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I kit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7초

서해안에서 분리한 비브리오균의 항생제 감수성 특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Vibrio spp. Isolated from West Sea)

  • 강창호;오수지;소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6-149
    • /
    • 2013
  • 비브리오균은 해양 및 하구 환경에서 상재하는 균으로 그람 음성 간균, 호염성, 비포자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질병과 관련된 균주로는 Vibrio parahaemolyticus, Vibrio vulnificus, Vibrio cholera 등이 있다. 매년 어패류의 섭취 등을 통해 식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6곳에서 패류를 채취하여 비브리오균의 분포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들의 항생제 내성을 분석하였다. 총 120건의 패류를 TCBS 평판배지와 API 20E kit 기법으로 동정하였을 때 23.3%의 시료에서 비브리오균이 검출되었다. 이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내성을 16종의 항생제에 대해 분석한 결과 82.1%가 각각 vancomycin과 ampicillin에 대해 내성을 보였고, rifampin (71.4%)과 cephalothin (53.6%)에 대한 내성비율도 다른 항생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주들의 항생제 감수성은 chloramphenicol (92.9%), sulfamethoxazole/trimethoprim (92.9%)과 tetracycline (96.4%)에 대해 가장 높았다. 분리균주들의 약 71.4%가 vancomycin과 ampicillin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다중내성을 보였다.

소프트웨어교육 현장에서 가상화 기술에 기반한 아두이노 키트 VR콘텐츠 모듈화 연구 (Study on Arduino Kit VR contents modularization based on virtualization technology in software education field)

  • 박종열;장영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293-298
    • /
    • 2018
  • 스마트폰 사용의 대중화로 촉발된 4차 산업혁명시대에는, 인간의 일상생활과 모든 산업현장이 소프트웨어화 및 지능화되어 가고 있다. 2018년부터 전국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보편교육을 실시함에 따라, 수요가 폭증하고 소프트웨어 기술과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하드웨어를 연동하고 있다. 그러나 고비용의 콘트롤 보드와 수십 종에 이르는 다양한 전자부품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고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동일한 실습교육을 반복 실시할 경우, 상당히 많은 부품이 분실되거나 망가진다. 새롭게 수업을 시작할 상태로 준비하는 것도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두이노 보드와 각종 전자부품들을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VR기술로 구현한다. 또한 3D 그래픽 실감형 아두이노 키트와 각종 전자부품들을 API 형태로 제공한다. 가상화 기반에서 소프트웨어와 가상의 하드웨어를 연동하여 처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Identifications of Predominant Bacterial Isolates from the Fermenting Kimchi Using ITS-PCR and Partial 16S rDNA Sequence Analyses

  • CHIN HWA SUP;BREIDT FRED;FLEMING H. P.;SHIN WON-CHEOL;YOON S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68-76
    • /
    • 2006
  • Despites many attempts to explore the microbial diversity in kimchi fermentation, the predominant flora remains controversial to date. In the present study, major lactic acid bacteria (LAB) were investigated in Chinese cabbage kimchi in the early phase of fermention. For the samples over pH 4.0, viable cell counts of Leuconostoc and Pediococcus were $10^6\;cfu/ml$ and below $10^2\;cfu/ml$, respectively, and 20 isolates out of 172 were subjected to a biochemical identification (API 50 CH kit) as well as molecular-typing methods including ITSPCR with a RsaI digestion and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for species confirmation. Seven isolates were nicely assigned to Lb. brevis, 6 to Leuconostoc spp. (2 mesenteroides, 2 citreum, I carnosum, I gasicomitatum), 4 to Weissella (3 kimchii/cibaria, 1 hanii) and 2 to other Lactobacillus spp. (1 farciminis, 1 plantarum). On the other hand, the biochemical identification data revealed 9 strains of Lb. brevis, 6 strains of Leuconostocs,2 strains of Lb. plantarum and 1 strain each of Lb. coprophilus and Lactococcus lactis. However, a single isolates, YSM 16, was not matched to the ITS-PCR database constructed in the present study. Two Lb. brevis strains by API 50 CH kit were reassigned to W kimchii/cibaria, Lb. coprophilus or W hanii,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results by the above molecular typing approaches. As a whole, the identification data obtained by the biochemical test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ITS-PCR molecular method by about $63\%$ at genus-level and $42\%$ at species-level. The data by the ITS-PCR method conclusively suggest that predominant LAB species is probably heterolactic Lb. brevis, followed by W kimchii/cibaria, Leuc. mesenteroides, and Leuc. citreum, in contrast to the previous reports [3] that Leuc. mesenteroides is the only a predominant species in the early phase kimchi fermentation.

