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natural enem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5초

동.서양 해자(垓字)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Considerations of the Moat at the East and West)

  • 정용조;박주성;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38
    • /
    • 2010
  • 해자란 성벽 외곽에 파 놓은 못 또는 물길로 적이 성벽에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하거나 이를 경계로 공간을 구분하고자 설치된 시설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존재했던 해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의 해자는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동시에 설치하였으나, 서양의 해자는 천연의 요새지에 성(城)을 쌓아 자연적 해자를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한국의 해자는 일본 및 중국, 서양의 다른 국가에 비해 해자의 규모가 작다. 셋째, 동양의 성은 읍이나 왕궁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나, 서양에서는 왕이나 영주, 대저택, 부호의 저택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며, 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넷째, 동양에서 풍수지리는 우리 민족의 기층적 사상 체계를 이루어온 수많은 사상들 중 하나로 신라 이후 우리 민족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관념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성의 위치를 정할 때에도 풍수지리를 고려하였다. 성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는 성내에 있는 좋은 기(氣)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서양에서 Ha-Ha수법은 담장 대신 정원 부지의 경계선에 해당되는 곳에 도랑을 파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도록 한 것으로서 이 도랑의 존재를 모르고 원로를 따라 거닐다가 갑자기 원로가 도랑으로 차단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을 때 부지불식 중에 지르는 감탄사로 원래 중세기 때의 군사용 호였는데, 정원에 수직적으로 담을 둘러치는 물리적인 경계 없이 정원을 바라볼 수 있게 정원의 경계선에 깊은 도랑과 같은 모양으로 파 놓음으로써 가축이 정원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목장이나 산림, 경작지 등을 정원의 구성요소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였다.

헤어리베치 재배과원에서 해충과 천적의 발생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Pear Orchard with Hairy Vetch)

  • 최용석;황인수;박덕기;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8-453
    • /
    • 2013
  • 배 과원에 심겨진 헤어리베치가 배의 주요해충인 4종 나방류(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조팝나무진딧물 및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천적인 기생봉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과 바랭이가 주요 초종인 일반과원에서 4종 나방류의 발생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조팝나무진딧물은 6월 20일 헤어리베치구에서 신초 당 95마리가 1회 확인되었을 뿐 전체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 배 잎의 점박이응애 밀도는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에서 월등히 낮았다. 2012년과 2013년에 조사된 기생봉류의 발생은 헤어리베치의 개화시기에 각각 398마리와 798마리로 일반초생구의 9마리와 22마리보다 월등히 높았고, 하고시기에도 헤어리베치구가 114, 172마리로 일반초생구 8, 5마리보다 월등히 많았다. 헤어리베치는 4종 나방류, 조팝나무진딧물, 점박이응애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천적인 기생봉류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배 과원의 피복 및 녹비작물로써 이용가능성이 높으므로, 천적에 저독성 농약선발을 통해 농약방제 체계를 개선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해충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전남북지역 휴경논의 식생 및 곤충상 (Plant Flora and Insect Fauna in the Fallow Paddy Fields of Jeonnam and Jeonbuk Province)

  • 백채훈;이건휘;강종국;전용균;최만영;서홍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5-294
    • /
    • 2009
  • 2004년에서 2005년까지 전 남북지역 휴경 논에 발생하는 식물, 해충 및 천적의 발생종류 및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휴경 논에 발생하는 식물 종은 32과 124종, 해충은 30과 58종, 천적은 9과 11종 이었다. 식물 종은 벼과(Poaceae)와 국화과(Asteraceae)가 각각 28, 18종으로 발생량이 많았으며, 해충은 쌕새기, 애긴노린재, 시골가시허리노린재, 가시점둥글노린재, 끝동매미충, 애멸구 및 각다귀 1종의 발생량이 많았다. 휴경 논에 발생하는 해충 중 끝동매미충과 애멸구는 $5{\sim}6$월에 발생이 가장 적었고, 애멸구는 $8{\sim}9$월에 발생량이 가장 많았다. 천적곤충으로는 실잠자리류, 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당벌레, 꽃등에의 발생이 많았다.

