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ienation Effect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패션에서의 '낯설게 하기(Verfremdung)'에 의한 창작 (Creation through the Distancing Effect (Verfremdung) in the Fashion Field)

  • 서승희;김영인
    • 복식
    • /
    • 제61권4호
    • /
    • pp.14-23
    • /
    • 2011
  • The present study aims to apply the theory of Brecht's 'Verfremdung' or distancing effect to the process of fashion design. The distancing effect refers to an avant-garde artistic technique that enables artists to create their works by viewing particular objects separately from the phenomena that occur around those objects. Brecht encouraged a sense of purpose that involved shifting to the new society sought by modernism. He also suggested an artistic approach that isolates perception from judgment 'Verfremdung' which reflects his approach well. In this paper, with the distancing effect considered as a method for creation, the author identifies the system of thought associated with the distancing method and applies this system to fashion design. To this end, the author first reviewed the concepts of 'Entfremdung' (alienation) and the distancing effect and studied the backgrounds of the two concepts. Next, the author identified Brecht's epic theory and its application. As a result, a method of perceiving objects as used with the distancing effect was noted, and this method was utilized to distingu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its clothes. Specifically of interest were parts of the human body and the related functions of clothes as well as the motor functions of the body and detailed decorations on clothes. Moreover, the author discovered a trend in the wearing of clothes that exists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changeability by examining Brecht's work as it relates to the types of clothes that are worn. Finally, the author applied the distancing effect to fashion design in consideration of the discovered trend.

과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나는 과학영재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Verbal Interaction Patterns of Science-Gifted Student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 김명희;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33-342
    • /
    • 2015
  • 과학 탐구 활동은 학습자들 간의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학습 방법이다. 학습자 중심의 상호작용을 전제로 한 과학 탐구 활동을 구조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5인 1조 31개 조로 구성된 과학영재들을 대상으로 소집단 과학 탐구실험 활동에서 나타난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의 양상을 수치적 특성을 바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영재들의 상호작용 유형은 모두 여덟 가지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많은 상호작용 유형은 전체 31개 조 중 모두 9개 조에서 나타나 29%를 차지한 유형 1로 세 명의 구성원이 상호작용 하는 경우였다. 이들 유형은 다시 한 구성원을 중심으로 나머지 구성원들이 모두 연결 관계를 형성하는 참여형과 중심적 역할을 하는 구성원이 없이 소외된 구성원이 존재하는 소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참여형은 유형 4, 유형 6, 유형 7, 유형 8로 모두 9개(29%) 조에서, 소외형은 유형 1, 유형 2, 유형 3, 유형 5로 모두 22개(71%) 조에서 나타났다. 즉, 한 구성원을 중심으로 모든 구성원이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형태보다는 중심적 역할을 하는 인물 없이 일부 소외된 구성원이 존재하는 가운데 나머지 구성원들이 상호작용하는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 탐구활동에 적절한 집단의 크기는 무임승차효과나 소외된 학생이 없을 것으로 생각되는 3명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중심 구성원의 유무에 따라서는 있는 경우가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이 민간경호원의 직무태도에 대한 영향 및 자아 존중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Mobbing by Forming on Alienation in Job Attitude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and Control of Self-esteem : focused on Seoul-Kyunggi area)

  • Kim, Yonghak;Park, Seungbyeol;Kim, Taebock;Kim, Hyunmi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365-375
    • /
    • 2015
  • 이 연구는 민간경호원을 대상으로 직장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은 부정적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개인의 자아존중감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직장 내 따돌림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며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응집력을 강화하고 민간경호원의 정신 및 신체적 건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데 그 결과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업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돌림, 업무 따돌림과 이직의도, 인간관계 따돌림과 이직의도, 자기존중감과 직무만족은 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 외의 변수들 간에는 서로 부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 내 소외감형성의 따돌림에 따른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직무만족에 각각 영향을 주며, 연령과 자기존중감이 향상되면 직무만족은 향상되지만 직무 따돌림과 인간관계 따돌림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직장 내 집단 따돌림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근속 년수, 업무 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 자기존중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며, 근속 년수와 직무따돌림, 인간관계 따돌림이 증가하게 되면 이직의도도 증가되지만, 연령과 자기존중감은 감소되는 것이 나타났다.

힙합문화의 음악적 특성 변화가 대중 패션에 미친 영향 (Effects of the Musical Characteristic Change of 'Hip-hop' Culture on Popular Fashion)

  • 박한힘
    • 복식문화연구
    • /
    • 제19권2호
    • /
    • pp.416-429
    • /
    • 2011
  • Most of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hip hop culture and fashion, which have been conducted till now were progressed under only theoretical background of hiphop, not the changed status of hiphop currently. Practical studies explaining the status of hip hop in popular culture, especially, the area of popular fashio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focusing o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by the stream of period, for which concept hip hop is accepted to people currently and which effect it makes on the area of fashion. Especially, the study was progressed by dividing periodical background into before and after the 2000s because there was the most noticeable change for the genre of hip hop in that period.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Alternative hip hop' which is a sub-genre of hip hop music, hip hop music was changed to be more popular. Also, hip hop fashion also showed big changes. Hip hop fashion before 2000s had showed poor conditions, resistance, complex and alienation of them by their fashion. On the other hand, hip hop fashion after 2000s also showed popular characteristics because of high-level environment and social status.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and grasp hip hop as a kind of cultural situation coexisted by many-sided characteristics as well as redefine the changed concept and contents of new hip hop currently.

