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res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사극에 반영된 청나라 강건성세(康乾盛世) 시기 황족 여성 복식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 -<견환전>(甄嬛传)을 중심으로- (Clothing Characteristics of Royal Women in Historical Dramas during the 'Kang-Qian' Heyday in 'Qing Dynasty' -Focus on -)

  • 이애진;최수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07-419
    • /
    • 2017
  • Based on clothing prohibition modelling characteristics, this paper studies historical costumes through the traditional Chinese historical dramas of the 'Kang-Qian' heyday during the 'Qing Dynasty'; represents the research object as a representative Chinese historical drama. This paper systematically analyzed the utilization and reflection of royal women clothing prohib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oyal women clothing prohibition of this drama shows three aspects of characteristics found in traditional Chinese costume modeling. First, some special colors that integrated ancient and modern styles were mainly used in this drama such as champagne color, wine color, and macaron color. Second, it mainly utilized the modelling of modern artificial pigments and floral patterns that are different from Chinese traditional female costumes of the 'Qing Dynasty'. Third, stage costumes for this drama are focused more on using a personality method to reflect the beauty of each actress by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elements. This study analyzed and studied the clothing prohibition of female costume from to show the traditional Chinese costume prohibition in a Chinese historical drama as well as reveal a few aspects of traditional female costume characteristics in the 'Kang-Qian' heyday during the 'Qing Dynasty'. This study examined traditional female costumes characteristics in modern historical dramas based on different figures and dynasties as well as discussed the factors at a deeper level and from varied aspects.

A Study of the Costumes and Make-up in the Movie "Anna Karenina"

  • Jung, Jeewon;Kim, Eunsil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3호
    • /
    • pp.14-3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how main characters' mental states are expressed through costumes and makeup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stumes and the makeup in the movie "Anna Karenina" and to compare the 19th century Russian costumes. The study methods are a literature review and an empirical cas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stumes in "Anna Karenina" are a mixture of late crinoline and early bustle style in general. However, the costumes were altered after the actress's movements and acting were considered. Regarding colors, Anna wears a lavender robe as the virtuous wife, a wine-colored robe for love and death, and a white robe for innocence, thus reflecting her mental states; through the colors, her changes of mental state are expressed. Second, the costumes of Alexei Vronsky, are similar in style and colors to those of mid-late 19th century Russian military uniforms. White, blue and black costume colors are used to describe his situations and emotional changes. Third, Alexei Karenin wears 19th century costumes of dark and achromatic colors without decorations, representing his conservative, authoritative character. However, he showshis rage with a wine and red-colored costume at the end of the movie. Fourth, regarding the makeup in the movie, Anna wears makeup of a soft pink-gold color influenced by 19th century naturalism. Male characters express their characteristics with their beards and hair styles. Vronsky's Hollywood mustaches and wavy blonde hair show his charm, and Karenin's chin curtain beard and bald head reveal his conservative character. The costumes of the three main characters in the movie are not very different from 19th century style in general, but mental states and situations are expressed through accessories, and colors maximize all of the effects. Through this research, it is illustrated that the costumes and makeup in a movie can not only express characters' emotional changes but also s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n different scenes.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에 기반한 메릴 스트립의 연기 분석 (Analysis on Acting of Meryl Streep Based on American Acting Method)

  • 조성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5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헐리우드 영화배우 중 메소드 배우로 인정받고 있는 메릴 스트립(Meryl Streep)의 연기를 분석하여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 중 메릴 스트립은 어떠한 방법을 통해 연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개념과 이론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메릴 스트립의 연기를 "소피의 선택",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철의 여인"등 영화 3편을 통해 분석하였다. 영화와 인터뷰 등을 통한 분석에서 메릴 스트립은 "정서적 기억", "상상력", "주어진 상황", "반복" 등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를 특별한 구분 없이 모두 활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정 연기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에게 적합한 훈련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메릴 스트립이 영화에서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논문의 결과는 국내에서도 배우의 연기훈련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악뮤지컬에 나타난 소리(창(唱))의 수용 및 변화양상 연구 - "'국악뮤지컬집단 타루'를 중심으로" - (Studies about Acceptance of Songs or Sounds 'Sori(唱)' appeared in Musical Comedy perform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hangeable Aspects Thereof - Centering around Korean Musical Group, Taroo -)

