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Considerations of the Moat at the East and West

동.서양 해자(垓字)의 비교 고찰

  • Received : 2010.07.28
  • Accepted : 2010.09.13
  • Published : 2010.09.01

Abstract

A moat is a pond or waterway paved on the outside of a fortress that is one of the facilities to prevent enemy from approaching the fortress wall or classify it as the boundary space, and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at that was existed in the East and the West from ancient time to medieval time with the following result. First, the moat in the East was installed of natural moat and artificial moat at the same time while the moat in the West had the fortress built in naturally advantageous site to use natural most substantially more. Second, the moats of Korea were smaller in scal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Japan, China and the Western countries). Third, the fortresses in the East were built to protect towns or royal palace while the West had the fortress to protect the residence of kings, lords, great wealthy persons and the like, and they were used jointly with the natural moat and artificial moat to defend against the infiltration of enemy. Fourth, the Pungsujiri in the Orient is one of the numerous ideologies forming the supplementary ideologic system of Korean people that could not be denied as the perception that influences on Korean people after the Silla Dynasty, and this Pungsujiri was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castle. The moat surrounding the castle had the role to keep the good energy in the castle from escaping away. Fifth, the Ha-Ha technique in the west was designed to prevent the external power from infiltration by digging the ditch on the place applicable to the boundary of the garden site, rather than the fence. While walking around along the water-side path without knowing the existence of this ditch, when the road is discovered with the cut off in the ditch, people had the exclamation without actually recognizing such astonishment. It was originally the dike for military purpose during the medieval time that was designed to look into the garden without physical boundary surrounded with the vertical fence in the garden that by having the deep ditch like shape on the boundary line of the garden which was designed to form the farm by preventing various types of cattle from coming inside the garden and bring in the garden element for farms, forestry, agricultural land and the like.

해자란 성벽 외곽에 파 놓은 못 또는 물길로 적이 성벽에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하거나 이를 경계로 공간을 구분하고자 설치된 시설의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고대로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존재했던 해자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수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양의 해자는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동시에 설치하였으나, 서양의 해자는 천연의 요새지에 성(城)을 쌓아 자연적 해자를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한국의 해자는 일본 및 중국, 서양의 다른 국가에 비해 해자의 규모가 작다. 셋째, 동양의 성은 읍이나 왕궁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나, 서양에서는 왕이나 영주, 대저택, 부호의 저택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쌓았으며, 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자연적 해자와 인공적 해자를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넷째, 동양에서 풍수지리는 우리 민족의 기층적 사상 체계를 이루어온 수많은 사상들 중 하나로 신라 이후 우리 민족에게 깊은 영향을 끼친 관념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성의 위치를 정할 때에도 풍수지리를 고려하였다. 성을 둘러싸고 있는 해자는 성내에 있는 좋은 기(氣)가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다섯째, 서양에서 Ha-Ha수법은 담장 대신 정원 부지의 경계선에 해당되는 곳에 도랑을 파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도록 한 것으로서 이 도랑의 존재를 모르고 원로를 따라 거닐다가 갑자기 원로가 도랑으로 차단되고 있음을 발견하였을 때 부지불식 중에 지르는 감탄사로 원래 중세기 때의 군사용 호였는데, 정원에 수직적으로 담을 둘러치는 물리적인 경계 없이 정원을 바라볼 수 있게 정원의 경계선에 깊은 도랑과 같은 모양으로 파 놓음으로써 가축이 정원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고, 목장이나 산림, 경작지 등을 정원의 구성요소로 끌어들이는 역할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희(2009). 전통풍수지리교과서: 양택총괄. 풍수인테리어. 서울: 문예마당.
  2. 신미정(1998). 해자의 조경적 활용방안: 파리공원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심정보(1999). 한국읍성의 연구. 서울: 학연문화사.
  4. 이상준(1997). 경주월성의 변천과정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이원근(1980). 삼국시대 성곽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이재혁(1986). 조선시대 충청 해안지역의 성곽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유형원. 반계수록 권 22.
  8. 윤국병(1978). 조경사. 서울: 일조각.
  9. 윤성주(1985). 전주지방의 성곽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연구: 산성과 읍성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장경호(1987). 해자의 기원과 그 기능에 관한 고찰. 삼불 김원룡 교수 정년퇴임 기념총론집(II).
  11. 정용조, 박주성, 심우경(2010). 경주 월성의 해자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37-44.
  12. 정용조, 오휘영, 정재훈(2009). 진주성 일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93-102.
  13. 차용걸(2003). 한국의 성곽. 서울: 눈빛.
  14.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15. 한서대학교 박물관(2008). 해미읍성IV. 한서대학교 박물관 총서 제 10집.
  16. Tobey, G. B.(1984).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pp.131-135.
  17. Yoshihiro Kawamura(2006). Nijo Castle World Heritage. 京都新聞出版. pp. 45-49.
  18. 萬博藝林圖書 有限公司(2008). 紫禁城. 外文出版社. pp.8-87.
  19. http://blog.naver.com/pondfire/140049509772.
  20. http://blog.naver.com/3byuno/43836766.
  21. http://blog.naver.com/jandk2001.
  22. http://cafe.daum.net/joyzit/Jiy6/319.
  23. http://en.wikipedia.org/wiki/mo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