취업에도 경쟁력을 불어 넣어 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L2 학습자들에게는 어려운 과제이지만, 구두 발표는 학교 수업과 직업 수행의 환경에서 요구되는 효과적인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되었다.

NICU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Study on the Perceived Stress Level of Mother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김태임
    • 혜화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65-878
    • /
    • 1999
  • With advances in neonatal medicine, smaller and sicker infants are surviving premature birth. As these tiny patients battle for their lives, their parents also struggle with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an unexpected role. The birth of a sick infants has long been documented as stressful events for the parents. High stress levels may alter parents' interaction with their baby and impair their communication with health professionals, which can in turn affect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 planning and decision making. Nursing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the parental stress and anxiety levels during this crisi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ability to form an attatchment to their baby and make prudent decisions about his care. The planning of such interventions would be inhanced if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factors to increased parental stress levels were identified.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degree of parental stress in the NICU during their premature's hospitalization, and to give a baseline data i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Subjects were the 60 mother of hospitalized newborn in NICU of 2 University Hospital in Taejon City from April 1st, 1999 to June 30th, 1999, who agreed to take part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Parental Stressor Scales:NICU(PSS:NICU) developed by Miles et al.. and validated by 3 NICU practitioners and 3 child health nursing faculties. The questionnaire has 4 dimensions and 45 items; sight and sounds of NICU(5 items), babies' appearance and behavior nursing intervention(19 items), parental role alteration and relationship with their baby(10 items), health team communication(11 items). The questionnaire asks parents to rate each item on a five-point Likert type scale that ranges from "not stressful" (1) to "extremely stressfu1"(5). Total scores representing overall stress from the NICU environment are calculated by summing response to each item. A high score indicates high stress. A subscale score is calculated by summing the responses to each item in the subscale.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ere .93. The data was analyzed as average,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y use of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total perceived stress level score of mothers of premature baby was slightly high($3.66{\pm}1.1$). The highest scored dimension was 'relationship with their baby and parental role change'($4.21{\pm}0.9$), and next were 'appearance and behavior of the baby'($3.92{\pm}1.1$), 'communication with health team'($3.32{\pm}1.3$), 'sight and sounds of NICU'($3.30{\pm}1.1$).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noted ; mother's perceived severity of the baby's condition(F=8.0012, P= .0125) and baby's gestational age(r = -.4724, P = .0500). In summary, information about physical environment of NICU, the mother's perceived severity of premature baby's state, maternal role change related variables and the knowledge of characteristics of premature baby must be included i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f mother's of premature baby in reducing the parental stress and anxiety level. It is suggested that each NICU needs to develop a nurse managed supportive care program for parents of premature baby.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re need to investigate the coping mechanism of mother of premature baby.

  • PDF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 적용 효과분석 연구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team activity)

  • 박복남;신미경;전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44-51
    • /
    • 2019
  • 이 연구는 전통적인 강의와 플립드 러닝 팀 협동학습 적용에 따른 수업경험, 의사소통 불안 차이와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간호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전통적인 강의를 4주, 플립드 러닝 기반 협동학습을 4주 수행한 후 변수값의 차이를 paired t- test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수업경험은 정서적영역의 정서적 상태변인과 활동성 변인 모두 강의식 전통학습보다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 이후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t=-3.80, p=.000; t=-3.35, p=.001), 동기적영역의 변인인 수업활동조절(t=-3.07, p=.003), 자신의 능력(t=-2.48, p=.016), 수업참여 정도(t=-3.25, p=.002)에서도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에서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이 의사소통 불안(t=1.85, p=.069)을 개선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 상대로 연구한 협동 학습 적용 결과 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지속적인 학습의 관심을 보였다.

Consumption of Visual Cues in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 CHOI, Hwanho
    • 유통과학연구
    • /
    • 제18권8호
    • /
    • pp.23-33
    • /
    • 2020
  • Purpose: In the digital age, visual cues in computer-mediated environments are becoming a very popular means of communication. Therefore, it is a very critical market for marketers to utilize for marketing communication and platform providers and manufacturers of mobile devices which create and distribute the visual cues While the prevalent research on visual cue consumption focuses on the positive side, the dark side of consuming visual cues has not been investigated.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dark side of using visual cues, such as difficulties and problems in their application, will be investigat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ue to the nature of this study, a netnography approach was adopted. Twitter which the users regularly utilise visual cues in their communications was a prime source for data of this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visual cue users experience anxiety about the subordination of expression and suffer from the myth of an ideal practice of expression. Conclusions: As the previous research emphasised the complementary role of visual cues, has failed to recognis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xtensive and growing dependence on visual cues. This awareness demonstrates that we need to take a careful approach to visual cue usage.

영어교육에서 중간언어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interlanguage in teach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 박경자
    • 영어어문교육
    • /
    • 제6호
    • /
    • pp.113-142
    • /
    • 2000
  • In order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L2 learners, transitional knowledges, it is very important and necessary to have a better knowledge of interlanguage. According to Corder, the role of interlanguage in English education holds significance to (1) for language teachers, (2) for language learners themselves, and (3) for language textbook compilers. To me the significance of interlanguage in English education can be described in terms of not only language teachers, learners themselves, textbook writers and compilers but pure linguists, applied linguists, school authorities as well as parents. For language learners themselves a clear understanding of interlanguage results in students being receptive to language input, and the avoidance of mental block, and low level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Native speakers of English (NSE) reflect not only linguistic features but also psychological, socio-linguistic, and discourse features when engaged in communication activities. This means that L2 learners are introduced to these different features, especially pragmatic featur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ir mother tongue or L1 when engaged in communication with NSE. Hence the importance of interlanguage pragmatics should be recognized. It is very important that teachers of English shou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interlanguage and present L2 learners with their interlanguage features so they can avoid any misunderstandings such features may cause when conversing with NS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terlanguage can form the foundation of language acquisition theory and linguistic analysis.

  • PDF

이동 통신 기지국 주변 전자파강도 인체 노출량 분석 (Exposure Level Analysis of EMF Strength on Human around Base Station)

  • 김현봉;김완기;이영수;전완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525-533
    • /
    • 2013
  • 무선 통신의 발전 및 전파 이용 기기의 증가에 따라 이동 통신 기지국의 설치가 급증하면서 기지국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인체 유해성 여부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007년부터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에서는 전파법으로 규정되어 있는 의무 측정 대상국에 대한 전자파 강도를 측정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 측정된 무선국 전자파 강도 측정 결과를 분석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 공개와 더불어 전자파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또한, 2007년 6월 제도 도입 이후 만 5년에 접어든 현 시점에서의 측정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전자파 강도 측정 제도에 대한 실효성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