  • 정혜원
    • 한국연극학
    • /
    • 제49호
    • /
    • pp.5-47
    • /
    • 2013
  • Among the styles of performing arts, perhaps the genre that has attracted the largest audience would be musical. Popularity of musical has brought diverse changes in our performing arts market, and, upon emerging another musical genre,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t has been well-received by the audienc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s a word that are formed by merging two other terms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usical (Comedy).' In the meantime, however, it has yet some problems in order to be defined as the genre that has concrete concepts. It is because the term such a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was created being closely associated with a marketing purpose rather than a term that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genre of performing arts. Although this new musical genre has drawn attentions of many audiences by adding 'Musical Comedy' to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was not quite popular to the public, it still does not have any established forms so that there is a fine line between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and another genre like traditional style folk opera ("Changgeuk").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work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n general, first of all, it is a performance where music and drama are played. Her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is musical i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is sung. And the ki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s being sung are mainly Pansori (dramatic story-singing) and folk-songs, and, in most ca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are being used as accompanying music.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aspects of experiment centering around Korean Musical Group, Taroo. These days, various experiments has been repeated not only for the works of Taroo but other musical work presently called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also. Having encompassed overall performance factors including use of musical instruments, dance, acting, materials for drama as well as music in drama, the researcher has gone through experiments repeatedly. Meanwhile, however, the subject matters that make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mostly attractive to the audiences are music and songs or sounds. ["Sori" also called "Chang" (唱)] Particularly,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our musicals, the role of "Sori" is extremely important. The factor that plays absolutely most important role in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Sori" is the created Pansori. Since the created Pansori is composed with new rhythmic patterns and new narrative poems, it tells the present story. Also it draws good responses from the audiences owing to easy conveyance of dialogues. And, its new style brings diversification to organization of musical instruments, so then this leads to the arrangements of music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as well as instrumental music ensemble, orchestra, and jazz band, etc. Likewise, upon appearing creative musics in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professional music and vocal compositions have begun to emerge naturally. And, the song specialist and writer, of course, staffs including direction, lighting, and sounds, etc are required. That is, professional composition method are forced to be introduced to all areas. Other than this, there are many music pieces which are based on our unique songs and sounds ("Sori") and such traditional factors as use of lead singer for ceremony or chorus, and the method that puts weight on Pansori. Accordingly many things accomplished. However, it is required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go through numerous discussions and more experiments.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things are the role of actor and actress, and their changes, and training of actor and actress further. Good news is there are good audience responses.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is an open genre. As musicals are divided into several domai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there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Comedy' will be able to show its distinctive features in various styles according to embodiment.

온톨로지 기반 영화 메타데이터간 연관성을 활용한 영화 추천 기법 (The Ontology Based, the Movie Contents Recommendation Scheme, Using Relations of Movie Metadata)

  • 김재영;이석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25-44
    • /
    • 2013
  • 최근 IPTV와 스마트 TV 등의 등장과 영상 콘텐츠를 시청하고 검색할 수 있는 웹 서비스의 등장으로 영상 콘텐츠의 접근이 용이해져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찾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되는 콘텐츠의 양이 방대하여 영상 콘텐츠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 기반의 검색은 많은 양의 결과를 가져오며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은 결과가 검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의 검색 시간과 노력이 증가 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 하기 위해 콘텐츠 추천 및 검색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에는 사용자의 선호도 분석을 통하여 영상 콘텐츠를 추천하거나 비슷한 성향을 가지는 사용자들을 분류하여 콘텐츠를 추천하는 기법들이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콘텐츠 중 영화의 추천을 위해 사용자 개인의 영화 메타데이터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영화의 메타데이터와 영화의 유사성을 도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영화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영화의 특징을 담고 있고, 사용자의 영화 선호도에 영향을 끼치는 장르, 줄거리, 배우, 키워드 등의 영화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확률 기법을 통한 메타 데이터간의 유사성을 분석하여 유사 메타데이터를 연결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호도와 그룹을 정의하고,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 모델을 정의한다. 제안하는 추천 기법은 1) 사용자 정보기반의 후보 영화 검색 컴포넌트, 2) 사용자 선호기반의 후보 영화 검색 컴포넌트, 3) 1)과 2)의 결과를 통합하고 가중치를 부여하는 컴포넌트, 4) 최종결과의 분석을 통한 개인화된 영화 추천 컴포넌트 등 총 4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추천 기법의 실험을 위하여 20대 남/녀 10명씩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결과 평균 Top-5에서 2.1개 Top-10에서 3.35개 Top-20에서 6.35의 영화가 보고 싶은 영화로 선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영화 메타데이터간의 연관성 도출을 통하여 영화간의 유사성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활용한 추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예상하지 못한 영화의 추천이 가능하다.

