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lergic dermatitis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31초

일부 초등학생의 아토피피부염 유무에 따른 식습관, 식품섭취양상 및 영양소섭취상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Dietary Intake Patterns, and Nutrient Intakes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Atopic Dermatitis)

  • 박남숙;전유선;김영남;조경동;백옥희;이복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43-1550
    • /
    • 2009
  •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아동과 정상 아동의 식습관, 식품섭취양상 및 영양소섭취상태 비교를 위해 서울 소재 1개교와 울산의 2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는 2008년 7월 7일부터 7월 18일까지 총 2주간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자 중 아토피피부염군은 16.7%(65명), 정상 아동군은 83.3%(323명)로 나타났다. 아토피피부염 아동군은 남학생 29명, 여학생 36명으로 남아보다는 여아에게서 더 호발 되었으며 대부분 7-13세에 아토피피부염이 유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피부염 아동군 중 병원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는 20.0%였고 아토피피부염 유발에 영향을 주는 식품인 튀김, 패스트푸드, 우유 등의 섭취를 제한하고 있었다. 식습관의 경우, 아토피피부염 아동군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식습관이 불규칙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아토피피부염의 유발과 연관 있는 식품 중 우유, 돼지고기, 게, 메밀, 닭고기, 고등어, 복숭아, 토마토의 섭취량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아토피피부염 아동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토피피부염 아동군이 열량(p<0.001), 총 단백질(p<0.05), 식물성 단백질(p<0.001), 당질(p<0.001), 식이섬유소(p< 0.01), 칼륨(p<0.05), 아연(p<0.001), 비타민 B1(p<0.001), 나이아신(p<0.01), 비타민 C(p<0.05) 및 엽산(p<0.01) 등의 섭취량이 정상 아동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결과 아토피피부염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식습관이 불규칙적이고, 아토피피부염 유발식품의 섭취량은 많았으며,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정상아동에 비해 적었다. 이러한 결과는 식품과 연관성이 높은 소아 아토피피부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아토피피부염 아동에 대해 적절한 식품의 선택과 균형 잡힌 식생활 및 식습관 교정의 필요성이 매우 절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아토피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식품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과 더불어 올바른 영양교육 및 지도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아 초기에 발생한 호산구성 대장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Eosinophilic Colitis Developed in Early Infancy)

  • 곽정원;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22-129
    • /
    • 2005
  • 목 적: 영아 초기에 혈변으로 발현하는 호산구성 대장염의 임상 양상과 치료 및 예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8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혈변을 주소로 내원한 생후 6개월 미만의 영아 중 말초 혈액에 호산구 증가증이 있고 대장 내시경 검사에서 특징적인 소견과 대장 조직 생검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에서 호산구의 침윤이 현저한 염증이 소견이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및 조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남아가 5명(83.3%), 여아가 1명(16.7%)이고, 혈변의 최초 발생시 나이는 $79.2{\pm}56.1$일이었다. 모든 환자에게 성장 장애나 식욕 저하 등의 다른 전신 증상은 없었으며, 알레르기의 가족력도 없었다. 수유 방법은 다양했으며, 어머니의 식이 습관에는 우유 섭취가 2예, 땅콩 섭취가 1예 있었고, 아토피 피부염이 동반된 환아가 1명 있었다.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수가 $11,763{\pm}3,498/mm^3$, 호산구 비율이 $17.0{\pm}4.3%$, 절대 호산구수가 $2,044{\pm}996/mm^3$였다. 대장 내시경 검사 소견은 전예에서 직장과 S상 결장의 점막이 미만성으로 홍반, 울혈 및 과립상 변화를 보였다. 이 중 3명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가 시행되었으나, 특히 소견이 없었다. 대장의 병리조직 검사 소견은 전예에서 심한 호산구 침윤이 동반된 만성 염증 소견을 보였다. 치료로는 2명에서 유단백 가수 분해 분유(HA분유)를 수유하였는데, 1명에서 반응이 있었다. HA 분유에 반응이 없었던 환자를 포함하여 5명에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고, 모든 환자에서 증상과 말초 호산구 수가 정상화된 기간은 $36{\pm}15$일이었다. 치료 후 추적 검사는 평균 $11.6{\pm}8.0$개월 동안 시행했는데 이 기간 중에 증상의 재발은 없었다. 결 론: 영아 초기에 발생하는 호산구성 대장염은 혈변 이외에 다른 성장 장애나 위장관계 증상이 없었고, 음식 알레르기와의 관련성은 없었으며 스테로이드에 좋은 반응을 보였다. 앞으로 호산구성 대장염에 대한 대단위의 연구와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전동차내 부유 미생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to Decrease Airborne Microoganism the Train)

