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treated

검색결과 4,920건 처리시간 0.031초

천연염료에 관한 연구(8) - 양파 Quercetin 색소에 의한 견섬유의 처리 - (Studies on the Natural Dyes(8) - Treatment of Silk with Ouercetin Color of Onion′s Coats -)

  • 조경래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0
    • /
    • 1995
  • The optical behavior of coloring matter extracted from onion's coats, the depression effects of destruction, yellowing and W transmittance of silk treated with color solution of onion's coats color difference of silk fabrics dyed with acid dyes and drycleaning fastness of silk treated with color solution has been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loring matter extracted from onion's coats by alkali-acid method appeared properties of aglycon type. 2) &{\lambda}_{max}&of color solution extracted by distilled water was found at 280 and 327nm. 3) The decrease of tensil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of the silk treated with color solution were depressed but those of untreated silk were increased by irradiation of UV light. 4) The yellowness index of silk treated with color solution showed a little change by irradiation. 5) The UV transmittance of silk treated with color solution was decreased as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olor solution. 6) The color difference after dyeing with several acid dyes on treated and untreated silk fabrics showed remarkable changes. 7) Drycleaning fastness of silk treated by color solution was excellent.

  • PDF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로 처리한 냉장돼지 고기 등심의 2-Thiobarbituric Acid, Color 및 육즙유출의 평가 (2-Thiobarbituric Acid, Color and Drip Loss Evaluations of Refrigerated Pork Loins Treated with Lactococcus lactis ATCC l1454)

  • 김광현;김창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9-64
    • /
    • 2001
  • 돼지고기 등심의 표면에 Lactococcus lactis subsp. Jactis ATCC l1454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의 처리구는 4$^{\circ}C$ 저장 1일 이후 대조구의 TBA가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0.05). 유산균 배양액 3.96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color L*과 b*가는 저장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Hunter a*가는 4$^{\circ}C$ 저장 1일과 6일 이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 (P<0.05)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배양액 4.10과 4.23 log units 처리구의 육즙유출율은 4$^{\circ}C$ 저장 4일 이후부터 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녹각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vergrown Antler Kimchi)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3-129
    • /
    • 2003
  • 열수로 한시간 추출한 녹각, 생녹각, 유산으로 추출한 녹각을 2% 가해서 배추김치를 담그고 $11^{\circ}C$에서 15일간 발효시키면서 발효 기간중의 여러 변화를 분석하였다. 15일 발효 후, 열수추출 녹각김치의 pH는 3.82, 생녹각 김치는 4.07, 유산처리 녹각김치는 3.98, 대조김치는 3.86을 나타냈고, 산도는 열수추출 녹각김치 7.2, 생녹각김치 10.1, 유산처리 녹각김치 8.6, 대조김치 6.9를 나타냈다. 총당은 열수추출 녹각김치 1.20%, 생녹각김치 0.46%, 유산처리 녹각김치 1.15%, 대조김치 1.46%를 나타냈고, 환원당은 열수추출 녹각김치 0.47%, 생녹각김치 0.09%, 유산처리 녹각김치 0.58%, 대조김치 0.39%를 나타냈다. 아미노산은 열수추출 녹각김치 16.35$\mu$mol/m1, 생녹각김치 20.83$\mu$mol/m1, 유산처리 녹각김치 15.06$\mu$mol/m1, 대조김치 17.60$\mu$mol/m1를 나타냈고, 단백질은 열수추출 녹각김치 1.830%, 생녹각김치 2.011%, 유산처리 녹각김치 2.101%, 대조김치 2.011%를 나타냈다. 유기산 중 유산은 생녹각김치 2.036%, 열수추출 녹각김치 0.954%, 유산처리 녹각김치 1.485%, 대조김치 1.200%를 나타냈다. 숙신산은 유산처리 녹각김치가 가장 많아서 0.153%, 아세트산도 유산처리 녹각김치가 가장 많아서 0.188%이었다. 아세트산 함량이 가장 적은 것은 열수추출 녹각김치로 0.059%이었다. (Table 1) 균체수는 0.96$\times$$10^{8}$ g ~ 3.05$\times$$10^{8}$ g 분포를 나타냈으며, 생녹각김치, 유산처리 녹각김치, 대조김치, 열수추출 녹각김치의 순으로 많았다. 녹각 김치를 사람들에게 맛보게 하여 짠맛, 신맛, 향기, 색, 조직감을 평가시킨 결과 열수추출 녹각김치와 생녹각김치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이어서 대조김치와 유산처리 녹각김치의 순을 나타냈다.