점박이응애와 천적인 3종 이리응애의 접종수준별 밀도 변동 (Density Fluctuation of Tetranychus urticae and Three Predatory Mite Species(Phytoseiidae) by the Differently Infested Levels)

  • 이영인;권기면;이순원;류하경;류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7-242
    • /
    • 1997
  • 폿트 재배한 강낭콩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를 먹이로 제공하여 야외와 온실에서 3종 이리응애에 의한 점박이응애에 밀도 조절 작용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6-7일 야외에서 A. fallacis는 점박이응애와 이리응애의 접종밀도 비율이 4:1, 10:1, 20:1 수준에서 접종 17일 후에 점박이응애의 밀도억제가 가능하였으나, A. womersleyi는 4:1에서만 밀도억제가 가능하였고, T. occidentallis는 4:1에서 접정 30일 후와 10:1, 20:1의 비율에서는 점박이응애 밀도억제가 전혀 불가능하f였다. 9월에 온실에서 점박이응애와 이리응애의 밀도를 10:1로 접종하였을 때 A. womersleyi는 초기 점박이응애 밀도억제가 가능하였으나 13일 이후에는 불가능하였고, A. womersleyi는 접종밀도보다 감소하였다. A. womersleyi는 초기부터 안정된 밀도가 유지되어 점박이응애 밀도억제 효과가 지속적이었다. T. occidentallis는 후기에 밀도가 증가하여 점박이응애 후기 밀도억제가 가능하였다.

  • PDF

감귤해충의 종합적방제에 관한 연구(2) 루비붉은좀벌(Anicetus beneficus)도입에 의한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의 방제효과 (Studies on Integrated Control of Citrus Pests (2) Control of ruby states (Ceroplastes rubens) on citrus by introduction of a parasitic natural enemy, Anicetus beneficus (Hymenoptera, Encyrtidae))

  • 김홍선;문덕영;박중수;이승찬;;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10
    • /
    • 1979
  • 기생봉인 루비붉은좀벌(Anicetus beneficus)을 1975년 일본에서 도입하여 제주도에 방사시키고 루비깍지 벌레 방제를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한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감귤의 주요해충인 루비깍지벌레는 년 1회 발생하였고 부화시류는 6월하순부터 8월초순이었고 부화최성기는 7월 중순이었다. 2. 루비붉은좀벌은 1975년 방사이래 16개 지역에 분포되었다. 3. 루비붉은좀벌의 기생율증가로 루비깍지벌레의 밀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평균기생율은 1975년 $1.7\%$ 1976년 $14.\%$ 1977년 $31\%$ 1978연에는 $37\%$였다.

  • PDF

충북지역 농촌마을 정미소의 건축적 특성 - 충주시 엄정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Rice Mill in the Rural Village in the Chungbuk Area - Focused on Eomjeong Myeon Chungju City -)

  • 박헌춘;김승근;한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33-42
    • /
    • 2006
  • The rice mill occurred from modernization process of the farming village. It comes to follow in intention of the architect and is not the position building. By the user of the building it comes to follow necessary and it is a position thing. The like this rice mill was the community center of the village. Also the material which is unique and form quality were land mark of the village. The object of research is the rice mill where it takes charge of a like this role. And the scope of research is 8 rice mills of Eomjeong Myeon Chungju City which is located in the northern Chungbuk area. The progress of research the documentary survey, actual measurement, question, field work it analyzed the construction quality which the rice mill keeps with base and it arranges. The results of study are follows; 1. conditions of location : The rice mill the entrance of the village, the crossroads system is formed most the place is doing in the place which well. 2. The inside composition of a space : In order to compose the work space and the store space efficiently the plane surface is doing a rectangular form. 3. Form of roof : The roof raises the efficient characteristic of the work where is not the design which is intended to be naturally formed from the space composition for. 4. Selection of material : Most it was a natural enemy and an utility, it selected the scientific material and it used.

