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hievement test

검색결과 1,231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사회자본이 직업포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Occupational Aspiration in University Students)

  • 안관수;황재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37-247
    • /
    • 2017
  • 이 연구는 콜맨(Coleman)의 사회자본을 근거로 대학생의 사회자본(부모-자녀관계, 인적 네트워크, SNS 활용)이 진로포부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사회자본의 하위변인 부모의 직업을 제외한 나머지 변인은 진로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계적 다중회귀 모형으로 확인한 결과 사회자본인 부모와 자녀의 관계, 사회활동을 통해 얻은 인적네트워크, 사회관계망 서비스의 활용 및 정보의 도움 정도는 직업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사회계층 이동에 대학생의 사회자본의 소유 및 획득 과정이 중요한 성취지향가치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Flipped Learning이 대학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Flipped Learning mathematics impact on the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 김동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09-218
    • /
    • 2017
  • 대학기초수학 교과목은 많은 대학에서 필수 과목으로 개설 운영하고 있으나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는 수학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대안적 방법으로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흥미를 갖고 협업을 통해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 교수법으로 잘 알려진 Flipped Learning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Flipped Learning 수업을 본 교과목에 적용함으로써 강의식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학습능력을 향상하고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는지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lipped Learning 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기존 강의식 수업을 적용한 통제집단의 비교연구에서 교육적 효과성을 알아본 결과 첫째, 단원테스트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평균이 20점 이상 높게 나타나 학습능력 향상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성찰저널 분석에서도 통제집단과 달리 실험집단에서는 어렵게만 느꼈던 수학에 대한 태도에도 긍정적인 의견의 내용이 많이 나와 흥미도 향상에도 효과가 있었다.

혼합 학습에서 공책필기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A Study for the Effect of Notes as Learning Activities on Blended-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 성치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5-38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혼합학습에서 이러닝 학습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실시한 공책필기가 학업성취도와 상관이 있는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대학교 실용한자 수강생을 대상으로 2007년 1학기에 65명, 2학기에 255명에게 혼합학습을 실시하고, 공책필기를 두 차례 평가하는 수업이 실시되었다. 최종적으로 213명의 사례수가 분석되었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공책필기는 중간고사, 기말고사, 최종 성적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혼합학습과 이러닝에서 과제물이나 시험 외의 학습활동이 학업성취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학업성취도에도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습이 진행되는 과정을 평가하는 공책필기가 학습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러닝에서 학습활동 설계를 다양하게 하여 학습과정에 대한 연습과 성찰 기회를 더 많이 부여해야 함을 의미한다.

  • PDF

컴퓨터지원협동학습 환경 하에서 네트워크 마이닝을 통한 학습자 상호작용연구 (A Study on the e-Learning Communities Interaction Under the CSCL by Using Network Mining)

  • 정남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2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지원협동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학습자, 학습자-온라인교사간 상호작용을 계량화시켜 파악할 수 있는 기법으로서 네크워크 마이닝 기법의 일종인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사회학과 인류학 분야를 중심으로 최근 활발히 활용되고 있는 이 기법의 이론적 및 방법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웹 기반 기업교육 운영 과정에서 생성된 질문방 로그파일을 활용하여 SNA변인 중 하나인 중심도와 학업 성취도 및 팀활동 기여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탐색적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심도는 학업 성취도, 특히 적용 평가 등 고차학습 성취도 및 동료들에 의해 평가된 팀 학습 기여도와 높은 상관이 있음이 나타났다. 결론으로서 이러한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교수 설계적 함의 및 그 제한성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 PDF

일 지역 초등학생의 암에 대한 지식, 태도, 공감과 암환아에 대한 태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of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Cancer, Empathy, and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in Upper Primary School Children)

  • 문소현;윤영미;조헌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7-112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upper primary school children's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ancer, empathy, and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and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and factors that influence. Methods: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474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OVA and Tukey test with SPSS/WIN 18.0. Results: Mean scores were for knowledge about cancer 6.03 out of a possible 1, attitude about cancer 2.23 out of a possible 5,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1.11 out of a possible 3, and empathy 3.18 out of a possibl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bout cancer according to school grades and parents'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Attitude about canc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harmony of family life, worries about cancer, school life, academic achievement, school parents'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and cancer education. Empath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gender, school life, harmony of family life, and parents'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grades, school life, and parents'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Knowledge about cancer and empath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cancer, and empathy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cancer, and empathy by late school-aged children should lead to the positive attitudes about child with cancer.