시판 건해산물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와 E. faecium의 미생물학적 특성 (E. faecalis and E. faecium Isolated in Dried Marine Products)

  • 함희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4-299
    • /
    • 2007
  • 서울시 가락동 수산물 도매시장에서 시판되는 건포류 164건에 대해 API strep kit를 사용하여 87주의 균주들을 분리하였고 이 가운데 28주에서 E. faecalis, and E. faecium가, 11주에서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가 분리되었다. 28주의 E. faecalis와 E. faecium에서는 내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이 streptomycin(95.6%), kanamycin(84.5%), gentamycin(66.7%), cephaloxin(97.8%), ampicillin/sulbactam(88.9%), ticarcillin(66.7%), amikacin(97.8%), sulfonamides(97.8%), ceftriaxone(75.6%), nalidixic acid(100.0%), 그리고 cefoxitin(100.0%) 등이었고, 감수성을 나타내는 항생제들은 amoxicillin/clavulanic acid(97.8%), chloramphenicol(95.6%), solfamethoxazole/trimethoprim(97.8%), 그리고 tetracycline(71.1%)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다제내성 형태로는 10 균주의 E. faecalis에서 나타난 $S-K-GM-CF-SAM-TIC-An-S_3-CRO-NA-FOX$에 대한 것이었다. 결국, 건포류에서 분리한 E. faecalis 균주에서 항생제 다제내성이 분포함으로 나타나 probiotics로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균에 대한 항생제 내성의 결과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Laetoeoeeus laetis NK34 Isolated from Jeotgal

  • Lee, Na-Kyoung;Noh, Ji-Eun;Choi, Gui-Hun;Park, Eun-Ju;Chang, Hyo-Ihl;Yun, Cheol-Won;Kim, Seung-Wook;Kang, Chang-Won;Yoon, Yoh-Chang;Paik, Hyun-D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43-847
    • /
    • 2007
  • Strain NK34 was characterized for probiotic use. Strain NK34 was named Lactococcus lactis NK34 based on API 50 CHL kit results and 16S rDNA sequencing. L. lactis NK34 was highly resistant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and artificial bile acid. Based on results from the API ZYM kit, 4 enzymes were produced. L. lactis NK34 was resistant to all antibiotics tested except for $10\;{\mu}g/mL$ roxithromycin and $10\;{\mu}g/mL$ erythromycin.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 lactis NK34 was about 46.9%. Concentrations of interleukin $(IL)-1{\alpha}$ in the $20{\times}$ concentrated supernatant of L. lactis NK34 was about 361 pg/mL. L. lactis NK34 was also found to inhibit the growth of colon cancer cells due to MNNG-induced DNA damag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L. lactis NK34 as a health-promoting probiotic.

Phytase를 생산하는 Enterobacter cloacae의 분리 및 효소 생산의 배지 최적화 (Isolation of Enterobacter Cloacae Producing Phytase and Medium Optimization of Its Production)

  • 송민동;김영훈;양시용;김대영;김창원;정원형;권문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8-83
    • /
    • 2001
  • 본 연구는 phytic acid를 myo-inositol과 무기태인으로 분해시키는 효소인 phytase 생산균주의 분리 및 효소생산의 배지최적하에 관한 것이다. 1차로 calcium phytate를 기질로 함유한 phytase screening 배지를 이용하여 phytase 생산을 나타내는 균주 35가지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sodium phytate를 기질로 하여 재현성 있는 phytase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12가지를 선발하였다. 12개의 균주 중 BHI broth에서 배양한 조효소액의 phytase 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YH100을 선발하여 주사현미경 관찰, 16S rRNA sequence 분석, GC conten(mol%) 조성, 지방산 분석, API 20E kit를 이용한 test 결과 Enterobacter cloacae로 동정되어, 이 균주를 Enterobacter cloacae YH100이라 명명하였다. Enterobacter cloacae YH100에 의한 phytase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 조성을 파악한 결과 glucose 2.0%(w/v), peptone 1.0%(w/v), beef extract 1.0%(w/v), KCI 0.1%(w/v), sodium phytate 0.1%(w/v)로 나타났다.