  • PDF

생태하천으로 조성된 반석천의 물새류 출현특성 (Appearance Characteristic of Waterbirds in Banseok Ecological Stream)

  • 박승기;나상수;박대순;한재봉
    • 농촌계획
    • /
    • 제26권1호
    • /
    • pp.89-99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research to create a sound and vital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city compared to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Gap stream(G-stream), which are the main stream of Banseok stream(B-strea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waterbirds, including Wild Spot-billed Duck (S-Duck), that live in B-stream built as ecological stream. The waterbird survey was conducted by the line census for 3.2km, Jukdong-bridge to Jamiseon-bridge, from January to August 2018. The analysis of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Relative species density(RD) of the emerging waterbird species, the Species diversity and Density Per Unit area for 100㎡(DPU). The waterbird survey results of B-stream was conducted 65 times. The five types of water birds that appeared during the survey were Spot-billed Duck(Anas poecilorhyncha), Teal(Anas crecca), Little Egret(Egretta garzetta), Great Egret(Egretta alba), and Grey Heron(Ardea cinerea). As a result, for S-Duck at B-stream, RD was 89.9%, monthly species diversity was simple as 0.3801 in January, 0.5943 in February and 0.3501 in August. The DPU of the S-Duck was 0.165/100㎡ in the B-Stream survey section which was 4.9 times higher than the main stream section, G-stream. The non-freezing zone of the city's small stream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winter stop for wild birds such as S-Duck during the freezing period of the huge stream. For this reason, consider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waterbirds such as S-Duck when creating ecological stream, a: space and linear selection of waterways which can minimize the impact of natural enemy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walkers, b: management water-friendly plants in the low flow channel, c: arrangement walking-bicycle road will be necessary.

Dietary Risk Assessment of Snf7 dsRNA for Coccinella septempunctata

  • Jung, Young Jun;Seol, Min-A;Choi, Wonkyun;Lee, Jung Ro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3호
    • /
    • pp.210-218
    • /
    • 2021
  • Recently, pest-resistant living modified (LM) crops developed using RNA interference (RNAi) technology have been imported into South Korea. However, the potential adverse effects of unintentionally released RNAi-based LM crops on non-target species have not yet been reported. Coccinella septempunctata, which feeds on aphids, is an important natural enemy insect which can be exposed to the double-stranded RNA (dsRNA) produced by RNAi-based LM plants. To assess the risk of ingestion of Snf7 dsRNA by C. septempunctata, we first identified the species through morphological analysis of collected insects. A method for species identification at the gene level was developed using a specific C. septempunctata 12S rRNA. Furthermore, an experimental model was devised to assess the risk of Snf7 dsRNA ingestion in C. septempunctata. Snf7 dsRNA was mass-purified using an effective dsRNA synthesis method and its presence in C. septempunctata was confirmed after treatment with purified Snf7 dsRNA. Finally, the survival rate, development time, and dry weight of Snf7 dsRNA-treated C. septempunct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FP and vATPase A dsRNA control treatments, and no risk was found. This study illustrates an effective Snf7 dsRNA synthesis method, as well as a high-concentration domestic insect risk assessment method which uses dsRNA to assess the risk of unintentional released of LM organisms against non-target species.

오이에서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적용 효과 (Biological Control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Thysanoptera: Thripidae) on Cucumber, using Amblyseius swirskii(Acari: Phytoseiidae))

  • 김황용;김정환;강승호;이용휘;최만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55-359
    • /
    • 2009
  • 꽃노랑총채벌레의 초기 밀도가 엽당 18.3마리에 이르는 $1,600m^2$ 규모의 오이 포장에서 지중해이리응애를 오이 한 주 당 25마리 정도 1회 방사한 결과, 경제적 피해 없이 꽃노랑총채벌레를 방제하는데 성공하였다. 지중해이리응애는 방사 후 4주 만에 엽당 16.6마리까지 증가한 반면, 꽃노랑총채벌레는 엽당 2.1마리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꽃노랑총채벌레의 초기 밀도가 엽당 34.3마리로 비교적 높았던 온실에서 수직분포의 변동을 관찰한 결과, 방사 초기에는 지중해이리응애가 오이 하엽에 주로 분포하다가, 후기에는 상위엽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유해조류 퇴치 효과 향상을 위한 퇴치시스템 개선 (A Study on Bird Deterrent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pelling Harmful Birds)

  • 조용준;윤해룡;홍형길;오장석;우성용;송수환;김동우;강민수;서갑호;이영태;조재두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5-21
    • /
    • 2020
  • We improved the sound pressure of the speaker and allowed the speaker to rotate 360 degree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acoustic type bird repellent system. The prototype of the bird repellent system was developed by evaluating sound pressure characteristics by distance and direction and installing orchard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the extermination sound pressure increased from a distance of about 30 m to a maximum of 60 m, and through the rotary speaker, the extermination distance could be widened in all directions without specific di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