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80MPa 고강도 콘크리트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6초

고강도 후크형 강섬유로 보강된 콘크리트의 압축 및 휨 성능 (Compressive and Flexural Properties of Concrete Reinforced with High-strength Hooked-end Steel Fibers)

  • 왕기;김동휘;윤현도;장석준;김선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209-217
    • /
    • 2021
  • 이 논문은 고강도 후크형 강섬유 보강량과 형상비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 및 휨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룬다. 이를 위하여 총 10개 콘크리트 배합이 계획되었다. 설계기준강도 30 MPa인 콘크리트에 형상비(l/d)가 64, 67, 80인 강섬유를 0.25%, 0.50%, 0.75% 혼입하여 강섬유 보강콘크리트가 제조되었다. 형상비 64, 67, 80인 강섬유의 인장강도는 각각 2,000, 2,400, 2,100 MPa이다. 시험 결과로부터 고강도 후크형 강섬유의 혼입량은 콘크리트의 압축 및 휨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섬유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푸아송비 및 압축인성은 향상되었으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균열발생후 휨거동의 특성을 나타내는 잔여 휨강도 및 노치에서 시작된 균열면에서 에너지 소산능력은 강섬유의 혼입률 및 형상비에 따라 크게 좌우되었다. 특히 MC2010에서 정의된 사용 및 극한 상태한계에서의 잔여 휨강도는 강섬유 혼입량과 형상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TBM 터널 세그먼트용 60 MPa급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휨성능 평가 (Flexur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FRC with design strength of 60 MPa)

  • 문도영;강태성;장수호;이규필;배규진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175-1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Model Code 2010에 제시된 실험방법에 근거하여 설계강도 60MPa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강도와 잔존강도, 휨인성을 평가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설계강도 40MP의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도 실험하였다. 또한, 배합의 평가를 위하여 파괴된 시험체의 파괴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강섬유의 분산도를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강섬유는 형상비 64, 67 및 80의 국내산 후크 강섬유이다. 강섬유 혼입률은 체적에 대하여 0.5%로 동일하다. 실험결과, 설계강도 60MPa에서는 형상비가 큰 강섬유가 혼입된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만이 Model Code 2010에서 제시된 요구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큰 형상비의 강섬유가 심대한 균열에서 충분한 인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섬유의 고른 분산도 확보를 위해서는 낮은 슬럼프가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재 재하조건 Fiber Cocktail을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의 전열 특성 및 화재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Performance and Heat Transfer of HPC Column with Fiber-Cocktail in ISO Fire under Loading Condition)

  • 김흥열;김형준;전현규;염광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9-39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전열특성 및 화재거동을 구명하기 위해 실증실험과 수치해석을 병행하였으며, 화재실험조건 및 제약 상황으로 인해 실험을 통해 도출할 수 없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성상은 수치해석을 통해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수치해석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 검증하여 해석기법의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80 MPa 및 100 MPa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전열특성 및 화재거동을 상용 소프트웨어인 아바쿠스(V.6.8)를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증실험결과 폭렬저감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경우 무 혼입 콘크리트에 비해 표준화재조건에서 약 25~55% 정도의 기둥 수축량이 제어되어 내화성능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섬유혼입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전열특성이 제어되어 기둥부재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표면반발경도와 초음파 속도를 활용한 고강도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 (Estimating the Compressive Strength of High-Strength Concrete Using Surface Rebound Value and Ultrasonic Velocity)

  • 김민욱;오홍섭;오광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9
    • /
    • 2016
  • 저자들은 비파괴시험에 의한 고강도콘크리트의 강도 예측식을 제안하기 위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콘크리트의 설계압축강도는 40~80 MPa 범위이며, 압축공시체를 제작하여 반발경도법과 초음파 속도법으로 실험한후 KS기준에 따라 압축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제안된 다양한 실험예측식들과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도 반발경도법과 초음파속도법의 경우 간편성과 신뢰성에 있어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하기에 충분한 유용성을 확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식들과의 비교를 통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에 적합한 강도예측식을 제안하였으며, 실험결과에 대한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섬유(PP, NY)를 혼입한 60, 80MPa 3성분계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특성 (Spalling Properties of 60, 80MP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Fiber)