  • 최성호;최순기;손영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95-2901
    • /
    • 2011
  • 서울메트로 지하철 1~4호선 이용객은 하루 평균 450만명이 지하철을 이용(2010년 상반기 수송인원 현황)하고 있으며 이것은 서울시 인구 57%에(2009년도 서울시 인구 총1,046만명) 가까운 사람들이 지하철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전동차에 쾌적한 실내공기질 유지 및 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전동차내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승객의 재채기, 호흡과 같은 생체 활동 및 피부각질 등에 의한 부유 미생물 작용에 있다(권순박 등, 2011).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 오염 물질이 승객의 인체의 호흡기, 점막부위, 피부 등에 접촉 할 경우 과민성 질환, 아토피 피부염, 전염성 질환, 알레르기성 질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환경부-국립환경과학원, 생활속 세균 이렇게 관리하세요) 산업 보건상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적절한 환기 시스템 도입과 제습을 위한 냉방 등이 필요한 실정이다. 시민들의 관심과 보조를 맞추어 지하철 2호선 출 퇴근 및 평상시 전동차 객실내 부유 미생물을 측정한 결과 부유세균과 부유진균은 2011년도 85~385$cfu/m^3$, 67~98$cfu/m^3$로 기준치(별도의 법적 기준은 없으나, 부유세균은 국내 실내기준 800$cfu/m^3$, 부유진균은 세계보건기구의 가이드라인 150$cfu/m^3$)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유동인구가 많은 출 퇴근 시간대에는 미생물 오염 물질이 승객에게 쉽게 전염 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됨에 따라 부유 미생물 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조화설비 성능개선 등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4년 이후 부유 미생물 제어장치에 대한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부유미생물이 승객들에게 미치는 영향, 환기량 증대방안 등의 다양한 인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전동차내 공기질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하였다.

  • PDF

DNCB에 의한 생쥐 복강피부의 지연형 과민반응에 관한 연구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 on Abdominal Skim of Mouse by DNCB Sensitization)

  • 김진택;박인식;안상현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17-128
    • /
    • 1997
  • 특정 외부항원에 노출됨으로써 생기는 피부에서의 지연형 면역과민반응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기위해서 시행된 본 실험은 DNCB에 의해 인위적인 알러지성 접촉피부염을 유발시킨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피부의 일반적인 형태, 비만세포의 변화, IL-2 receptor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DNCB 2차감작 후 실시된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결과 대조군에 비해 DNCB 처리군에서는 ear swelling이 점점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게 측정 되었다. 피부 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변화도 DNCB접종 후 48시간에서 가장 심한 피부손상의 양상을 보였는데, 진피에서 림프구 aggregation의 증가, 혈관직경의 증가, 표피로의 림프구 infiltration 증가가 일어났다. Semithin section을 통해 관찰된 DNCB처리군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표피세포질내 액포화의 증가와 세포사이공간의 확장이었다. 진피에서 비만세포 수가 증가되었으며, 그 형태는 분비과립을 함유하고 있는 degranulated type으로 나타났다. 피부 진피에서 IL-2 receptor 양성반응세포수가 증가되었으며, 표피로 infltration된 IL-2 receptor 양성반응세포가 48시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DNCB 감작에 의해 세포성면역과민반응이 일어나며, 이후 면역관여세포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급격한 염증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 PDF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6년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를 기반으로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Sleep Sufficiency among Korean Adolescent by Gender: Based on 2016 12th Korean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채명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43-35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라 한국 청소년의 개인적, 가족적 및 환경적 특성과 수면충족감 정도를 비교하고, 개인적, 가족적 및 환경적 특성과 주관적 수면충족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2016년 제 12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고, 남학생 33,803명, 여학생 31,725명, 총 65,52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면충족감을 나타낸 비율은 남학생 33.4%, 여학생은 19.5%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개인적 특성은 우울경험, 자살생각, 학업성적,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 주관적 건강인지, 음주 및 흡연, 약물 경험, 알레르기비염 및 아토피피부염 진단여부, 가족적 특성은 경제 상태, 부모님 학력, 주거형태, 환경적 특성은 학교급, 학교유형, 고민상담자 유무가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 아침식사 빈도와 천식 진단 여부는 남학생에서만, 신체활동 여부는 여학생의 수면충족감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의 정신건강이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 청소년의 주관적 수면충족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 적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알레지온 정(염산에피나스틴 10mg)에 대한 에스나핀 정 10밀리그람의 생물학적동등성 (Bioequivalence of S-napine Tablet 10 mg to Alesion Tablet(Epinastine HCl 10 mg))