장기 기획(長期 企劃) TV드라마 콘텐츠의 문화.경제적 효과 -일본 후지TV의 21년 장기기획 TV드라마 '북쪽 고향에서(北の国から)' 사례 분석- (Cultural and Economic Effects of Long-term TV Drama Contents -A Case Study on "From the Northern Country," a 21 year lasting TV Drama of Fuji Television Network Inc., Japan-)

  • 윤희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76-189
    • /
    • 2010
  • 본 연구는 '20년 이상의 장기 기획 TV드라마 콘텐츠가 창출하는 문화, 경제적으로 효과'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연구결과 장기기획 TV드라마는 방송국의 시청률 제고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지TV의 21년 장기 기획 드라마 '북쪽의 고향에서'를 사례로 선정해 분석한 결과, 21년 동안 방송된 이 드라마의 시청률은 방송초기에 비해 종료기에 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기자와 각본가 등 미디어 콘텐츠 생산인력을 육성, 그 나라의 콘텐츠생산능력 등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데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후지TV는 이 드라마를 시작하면서 2명의 남녀 연기자를 발굴, 지속적으로 키워감으로써 일본 연예계에 연기력으로 승부하는 새로운 배우를 배출하는 문화적 성과를 거두었다. 뿐만 아니라 장기 기획 드라마는 드라마가 촬영, 제작된 지역의 관광산업진흥 등 지역경제발전에도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 '북쪽의 고향에서'는 드라마 제작의 주무대였 던 홋카이도의 후라노라는 지역을 21년 동안 일본 국민들에게 알림으로써 후라노의 브랜드파워를 높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글래머 스타일의 물신주의적 특성과 미적 가치 (Fetishist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Values of Glamour Style)

  • 박주희;김민자
    • 복식
    • /
    • 제57권4호
    • /
    • pp.173-18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tishist characteristics and the aesthetic values of glamour style based on the premise that fetishism is the theoretical root of glamour style expressed in fashion throughout history. The following results are from analysing fetishist characteristics of glamour style. First, luxury was analysed from an angle of commodity fetishism. Every culture develops images and stories that portray a world in which its ideals are realized: a paradise, a utopia, a golden age, etc. Consumer goods often serve as 'bridges to these ideals'. People thus can fantasize about owning the perfect life. Crucially, however, they must never get everything they picture. That is why luxuries often take on displaced meaning. Glamour gives the displaced meaning visual form, making it beautiful and real. Second, the attention on the glamour of luxury goods as a bridge to ideals is connected to the glamour icon who is simultaneously a consumer of these luxury goods and a producer of cultural goods. Glamour icons including the courtesan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actress of the 1930s' Hollywood golden age and today's celebrities appear to efface the traces of production and create fetishist images in culture. Through this artificial principle, the commodity-cum-glamour icon comes to life as a splendid image of spectacle. Third, masquerade and seduction were analysed from an angle of sexual fetishism. A magnificent image of masquerade as sexual fetishism is often equated with femininity, especially in Hollywood movies, because the artificial seduction of the feminine -namely glamour- can be effected by the absence or silence of being. That is to say, the aesthetic revelation of femininity coincides with the fleshing out of artificial signs. Masquerade and the seduction of the feminine are connected with glamour's artificial sensuality from this point. Fourth, since 1980's when homosexuality as sexual deviation resurfaced as a hot topic, sexual ambiguity and bisexual image have gained attention as perverse sexuality. Next came queer theory, which reduced gender itself to a matter of surface rather than depth. According to queer theory, gender itself can be revealed as a kind of drag act. Drag's imitative performance may reveal that womanliness is just about 'dragging up'. Queerness as a decadent play makes a connection with the wicked origins of glamour. From these characteristics, four aesthetic values were deduced: ostentatious luxury and mysterious idolatry by commodity fetishism, artificial sensuality and playful queerness by sexual fetishism.

