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MU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4초

A review of fixed offshore platforms under earthquake forces

  • Hasan, Syed Danish;Islam, Nazrul;Moin, Khalid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35권4호
    • /
    • pp.479-491
    • /
    • 2010
  • Advances in geological studies, have identified increased seismic activity in the world's ocean once believed to be far from seismic hazards. The increase in demand of oil and other hydrocarbons leaves no option but to install a suitable offshore platform on these seismically sensitive offshore basins. Therefore, earthquake based design criteria for offshore structures are essential. The focus of the present review is on various computational techniques involved for seismic response study. The structural and load modeling approaches, the disturbed fluid-structure and soil-structure interaction as well as hydrodynamic damping due to earthquake excitation are also discussed. A brief description on the reliability-based seismic design approach is also presented.

GENERALIZED DOMINOES TILING'S MARKOV CHAIN MIXES FAST

  • KAYIBI, K.K.;SAMEE, U.;MERAJUDDIN, MERAJUDDIN;PIRZADA, S.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7권5_6호
    • /
    • pp.469-480
    • /
    • 2019
  • A generalized tiling is defined as a generalization of the properties of tiling a region of ${\mathbb{Z}}^2$ with dominoes, and comprises tiling with rhombus and any other tilings that admits height functions which can be ordered into a distributive lattice. By using properties of the distributive lattice, we prove that the Markov chain consisting of moving from one height function to the next by a flip is fast mixing and the mixing time ${\tau}({\epsilon})$ is given by ${\tau}({\epsilon}){\leq}(kmn)^3(mn\;{\ln}\;k+{\ln}\;{\epsilon}^{-1})$, where mn is the area of the grid ${\Gamma}$ that is a k-regular polycell. This result generalizes the result of the authors (T-tetromino tiling Markov chain is fast mixing, Theor. Comp. Sci. (2018)) and improves on the mixing time obtained by using coupling arguments by N. Destainville and by M. Luby, D. Randall, A. Sinclair.

Low Energy Ion-Surface Reactor

  • Choi, Won-Yong;Kang, Tae-Hee;Kang, H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1권4호
    • /
    • pp.290-296
    • /
    • 1990
  • Ion-surface collision studies at low kinetic energies (1-100 eV) provide a unique opportunity for investigating reactions and collision dynamics at surfaces. A special ion optics system for generating an energy- and mass-selected ion beam of this energy is designed and constructed. An ultrahigh vacuum (UHV) reaction chamber, in which the ions generated from the beamline collide with a solid surface, is equipped with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and thermal desorption spectrometry (TDS) as in-situ surface analytical tools. The resulting beam from the syste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 ion current of 5-50 nA, energy spread < 2eV, current stability within ${\pm}5%,$ and unit mass resolution below 20 amu. The performance of the instrument is illustrated with data representing the implantation behavior of $Ar^+$ into a graphite (0001) surface.

식의약소재 천연자원으로부터 유효성분 규명 연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ctive Components from Natural Products)

  • 이영근;백남인;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10
    • /
    • 2021
  • Natural products have been used as drugs and cosmetics due to their bioactivity and their biochemical diversity. Natural products usually refer to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various living organisms including marine animals, insects, microbes, amphibians, and plants. These secondary metabolites, which usually have molecular weights less than 2,000 amu, are unnecessary for survival, development, growth, and reproduction but play major roles in plant defense systems against other species. These secondary metabolites such as lignans, flavonoids, monoterpenes, and phenylethanoid glycosides showe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like anti-oxidant behavior, anti-cancer properties, neuroprotective properties, and so forth. Thus, isolation and elucid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living organisms is of great significance to human life.

  • PDF

Variability in group size and daily activity budget of family groups of the gelada baboon (Theropithecus gelada) at Guassa Community Conservation Area, Central Ethiopia