  • 강현아;조혜영;윤화;김세미;김동호;박선애;김환호;이용복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6권6호
    • /
    • pp.405-411
    • /
    • 2006
  • Epinastine is an antiallergic drug effective for bronchial asthma, allergic rhinitis, urticaria and dermatitis. Epinastine is topically active, direct H1-receptor antagonist and an inhibitor of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the mast cell.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epinastine hydrochloride tablets, Alesion Tablet (Boehringer Ingelheim Korea Ltd.) and S-napine tablet 10 mg(Sam Chun Dang Pharm.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 The release of epinastine from the two epinastine formulation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I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ssolution media(pH 1.2, 4.0, 6.8 buffer solution and water). Twenty six healthy male subjects, $23.35{\pm}1.57$ years in age and $66.29{\pm}10.61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two tablets containing 20 mg as epinastine hydrochloride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was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epinastine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HPLC with UV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were similar at all dissolution media. In addition,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C_{max}\;and\;T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test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drug, Alesion tablet, were 1.50, 1.46 and -13.48% for $AUC_t,\;C_{max}\;and\;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 0.8 to log 1.25(e.g., log 0.95$\sim$log 1.12 and log 0.93$\sim$log 1.10 for $AUC_t\;and\;C_{max}$, respectively). Thus, the criteria of the KFDA bioequivalence guideline were satisfied, indicating S-napine tablet 10 mg was bioequivalent to Alesion tablet.

학동기 소아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실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elementary children)

  • 안영준;김은영;문경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0호
    • /
    • pp.1103-1108
    • /
    • 2009
  • 목 적:만성질환자가 아닌 일반 학동기 아동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파악하며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대처 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3개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 1,68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중 설문지가 회수된 794명(47%)을 분석하였다. 결 과:일반적인 학동기 아동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은 278명(35%)이었고, 보완대체요법의 종류는 한약제 62.6%, 보조식품 31.3%, 비타민 30.2%, 선식 11.2%, 침술 11.2%, 체 냄, 수지침 순이었다. 보완대체요법의 이용률은 어머니의 학력이 대학 이상 일 때, 종교가 있을 때, 가정 월 총수입이 100만 원 이상일 때 의미 있게 높았으며 이용하게 된 동기는 질병예방목적이 가장 많았고, 주로 주변 사람이나 매체를 통해 이용하였다.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는 16%였고, 재사용 의향이 없는 경우는 20.5%였고, 환아가 건강할 때 주로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아가 영양결핍, 아토피 피부염, 관절통증, 알레르기비염, 비만, 천식 때 주로 이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보완대체 의학의 사용이 아이의 건강상태와는 밀접하지 않으며 사용 경로 또한 주변 사람의 권유나 방송 매체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병원치료와 병행 시 좋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부작용, 효과, 안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만성질환 및 알레르기 질환의 경우 소아청소년과 의사로서 현대의학의 적극적인 치료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Mouse 피부조직의 계면활성제에 의한 형태학적변화, 면역반응에서의 Protein 및 Lectin변화양상 (Morphological, Protein and pectin alteration following Treatment with Surfactant in Epidermis of Mouse)

  • 최정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8-151
    • /
    • 1997
  •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된 흰쥐의 allergy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피의 구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또한 각 항원항체반응에서 단백질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SDS-PAGE법에 의한 단백질 band의 분석 그리고 피부내에 존재하는 복합당질의 당잔기를 알기 위해 Lectin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면활성제의 1일 처리군에서 혈관의 확장이 나타났고 3일 처리군에서 핵이 phknotic되어 세포질의 eosinophlic을 일으켰으며 6일 처리군에서 과각질화, 염증세포의 증가, 표피내로 림프구의 침윤 증가가 관찰되었고 9일 처리군에서 과각질층이 serum crust가 되어 탈락되고 다시 부분적으로 두터워진 Acathosis를 합성한다. 반면에 진피층은 세포내 액포화와 세포사이 공간이 확장되었다. 12일 처리군에서는 표피직하부의 진피층에 혈관이 확장되어 나타나고 표피층은 7층으로 두터워져 생성되며 진피전층에 염증세포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관찰하였다. 2. 계면활성제의 처리군에서 degranulated type histamine, serotonin, hiparin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분비과립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영동상에서 나타난 단백질 band의 급격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3. 피부내 복합당질의 변화는 LCA, PNA, SBA, WGA에서 모두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Con-A에서는 음성 반응을 보였다. PNA와 SBA에서는 계면활성제 처리군에 비하여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reatment Outcomes of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in Children