Protocatechuic acid 및 Gallic acid 유도체들의 항 혈전작용 (Anti-thrombotic Effects of Analogs of Protocatechuic Acid and Gallic Acid)

  • 윤혜숙;강삼식;김문희;정기화
    • 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53-457
    • /
    • 1993
  • Platelet anti-aggregating activities were tested with analogs of protocatechuic acid and gallic acid. Six of them which showed comparable inhibitory effects with aspirin against collagen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were selected and their anti-thrombotic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mouse thrombosis model and compared with those of aspirin and paeonol. At the dose of 50 mg/kg, p.o., ethyl gailate(13) treated group showed higher % of recovery within 6 min of thrombotic challenge and lower mortality within 5 min than aspirin treated group.

  • PDF

백색부후균 Polyporus brumalis에 의한 프탈산의 분해 (Biodegradation of Phthalic acid by White rot Fungus, Polyporus brumalis)

  • 이수민;박기령;이성숙;김명길;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48-57
    • /
    • 2005
  • 플라스틱 가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프탈레이트류(phthalate esters)의 백색부후균에 의한 분해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프탈레이트 제조에 사용되고 있는 전구체로서 프탈산(phthalic acid)의 분해를 Polyporus brumali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프탈산(phthalic acid) 50 ppm을 액상 배지에 처리하고 균체에 의한 프탈산의 감소율을 확인한 결과, 배양 4일 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배양 24일에는 배지 내에서 검출되지 않아 완전히 분해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배양 기간 동안 리그닌 분해 효소 활성 변화는 배양 10일 후부터 대조구에 비해 프탈산 처리구의 효소 활성이 저조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Esterase의 경우에는 대조구에서 보여지는 효소 활성 변화와는 달리 배양 10일 이후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양원으로 사용된 glucose는 배양 6일 째까지는 대조구와 프탈산 처리구간에 감소율이 유사하였으나, 이후 배양 시간이 연장됨에 따라 배지 내에서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대조구에 비해 프탈산 처리구가 glucose 소모율이 낮았다. 이는 프탈산이 균체에 흡수된 후에 대사작용에 이용되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또한, 균체외 효소에 의한 프탈산의 화학적 구조변화를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반응 12시간 이내에 무수프탈산으로 탈수 반응이 급격히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Biosolid 처리가 옥수수 근권의 유기산 생성과 중금속 유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solids on Heavy Metal Bioavailability and Organic Acid Production in Rhizosphere of Zea mays L.)

  • 구본준;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73-179
    • /
    • 2005
  • Biosolid 처리는 옥수수의 생장을 촉진시켰으며 중금속 흡수 또한 현저히 증가시켰다. 특히 다른 biosolid와 비교하여 Nu-earth 처리에서 옥수수 지상부의 Cd과 Zn의 흡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의 중금속 흡수는 biosolid 자체의 중금속 함량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는데, 크롬과 납의 흡수는 그 중 상관관계가 가장 낮았다. 근권의 유기산은 주로 lact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및 oxalic acid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glutaric acid와 succinic acid, pyruvic acid 및 tartaric acid도 일부 발견되었다. Biosolid를 처리한 경우에는 butyr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는 acetic acid가 가장 많았다.

유물 복원을 위한 천연 셀룰로오스 직물의 산에 의한 열화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Acid Degradation Properties of Cellulose Fabrics for Costume Heritage Restoration)

  • 전초현;권영숙;이상준;조현혹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40
    • /
    • 2005
  • Researches to preserve and restore the excavated cellulose fabrics as costume heritag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is study, in order to artificially restore an excavated cellulose fabrics, acid-treated cellulose fabrics were prepared. Three kinds of cellulose fabrics were used for an experiment. Three kinds of cellulose fabrics were treated by the acid aqueous solution for the various strength retention ($100\%,\;80\%,\;60\%,\;40\%,\;20\%$). The fin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acid treated cellulose fabrics were investigated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wide-angle X-ray diffraction, tensile test, weight loss, shrinkage, SEM etc. Tensile strength and strain of cellulose fabrics decreased with increasing acid treatment time. However, weight loss and shrinkage increasing slightly. The crystal diffraction intensity was not changed. SEM results of acid-treated cellulose fabrics show that the surface was damaged.