  • Mamo, Mandefero;Wube, Tilay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2호
    • /
    • pp.263-270
    • /
    • 2019
  • Background: The gelada baboon, Theropithecus gelada Ruppell, 1835, is an endemic primate of the central and western highlands of Ethiopia occurring between altitudes of 1800-4400 m. Variability in activity time budget between the two gelada social units, i.e., one-male units (OMUs) and all-male units (AMUs),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Thus, the present study was an effort to understand intra- and inter-variations in group size and daily activity time budget in gelada baboon OMUs and AMUs at Guassa Community Conservation Area, Central Ethiopia. The instantaneous sampling method was used in the data collection. Results: Both OMU and AMU groups allocated more time for feeding (OMUs = 36.96%; AMUs = 35%) followed by moving (OMU = 25.8%; AMUs = 27%). Grooming was the most frequent social activity in both family groups (OMUs = 8.56%; AMUs = 11.81%). OMUs and AMUs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themselves in the time budget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heir daily activities. However, the overall variation in the time budget allocated for daily activities within OMUs and AMU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The different age and sex groups in OMUs (i.e., immature, sub-adult females, subordinate males, adult females, and alpha ma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in their time budget allocation for the daily activities (p < 0.05) except for feeding and moving. Alpha mal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ting (32.14%) and aggression (31.92%). Immature individuals were responsible for > 90% of the time budget recorded for playing while adult female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grooming. Group size of OMUs ranged between 5 and 15 individuals (mean ± SD = 11.25 ± 1.95). Adult females comprised the highest number within OMUs (mean = 4.5) followed by immature individuals (mean = 3). The group size of AMUs ranged from 4 to 8 (mean ± SD = 6.6 ± 1.5).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gelada baboon spent less time on foraging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at the Simien Mountains and Debre-Libanos area. We suggested this variation could be explained based on higher forage quality at Guassa Community Conservation Area resulting from better conservation of the habitat.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른 애니메이션 캐릭터 선호도 (Animation Character Preference According to Age and Gender of Children)

  • 고영자;김민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70-479
    • /
    • 2012
  • 본 연구는 만 3세 - 5세 유아 255명을 대상으로 연령별 성별에 따른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유아가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그림으로 표상하고, 캐릭터 선호 이유에 대해 개별 면접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PSS 18.0 Window 통계 프로그램의 $x^2$검증을 통해 선호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만 3 - 5세 유아들은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을 35.7%, 국외 제작 애니메이션을 64.3%로 국외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의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국내 캐릭터 22.4%, 국외 캐릭터 77.6%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아의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x^2=302.474^{***}$, P<.001), 만 3세 유아는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 만 4세 유아는 꼬마버스 타요의 '타요'와 캐릭캐릭 체인지의 '아무', 만 5세 유아는 짱구는 못말려의 '짱구' 캐릭터의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유아의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x^2=120.864^{***}$, P<.001), 남아는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 도라에몽의 '도라에몽', 토마스와 친구들의 '토마스', 꼬마버스 타요의 '타요'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여아는 뽀롱뽀롱 뽀로로의 '뽀로로', 리틀 프릿의 '사과', 캐릭캐릭 체인지의 '아무', 뽀롱뽀롱 뽀로로의 '루피' 순으로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제작되는 유아용 애니메이션의 개발이 좀 더 발전되길 기대하며, 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제초제의 활성 성분에 대한 물리-화학 파라미터의 범위 (Range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for active ingredients of herbicides)

  • 성낙도;송선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8-65
    • /
    • 2003
  • 농업용 약물로서의 활용성 진단과 예측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상용화 된 제초제와 같은 분자량을 가지는 의약 각 245 종에 대한 10 가지의 물리 -화학 파라미터들을 계산하고 제초제와 광합성 (PS-II) 저해제 및 acetolactase synthase (ALS) 저해제들의 특정한 물리-화학 파라미터들에 대한 수치 범위를 비교 검토하였다. 제초제들의 특정 물리-화학 파라미터에 대한 85% 의존적 수치 범위는 소수성 상수 (Obs. logP): $-0.90\sim4.50$, 쌍극자 능율 (DM): $1.80\sim12.22$ Debye, van der Waals 분자부피 (Vol.); $558\sim995Cm^3$ 및 표면적 (S.Area): $194\sim356\;{\AA}^2$, molar refractivity (MR): $53\sim104Cm^3/mol$., 분극율 (Pol): $19\sim37\;{\AA}^3$, 분자량 : $202\sim430(amu)$, 및 수화 에너지 (Hy.E): $-10.16\sim114.7$ Kcal/mol 등 이었다. 그리고 작용 기작에 따라 물리-화학파라미터의 범위값을 특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음을 알았으며 MR 상수와 분극율은 의약과 제초제 (ALS 저해제)를 구분하는 판별 가능한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TDU-GC/MS를 이용한 한국품종 참당귀 국산 판별 기법 (Geographical origin discrimination of Korean variety, Angelica gigas Nakai by using TDU (Thermal Desorption Unit)-GC/MS)