  • Choi, Jong Sub;Choi, Shin Jie;Lee, Kyung Jae;Kim, Ahlee;Yoo, Jung Kyung;Yang, Hye Ran;Moon, Jin Soo;Chang, Ju Young;Ko, Jae Sung;Kang, Gyeong Hoo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8권4호
    • /
    • pp.253-260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of eosinophilic gastroenteritis (EGE) in children. Methods: Our study enrolled 24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EGE from 1993 to 2014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patients' clinical manifestations, treatments, and outcomes were reviewed from the medical records. Results: The mean age at diagnosis was 5.3 years. Most patients ha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cluding diarrhea (54.2%) and abdominal pain (45.8%). Peripheral eosinophilia was present in 91.7% of the patients. Thirteen patients (54.2%) showed anemia, and 15 patients (62.5%) had hypoalbuminemia. EGE was classified as mucosal, subserosal, or muscular in 75.0%, 20.8%, and 4.2% of cases, respectively. Three patients showed gastroduodenal ulcers upon endoscopic analysis. A history of allergy was reported in 13 patients, including atopic dermatitis,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Five patients (20.8%) improved with food restrictions. Among the 19 patients treated with steroids, 11 (57.9%) discontinued steroid treatment without subsequent relapse, 4 (21.1%) relapsed after ceasing steroid treatment, and 4 (21.1%) showed no response to steroids. Two patients who were resistant to steroids underwent therapeutic surgery. The presence of gastroduodenal ulce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lapse and steroid resistance. Conclusion: A high suspicion of EGE is warranted when children have nonspecific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peripheral eosinophilia. Most patients improved with food restrictions or steroid treatment, although one-third of patients showed a relapse or steroid resistance.

개에 있어서 전신성 홍반성 낭창 일례 (A Case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Dog)

  • 김주향;김기홍;고인경;이금종;나기정;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43-449
    • /
    • 2000
  • A three-year-old male jindo with generalized skin lesions (including seborrhea, hyperk- eratosis, alopecia, papules, and ecchymoses), pruritus lymph node enlargement, and fever was brought to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 versity. There were no laboratory findings for parasites and fungi in the hair and skin But, the com- plete blood counts (CBC) showed leukocytosis and severe cosinophilia, It was suspected to be an inflammatory and allergic dermatitis. Thus, prednisoIone (0.5 mg/kg PO, BID for 1 week) and ampi- cillin (10 mg/kg PO, BID for 1 week given. One week later, pruritus and ecchymoses were reduced. These treatments were repeated for 7 day again. Three months later, the dog was presented again due to the relapse and exacerbation of the clinical signs. The signs were as follows; severe pru- ritus, vesicobullous skin lesions, anorexia, emaciation, lameness, and welling of carpal joints that showed inflammatory skin lesion and draining of synovia-like fluid. The values of WBC counts were returned to normal ranges. In contrast, eosinophilia was still observed. Coombs test for patient RBC and serum were negative. Hypoalbuminemia (2.5g/dl) was shown by serum chemistry. The uri- nalysis revealed and presence of leukocytes. Luxation finding of right radial carpal joint by polyarthritis was shown in radiography of affected joints.Lupus eryhematosus(LE) cells also appeared in peripheral blood and synovial fluid of affected joints. Definitely, antinuclear antibody (ANA) of patient serum using feline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as detected by all immu- nofluorescence. Based on these findings such as sedum ANA-Positive. major signs (skin disease, non- erosive polyarthritis with soft tissue swelling. and proteinuria), minor signs (fever), and LE cell-pos- itive, a diagnosis of systemic lupus crythematosus (SLE) was mad\ulcorner in this dog. The dog with SLE was administered with Pre(2.0 mg/kg PO, BID for first 4 week and then QOD) to inhibit the production of autoantibodies and with ampicillin (10 mg/kg PO, BID for first 4 weeks and then QOD) to prevent the secondary infection. The condition of this dog was monitored every 2 weeks by physical examinations, radiography, CBC, serum chemistry and urinalyais. At 8th week of treat- ment, the state of SLE evaluated by physical examinations and laboratory findings was markedly improved except for proteinur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