  • PDF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eep Duration on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leep duration on suicidal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ata drawn from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in 2013. A total data of 63,301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Included variabl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variables, hours of sleep, and suicidal ideation. For sample description weighted percentage and means were used. Rao-Scott ${\chi}^2$ test and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dummy variables were conducted with use of SAS 9.2. Result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variables, gender, grade, school level, school achievement, family's economic status, living with parents, subjective health, happiness, stress, and feeling of despair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Rates of having suicidal ideation were 22.4%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less than 5 hours of sleep and 12.9% in students with 8 or more hours of sleep. After controll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ly perceived variables, hours of sleep was still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That is, compared to adolescents with 8 hours or more of sleep, those with less than 5 hours of slee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isk for having suicidal ideation (adjusted odds ratio: 1.20,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hort sleep has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health in adolescents. Particularly, less than 5 hours of sleep has harmful effect on adolescents' increased risk for having suicidal ideation.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변수 개념 이해에 관한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6th Graders' Understanding of Concepts of Variable)

  • 하수현;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2호
    • /
    • pp.213-23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6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variable on various aspects of school algebra. For this purpose, the test of concepts of variable targeting a sixth-grade class was conducted and then two students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 The level of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two stud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s of variabl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had little basic understanding of the variables and they had many cognitive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the variables. Second, the students were familiar with only the symbol '${\Box}$' not the other letters nor symbols. Third, students comprehended the variable as generalizers imperfectly. Fourth, the students' skill of operations between letters was below expectations and there was the student who omitted the mathematical sign in letter expressions including the mathematical sign such as x+3. Fifth, the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reason the patterns inductively and symbolize them using variables. Sixth, in connection with the variables in functional relationships, the students were more familiar with the potential and discrete variation than practical and continuous vari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gives sever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early algebra education, especially the teaching methods of variables.

PBG(Problem Behavior Graph)를 이용한 수학적 사고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of Gifted Students Using Problem Behavior Graph)

  • 강은주;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545-562
    • /
    • 2009
  • PBG(Problem Behavior Graph; 문제해결 행동 그래프)는 인지 심리학자인 Newell과 Simon에 의해 제안된 것으로 연구 대상자가 문제를 해결할 때 인지 활동을 그래프 형식을 이용하여 그려놓은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수학 영재의 수학적 문제 해결에서 이루어지는 인지적인 과정을 추적하기 위하여, 사고구술법(Think-aloud method)으로 추출된 수학 영재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언어 프로토콜로 나타내고 분석한 것을 토대로 PBG를 구성하는 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하여 수학 영재 학생들이 문제 해결 과정 중 인지 활동으로 거치게 되는 절차와 사고 과정 특성 지도를 살펴보고 대상 학생들이 여러 번의 시행착오 후 전체적인 과정을 수정하며 수행해 나가게 되는 방법과 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안을 도출해 내는 경로 탐색 과정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 PDF

초등학생의 수직선 이해와 사용의 어려움 (Difficulty of understanding and using the number line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양권;홍진곤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85-101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수 개념과 관련하여 수직선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또 그 학습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직선 은유가 수 개념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살펴보았고, 프로이덴탈의 수 개념지도론에서 수직선의 역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제 초등학생들의 수직선에 대한 이해와 사용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검사는 수직선에 주어진 위치에서 적절한 수를 대응시키는 문항과 학년별로 수직선이 활용되는 관련 단원 내용을 묻는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같은 내용과 구조의 문항이지만 수직선으로 표현된 것은 해결하지 못하면서 수 트랙이나 다른 그림으로 표현된 것은 해결하는 학생들이 다수 관찰되었고,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수 트랙, 그림, 빈 수직선, 이중 수직선등)를 활용하여 수직선 이해의 어려움을 보완하고 관련 수 개념 학습을 돕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화력전에 대한 이종 무기체계의 조합모델개발 연구 (A Study on a Combination Model Development for Counterfire Operation with Heterogeneous Weapon System)

  • 김한영;김승천;노광현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2호
    • /
    • pp.62-6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대화력전의 목표달성에 대한 평가척도를 선정하고 평가척도의 최적값을 만족하는 청군의 타격자원의 합리적인 조합과 목표달성시간의 회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실세계에서 회귀식을 도출하는 일련의 과정을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북한과 대한민국이 보유하고 있는 무기체계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력전을 단순화한 시뮬레이션을 만들어 목표달성시간을 도출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대화력전을 탐지, 결정, 타격의 세 단계로 나누었다. 탐지에는 난수를 활용한 확률을 적용했고 결정과 타격은 고정된 상수를 적용시켰다. 고정된 적에 대해서 목표달성시간을 도출하였으며 목표달성시간이 최단시간으로 나오는 것이 시뮬레이션의 최적값이라고 판단했다. 시뮬레이션의 목표달성시간을 바탕으로 미니탭의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고정된 홍군에 대한 청군 무기체계의 최적조합 및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회귀식은 2-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