표면처리에 의한 왕겨분말-폴리프로필렌 바이오복합재의 계면 접착력 향상 (Improvement of Interfacial Adhesion for Surface treated Rice Husk Flour-Filled Polypropylene Bio-Composites)

  • 이병호;김희수;최성우;김현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38-45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왕겨분말을 NaOH와 acetic acid 처리를 통하여 왕겨분말-폴리프로필렌(PP) 바이오복합재의 계면 결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처리하지 않은 왕겨분말, NaOH와 acetic acid 처리된 왕겨분말을 충전제로 사용하여 바이오복합재를 제조한 후 왕겨분말의 처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NaOH와 acetic acid 처리된 왕겨분말이 충전된 바이오복합재의 인장강도가 처리하지 않은 왕겨분말이 충전된 바이오복합재보다 증가하였다. NaOH와 acetic acid로 처리 전후의 왕겨분말 표면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의 사진으로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SEM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왕겨분말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NaOH와 acetic acid 처리된 왕겨분말의 화학적 구조는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처리하지 않은 왕겨분말, NaOH와 acetic acid로 처리된 왕겨분말의 결정화구조 및 결정화도는 wide-angle X-ray scattering (WAX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산처리 공정에 따라 추출한 돈피 젤라틴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Acid Treatment Proces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elatin Extracted from Pork Skin)

  • 염건웅;;민상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6-272
    • /
    • 2004
  • 본 연구는 gelatin의 생산공정에서 각종 산 처리가 최종 gelatin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평가함으로써 양질의 gelatin을 생산하는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Gelatin gel의 물성은 lactic acid로 처리한 gelatin이 높은 hardness, cohesiveness, brittleness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는 citric acid, acet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Gelatin의 색도는 citric acid, 처리한 gelatin이 acetic acid나 lactic acid로 산침한 젤라틴 보다 높은 명도를 나타냈다. a-value는 acetic acid로 산침한 gelatin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를 나타내는 b-value는 lactic > acetic acid > citric aci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Gelatin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전단속도(shear rate)에 대한 전단응력(shear stress)의 관계는 모두 전단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응력이 증가하는Newton성 유체로 판단되었다. 그 기울기는 acetic acid로 산침한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act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Gelatin내의 hydroxyproline 함량을 살펴보면 acetic acid(0.186 g/100 g sample)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나며 다음으로 lactic acid, cit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sample중 crude protein 함량을 비교하면 acetic acid(68.74%), lactic acid(80.08%), citric acid(85.47%)로 나타났다. 이것은 gelatin의 열수 추출시 가장 작게 용출된 acetic acid가 가장 높은 collagenous connective tissue 함량(1.35 g/100g)을 나타내었다.

목초액의 잔디 생육효과 - 용평 골프 코스 그린을 대상으로 - (The Effect of Pyroligneous Acid on Turfgrass Growth - The Case of Yong-Pyong Golf Course Green -)

  • 이상재;허근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5-104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yroligneous acid on turfgrass growth and to propose usage for sustainable management on Korean golf course green. Each plot was treated with 0, 300, 500, and 800 acid to water solution. On all the plots, turfgrass growth increment and visual quality were measured at fried times. The data were subjected to paired samples t-test and corelation analysi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Leaf growth increment, density, and root spread depth of turfgrass treated with 1: 500 and 1: 800 diluted pyroligneous acid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control. Particularly, 1: 500 diluted solution was superior to the others. 2) Color, texture, and uniformity of turfgrass treated with 1: 500 and 1: 800 diluted pyroligneous acid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control. Especially, 1: 500 diluted solution tended to be superior to the others. 3) There were no symptoms of disease in all plots treated with the diluted pyroligneous acid. 1 500 and 1: 800 diluted pyroligneous acid were not thought to trigger or promote disease. 4) Before and afte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yroligneous acid on turfgrass growth ,the soils were analyzed. In all treatments,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s did not change noticeably.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s might be not changed by the diluted pyroligneous acid treatments. 5) Considering the results mentioned above, 1: 500 diluted pyroligneous acid was the most effective. Though pyroligneous acid is an organic fertilizer and contains only a little nitrogen and phosphorus, 1: 500 diluted pyroligneous acid promoted turfgrass growth effectively. Thus this use might lead to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fertilizers used and result in ecologically responsive management of Korean golf cour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