영상매체의 PPL이 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PPL of Visual Media Affects Clothing Purchase of College Students)

  • 송재욱;나영주
    • 감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331-339
    • /
    • 2006
  • 영상매체에 등장하는 PPL광고가 실제 소비자인 시청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PPL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그 차이가 유행관여도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또 이것은 실제소비로 어떻게 이어지는지 조사하였다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PPL인식도, TV나 영화에서 배우가 입은 의복 구매여부, 구매만족도, 유행관여도, PPL이 소비자의 의복 구매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행관여도를 기준으로 고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이에 따라 분석한 결과, 유행에 민감하고 유행 관여가 높은 학생일수록 PPL광고에 등장하는 의복에 주목하고 있었으며 PPL광고에 사용된 브랜드 중에서 기억하는 브랜드 수가 많았다. 유행관여도 저집단은 의복구매시에 또래의 스타일, 주변의 충고 등을 많이 참고하는 반면에, 유행관여도 고집단은 패션잡지와 PPL의복을 많이 참고하고 있었다. 또 PPL 의복을 관심 있게 보는 학생이 실제로 스타 옷을 많이 구입하고 있었다 PPL로 인한 의복구매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을수록 해당 브랜드, 기업, 제품의 선호도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었다고 답하였다. 유행관여도가 클수록 기업의 선호도가 긍정적으로 변경되었다고 답하였다.

  • PDF

현대 뮤지컬 보컬 테크닉의 융합적 특징 - 'The Girl in 14G' 분석을 중심으로 -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usical Vocal Technique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Girl in 14G' -)

  • 이은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57-166
    • /
    • 2021
  • 본 연구는 뮤지컬 보컬 수업에 있어 다양한 발성법을 익히고 학생들에게 적용시키기 위해 동시대에 나타나는 발성법과 노래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뮤지컬 보컬 발성법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며 진화하고 있다. 오늘날 현대 뮤지컬의 특징은 어느 한 장르로 국한 할 수 없으며 작품 양식과 더불어 음악의 장르도 여러 장르로 파생되어 공존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The Girl in 14G'는 다양한 보컬 창법을 구사하는 미국의 유명 뮤지컬 배우인 크리스틴 체노웨스(Kristin Chenoweth)의 앨범에 실린 노래이다. 이 노래의 작곡자인 제닌 테소리(Jeanine Tesori)는 이 노래에서 뉴욕을 대표하는 음악 장르인 '브로드웨이 뮤지컬,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이스트 빌리지 재즈'를 표현하기 위해, '성악 창법(Classical Voice), 재즈(Jazz), 벨팅(Belting) 창법, 믹스드 보이스(Mixed Voice)'의 다양한 보컬 테크닉으로 작곡하였다. 노래의 전개는 1명의 배우가 3가지 음악 스타일과 창법으로 3명의 다른 인물을 넘나들며 연기해야 하는 어려운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Girl in 14G'를 부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보컬 테크닉의 습득이 필요한 만큼 많은 노력과 연습이 필요하며,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과 배우에게 좋은 텍스트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구를 통해 이 노래는 탄탄한 음악적, 극적 구성을 갖는 대표적인 노래로써 현대 뮤지컬 보컬 테크닉의 융합적 특징을 잘 보여주는 예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일 연극이론의 비교 연구 - 「광대가(廣大歌)」와 「풍자화전(風姿花傳)」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ories of Korean Theatre and Japan Theatre : focused on 'Kwandaega(廣大歌)' and 'Poogjahwajun(風姿花傳)')

  • 김익두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5-36
    • /
    • 2011
  • 한국의 희곡/연극 이론의 주요 텍스트인 「광대가」와 일본 희곡/연극 이론의 주요 텍스트인 「풍자화전」을 비교해 보면, 「광대가」는 다음과 같은 희곡/연극 이론으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그 전체 내용 구성상에서는, 본질론·배우론·상연론 등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텍스트 중심의 희곡/연극이론이 아니라, 공연자 중심의 희곡/연극이론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희곡/연극 본질론 상으로는, '공연하는 인간(homo performans)'으로서의 자각과 실천, '자생적 가치'의 옹호, 민중적 가치의 옹호, 민중적인 현세주의·허무주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셋째, 배우론/연기론 상으로는 '4체 이론'을 골자로 해서 이론이 구축되고 있다. 넷째, 상연론 상의 특징으로는, 「풍자화전」의 그것이 '꽃의 실현'에 그 궁극적인 목표가 있는 반면에, 「광대가」의 그것은 우주 삼라만상의 온갖 변화와 조화를 표현하는 '천변만화(千變萬化)의 구현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