고령 농업인의 공동농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 삶의 의미와 심리적 복지감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Co-farming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Farmers - Focusing o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 김영애;정미경;김기성
    • 농촌계획
    • /
    • 제22권4호
    • /
    • pp.115-129
    • /
    • 2016
  •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farming program for elderly farmers, employ, then evaluate its effectiveness whether it influences purpose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gram participants. A total of 130 elderly farmers that composed of 65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urpose in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3.316, p<.001).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four major problems of elderly farmers which are poverty, health, loneliness and alienation keeps on worsening over time along with the population ageing. According to the result, it is necessary to improve elderly farmer's quality of life by developing suitable and sustainable occupation.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Fourth Wall on the Player's Gaming Experience in Side-Scrolling Games

  • Qi Yi;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5권2호
    • /
    • pp.118-123
    • /
    • 2023
  •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merging technologies represented by VR technology, many game developers are declaring that they are constantly trying to break the "fourth wall" and break the boundaries between virtual and reality to create game immersion for players. new game. But for many gamers, a strong sense of immersion is not the focus of their pursuit. The sense of control and safe exploration during the game is also the game experience that many gamers are pursuing. Moreover, there is ambiguity in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breaking the fourth wall in the field of academic theory. The purpose of breaking the fourth wall was to separate the real world from the virtual world, to remind the audience that the actors and the audience are in two different worlds, and to trigger the audience's thinking about drama and deeper philosophy. But in the current game, it has become a blurring of the boundary between virtual and reality, pulling players into the virtual world, and focusing on the immersive experience. In this paper, we will first sort out the concept of "breaking the fourth wall", and then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horizontal scroll games and VR games, and conclude that the "fourth wall" has an impact on players Great conclusion.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Shadow Puppet Elements to Side-Scrolling Games

  • Qi Yi;Jeanhun Ch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2호
    • /
    • pp.102-107
    • /
    • 2023
  • Chinese shadow puppetry is an ancient form of drama with a long history. Known as the "mother of Chinese folk opera", it has rich cultural connotations and artistic value. At the same time, as a classic video game genre, side-scrolling games have many loyal fans around the world. However, in recent years, some previous entertainment cultures such as shadow puppetry are slowly disappearing. In contrast, video games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people's entertainment. Combining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ith video games can be a great way to promote the preservation of these cultures. By making traditional culture more accessible and engaging, developers can help to ensure that these cultures continue to be enjoyed by future generations.The side-scrolling game is a classic game type, and it has many similarities with shadow puppetry. This paper will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shadow puppetry and horizontal version games, and try to explore how to organically integrate the two, so as to promote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promote cultural inno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ndustries.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불안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and State-Trait Anxiety by Chines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College Life Adjustment)

  • 주원;박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80-590
    • /
    • 2017
  •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253명으로 모집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의 연령, 학력,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와의 의사소통, 신뢰감, 그리고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이 불안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지각한 부모애착 중의 하위변인 신뢰감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응과 개인-정서적응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한 중국 유학생의 불안정서를 감소하기 위하여 안정적 부모애착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콜 센터 여성 상담사의 감정부조화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진정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Authentic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harmony and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Women Customer Counselor)

  • 황민정;김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45-253
    • /
    • 2019
  • 본 연구는 콜 센터 여성 상담사의 감정부조화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매개 효과를 검증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공공기관의 콜 센터 여성상담사 197명을 대상으로 권혁기와 박봉규(2011)의 감정부조화 척도, Wood 등(2008)의 진정성 척도, Diener 등(1985)의 삶의 만족도 척도로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감정부조화는 진정성과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 감정부조화를 경험할수록 진정성이 낮아 자신을 소외키시며 외부영향 수용에 대한 인식이 낮았고 진실한 삶과도 거리가 멀며, 자신의 삶에 대한 평가인 삶의 만족도도 낮았다. 감정부조화와 진정성,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진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및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감정부조화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진정성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콜 센터 여성상담사가 감정부조화를 경험할 때 이들을 위한 개입전략으로는 진정성(자기소외와 외부영향 수용을 낮추고, 진실한 삶을 높일 때)을 우선적으로 높임으로써 삶의 만족도 증진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21-331
    • /
    • 2014
  • 본 연구는 아동들이 인지하고 있는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 신뢰, 소외,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포괄적이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강점을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내에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또래애착관계가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게 형성될수록,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 정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또래집단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기본적 규범 준수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마음을 키우고, 다문화에 대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