  • PDF

가축 소화기 병원성 세균을 저해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Gastro-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of Domestic Animal.)

  • 이재연;황교열;김현수;김근;성수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4
    • /
    • 2002
  • 토종닭 소장으로부터 가축 소화기 병원성 유해세균의 분리를 위하여 무작위 선별법과 중층-도말법을 사용하여 총130주의 유산균을 1차 분리하였다. 1차 분리한 130주를 paper disc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살모넬라 균, 포도상구균, 대장균에 대하여 저해능이 우수한 7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차로 API CHL kit를 사용하였고, 동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2차로 16S rRNA 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BD14 균주는 Pediococcus pentosaceus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 6주는 Lactobacillus sp.로 동정되어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균임을 확인하였다. 여러 병원균에 가장 항균력이 큰 유산균은 L. pentosus K34이었으며, 이 유산균은 염산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에서도 가장 우수한 균주로 나타났다. 10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ciprofloxacin에 대하여 모든 균주가 내성을 보였고, BL 균주를 제외하고 모든 균주가 colistin, strept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또한 BD14, BD16, K34 균주가 gentamicin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Screening of Lactobacilli Derived from Chicken Feces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12 as Animal Probiotics

  • Lee, Na-Kyoung;Yun, Cheol-Won;Kim, Seung-Wook;Chang, Hyo-Ihl;Kang, Chang-Won;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338-342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creen and select Lactobacillus strains from chicken feces for probiotic use in animals. Of these strains, strain AU had the highest immunostimulatory effect. Therefore, strain A12 was characterized as a potential probiotic. Strain A12 was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acidophilus A12, using the API 50 CHL kit based on a 99.9% homology. L. acidophilus A12 was highly resistant to artificial gastric juice (pH 2.5) and bile acid (oxgall). Based on results from the API ZYM kit, leucine arylamidase, crystine arylamidase, acid phosphatase, naphthol-AS-BI-phosphohydrolase, ${\alpha}$-galactosidase, ${\beta}$-galactosidase,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and N-acetyl-${\beta}$-glucosamidase were produced by strain A12. L. acidophilus A12 showed resistance to several antibiotics (nisin, gentamicin, and erythromycin). The amount of interleukin $(IL)-1{\alpha}$ in $20{\times}$ concentrated supernatant from L. acidophilus A12 was approximately 156pg/ml. With regard to antioxidant activity, L. acidophilus A12 supernatant showed 60.6%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use of L. acidophilus A12 as health-promoting probiotics.

식물생육촉진(植物生育促進) 세균(細菌) 분리(分離), 동정(同定)과 고추에 대한 처리효과(處理效果)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lant-Growth-Promoting Bacteria and Their Effect on Growth of Red Pepper(Capsicum annuum L.))

  • 이영한;윤한대;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3
    • /
    • 1996
  • 식물(植物) 생육촉진(生育促進) 유용미생물(有用微生物)을 지리산 일대의 침엽수와 활엽수 밑의 부엽토(腐葉土)에서 선발하고, 고추묘에 접종하여 묘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8종의 균주를 동정한 결과 Micrococcus sp., Bacillus subtilis, Enterobacter agglomerans, Bacillus megaterium, Pseudomonas putida, Pseudomonas fluorescens, Xanthomonas maltophilia, Staphylococcus xylosus등 8종의 균주가 동정되었다. 2. 8종의 혼합균주 처리구의 고추묘의 초장(草長)은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 10일 이후, 엽수(葉數)는 44일 이후부터 생육이 크게 진전되었다.

  • PDF

김치에서 항균활성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Biochemical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김수영;김종두;손지수;이시경;박갑주;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46-452
    • /
    • 2011
  •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야생형 유산균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480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P. aeruginosa, B.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agar diffusion 법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이들 중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340종에 대하여 multiplex PCR과 API 50CHL Kit을 이용한 생화학적 특성검사 및 16S rDNA sequencing을 통해 Lb. plantarum 169균주, Lb. fermentum 20균주, Lb. paracasei spp. paracasei 2균주, Lactobacillus 속 2균주와 Pediococcus 속 15균주를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 중 Lb. fermentum의 경우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활성이 보고되고 있는 균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