  • 이미나;김윤석;김원일;김정규;권오경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29-33
    • /
    • 2020
  • 한약재의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신속 정확한 원산지 판별방법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TDU-GC/MS를 이용하여 한국품종 당귀와 외국품종 당귀를 판별함과 동시에 한국품종 당귀의 재배지가 한국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당귀추출물을 열탈착 시킨 후 냉각응축시스템에서 응축시켜 일시에 GC/MS로 분석한 결과 국산 품종 당귀(참당귀)는 TIC의 RT 26.9-27.2에서 coumarin 유도체인 decursin과 decursinol peak가 확인되었다. 중국 품종 당귀(중당귀)의 경우 RT 17.2 부근에서 ligustilide의 peak가 검출되었다. 국산 품종 참당귀 원산지에 따른 휘발성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wister로 흡착하여 TDU-GC/MS로 m/z 40-400 amu 범위에서 mass spectrum을 측정하였다. 참당귀의 국내 및 중국 재배 시료 TIC는 전반적으로 같은 경향을 냈으나 TIC를 부분 scan한 결과 RT 15.4-16.1에서 국내 및 중국 재배의 peak pattern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Peak A (RT 15.54)과 B (RT 16.05)의 비율은 국내 재배는 0.0-0.2, 중국 재배의 경우 0.5-2.8으로서 TDU-GC/MS의 TIC peak pattern 비교를 통한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른 밀원에서 기원한 꿀의 전자코 분석 (Analysis of Various Honeys from Different Sources Using Electronic Nose)

  • 홍은정;박수지;이화정;이광근;노봉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73-279
    • /
    • 2011
  • 전자코를 이용하여 아카시아 꿀, 잡화 꿀, 밤 꿀, 유채꿀, 사양 꿀, 목청 꿀, 기타 꿀을 대상으로 밀원에 따른 차이를 구분하였다. 그 결과 꿀 종류에 따라 뚜렷이 구분 가능하였으며 각기 다른 꿀을 혼합하였을 때 혼합 비율에 따라서도 구분 가능하였다. 0, 5, 10, 15, 20, 25, 30%의 사양 꿀을 목청 꿀에 혼합하였을 때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41, 42, 43, 45, 46, 47, 48, 54, 56, 58, 60 amu의 감응도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판별함수분석한 결과 사양 꿀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DF1값이 양의 방향에서 음의 방향으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며 뚜렷이 구분되었다(DF1: $r^2$=0.9962, F=490.6 DF2: $r^2$=0.9128, F=19.44). 이를 통하여 DF1값과 목청 꿀에 사양 꿀의 혼합 농도에 대해 DF1=-0.106$^*$(사양 꿀의 농도)+0.426($r^2$=0.96)와 같은 높은 상관관계식을 얻었다. 아카시아 꿀의 경우에도 목청 꿀과 유사하게 사양 꿀의 혼합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41, 43, 45, 46, 47, 56, 57, 58, 59, 60, 61, 70 amu의 감응도 값이 크게 나타났으며 DF1과 사양 꿀 혼합 비율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일정한 경향을 나타냈고(DF1: $r^2$=0.9957, F=396.64 DF2: $r^2$=0.9447, F=29.3) DF1=-0.112$^*$(사양 꿀의 농도)+0.434($r^2$=0.968)의 상관관계식을 갖는다.

현미 및 백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가 및 향기 패턴 분석 - 연구노트 - (Fat Acidity and Flavor Pattern Analysis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according to Storage Period)

  • 성지혜;김훈;최희돈;김윤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13-6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및 백미를 이용하여 시료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 패턴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방산가와 비교하여 현미 및 쌀의 품질을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현미는 $30^{\circ}C$ 항온기에 넣고 30일간 저장하면서 5일 간격으로 각 시료를 채취하였고 백미는 저장기간의 차이를 두기 위해 생산 년도에 따라 시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현미와 백미 모두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산가가 크게 증가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기간에 차이를 둔 현미 및 백미의 향기패턴 변화를 SMart Nose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현미와 백미사이에 휘발성 향기성분의 감응도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다양한 변수들의 판별력에 가장 차별성을 높게 표현하는 18종류(41~81 amu)의 질량을 선택하여 주성분 분석 결과 현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95.64%, 2.78%로 나타났고 백미의 PCA1 및 PCA2 값 기여율은 각각 81.18%, 13.85%로 나타났다. 백미보다는 현미의 저장기간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두 시료 모두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시료의 PCA1값이 음의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쌀의 지방산가는 크게 증가하고 향기패턴이 변화하며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쌀의 품질을 판별하는데 있어서 SMart Nose에 의해 측정하여 얻어진 자료를 활용한다면 기존의 방식들보다 더 용이하게 쌀의 품질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