  • 김성덕;김상연;배기선;박수희;이범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9
    • /
    • 2010
  • 본 연구는 고강도콘크리트의 내화성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섬유(PP+NY) 혼입율 변화에 따른 60 MPa, 80 MPa 3성분계 고강도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강도특성을 검토하고 내화시험을 통해 폭렬현상을 확인하였다. 섬유(PP+NY) 혼입율을 0%, 0.05%, 0.1%, 0.2%로 산정하여 실험한 결과, 유동성 및 강도가 미세하지만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목표 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시간 내화 후 폭렬특성으로 0%에서는 폭렬현상이 나타났지만, 0.05%이상에서는 표면에 미세한 균열만 발생하고 피복 탈락현상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렬이 발생되지 않은 공시체의 경우 잔존압축강도율이 5 ~ 6%로 나타났다. 이상 적은 양의 섬유(PP+NY)혼입율인 0.05%이상에서 폭렬현상이 방지되어 가장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기섬유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Study on the Spalling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Synthetic Fiber)

  • 전찬기;전중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8-26
    • /
    • 2012
  • 최근 건축구조물에 있어서 초고층화, 대형화의 요구에 의해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는 화재 시 발생하는 폭렬현상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폭렬은 화재 시 콘크리트 피복의 손실을 초래하여 내부콘크리트와 철근의 열전달률을 높여 콘크리트와 철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 시 폭렬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섬유, 강섬유를 콘크리트에 혼입한 연구들에 의해 폭렬제어성능이 입증되었으나, 섬유 혼입에 따른 유동성 저하 및 시공성 불량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스테르계 윤활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코팅액으로 코팅된 Polyamide 섬유를 콘크리트에 혼입하여 내화성능 및 시공성을 확보하였으며, 강도영역별 적정 조건을 실험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13mm의 polyamide 섬유 적용시 강도영역별로 60MPa에서는 $0.8kg/m^3$, 80MPa에서는 $1.0kg/m^3$, 100MPa는 $1.5kg/m^3$이상 혼입시 폭렬 제어 및 시공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휨을 받는 압축강도 8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구조거동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r of High-strength Concrete Members with Compressive Strength of 80 MPa Subjected to Flexure)

  • 양인환;황철성;김경철;조창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1-1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휨을 받는 압축강도 80 MPa 수준의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구조거동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변수는 보통(SD 400) 및 고강도(SD 600)철근, 0.98~1.58%의 종방향 철근비, $200{\times}250$, $200{\times}300mm$의 단면크기를 고려하였다. 9개의 보 부재를 제작하여 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극한휨강도, 하중-처짐 관계, 균열 형태, 파괴형상 및 연성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는 철근비가 증가함에 따라 휨강도는 증가하고 연성은 감소한다. 또한, 철근비가 증가함에 따라 균열의 개수가 증가하며 균열폭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철근의 강도 등급에 따른 하중-균열폭 관계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콘크리트 비선형거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극한하중 예측값과 측정값을 비교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휨거동 예측 결과는 실험부재의 휨강도를 전반적으로 과소평가하고 있다.

부산롯데타운용 고강도 콘크리트 현장 적용을 위한 Mock-up Test (Field Mock up Test of High Strength Concrete for Busan Lotte Town)

  • 문형재;박순전;허진욱;구자술;정연승;이양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23-224
    • /
    • 2009
  • 이 연구는 부산롯데타운의 코어부분에 적용할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하여 부산지역의 원재료를 활용 하여 8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현장 Mock-up Test 를 실시한 결과이다. 3개 배합을 바탕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 유동 특성은 목표 요구 성능을 모두 만족하였다. 수화열은 혼화재 치환율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75$\sim$85$\circ$C 의 범위로 나타났고 압축강도의 경우 현장 양생 공시체는 목표 시간에 요구강도를 만족하였다.

  • PDF

내화피복재에 따른 80MPa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렬 특성 평가 (Evaluation on Spalling Properties of 80MP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Fireproof Coating)

  • 박귀민;김규용;최경철;윤민호;이영욱;황의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6-127
    • /
    • 2015
  • Because of the high-rise and bigger building structure, high strength concrete's demand was increased. However, chemicophysical property of concrete is changed by high temperature.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on spalling properties of 80MPa high strength concrete with fireproof coating. The result, when complex fireproof coating spread on concrete, it has good fire safety that was thinner than single fireproof coating spread on concrete.

  • PDF

고강도 시멘트 경화체의 특성에 미치는 미세골재 및 혼화재료의 영향 (Effect of Micro-aggregate and Admixtures on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Hardened Cement Paste)

  • 김정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149-157
    • /
    • 1994
  •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인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HPMC), 미세골재 및 혼화재료를 사용하여 W/C=0.1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고 twin roll mill로 혼합 성형한 후 60일간 양생하여 고강도 시멘트 경화체를 제조하였다. 이 경화체에 대한 휨강도 및 파괴인성을 검토하였다. SiC 분말 및 백색시멘트를 첨가한 경우 휨강도는 약 100MPa정도, 탄성계수는 80-95GPa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리카흄을 첨가한 경우 휨강도는 80MPa, 탄성계수는 60GPa의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