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6 MV

검색결과 866건 처리시간 0.023초

Cloning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Coat Protein Genes of Two Isolates of Apple mosaic virus from ¡?Fuji¡? Apple

  • Lee, Gung-Pyo;Ryu, Ki-Hyun;Kim, Hyun-Ran;Kim, Chung-Sun;Lee, Dong-Woo;Kim, Jeong-Soo;Park, Min-Hye;Noh, Young-Mi;Choi, Sun-Hee;Han, Dong-Hyun;Lee, Chang-H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59-265
    • /
    • 2002
  • Apple mosaic virus (ApMV), a member of the genus Ilarvirus, was detected and isolated from diseased 'Fuji' apple (Malus domestica) in Korea. The coat protein (CP) genes of two ApMV strains, denoted as ApMV-Kl and ApMV-K2, were amplified by using the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re analyzed thereafter. The objectives were to define the molecular variability of genomic information of ApMV found in Korea and to develop virus-derived resistant gene source for making virus-resistant trans-genic apple. RT-PCR amplicons for the APMVS were cloned and their nucleotide sequences were determined. The CPs of ApMV-Kl and ApMV-K2 consisted of 222 and 232 amino acid residues, respectively. The identities of the CPs of the two Korean APMVS were 93.1% and 85.6% at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sequences, respectively. The CP of ApMV-Kl showed 46.1-100% and 43.2-100% identities to eight different ApMV strains at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respectively. When ApMV-PV32 strain wa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ApMV strains shared over 83.0% and 78.6% homologies at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respectively. ApMV strains showed heterogeneity in CP size and sequence variability. Most of the amino acid residue differences were located at the N-termini of the strains of ApMV, whereas, the middle regions and C-termini were remarkably conserved. The APMVS were 17.(1-54.5% identical with three other species of the genus Ilarviyus. ApMV strain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ubgroups (subgroups I, II, and III) based on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CP gene in both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Interestingly, all the strains of subgroup I were isolated from apple plants, while the strains of subgroups II and III were originated from peach, hop, or pear, The results suggest that ApMV strains co-evolved with their host plants, which may have resulted in the CP heterogeneity.

무기 금속 고분자 막을 도포시킨 유리질 탄소전극을 이용한 메탄올과 L-ascorbic acid의 양극 산화 거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odic Oxidation Behavior of Methanol and L-Ascorbic Acid by Using Glassy Carbon Electrodes Modified with Inorganic-Metal Polymeric Films)

  • 유광식;우상범
    • 분석과학
    • /
    • 제11권5호
    • /
    • pp.347-3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유리질 탄소 전극 표면에 혼성원자가를 가지는 무기 금속 고분자 막을 도포한 변형전극을 제조하고, 이들 변형전극의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순환 전압 전류법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들 변형전극들을 작업전극으로 하여 메탄올과 L-ascorbic acid의 양극산화 거동을 조사하였다. Mixed valence rethenium oxo/cyanoruthenate(mv Ru-O/CN-Ru) 막, mv ruthenium oxo/cyanoferrate(mv Ru-O/$Fe(CN)_6$) 막, 및 mv ruthenium oxo/cyanoruthenate/Rhodium(mv Ru-O/CN-Ru/Rh) 막을 각각 도포하는 과정은 지정된 전위범위를 50 mV/sec의 주사속도로 전위를 걸어줌으로써 쉽게 도포할 수 있었으며, 동일한 과정을 반복 주사함으로써 막의 두께를 조절 하였다. 메탄올의 양극 산화거동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mv Ru-O/CN-Ru 변형전극에서 메탄올의 검정곡선은 농도 기울기가 $-7.552{\mu}A/mM$로서 10 mM에서 80 mM 까지의 농도범위에서 비교적 좋은 감도를 보였다. mv Ru-O/$Fe(CN)_6$ 변형 전극의 경우에 농도 기울기는 $-5.13{\mu}A/mM$ 이었지만, 농도에 대한 전류관계의 직선 범위는 10 mM에서 100 mM까지로서 Ru 고분자 막 변형전극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좋은 직선관계를 보였다. mv Ru-O/CN-Ru 막을 두 종류의 바탕전극에 각각 도포한 변형전극에 대하여 L-ascorbic acid의 양극 산화거동을 조사한 결과, 유리질 탄소 전극에 Ru 고분자 막을 입힌 변형전극이 Rh 막을 도포한 유리질 탄소전극에 Ru 고분자 막을 입힌 변형전극(mv Ru-O/CN-Ru/Rh)에서 보다 감도가 예민하였다. Ru 고분자 막 변형전극을 사용했을 경우에 검정곡선은 0.1 mM에서 5 mM 까지의 L-ascorbic acid 농도 범위에서 직선관계를 보였고, 기울기와 상관계수는 각각 $-84.78{\mu}A/mM$, 0.998이었다.

  • PDF

SPECTRAL DUALITIES OF MV-ALGEBRAS

  • Choe, Tae-Ho;Kim, Eun-Sup;Park, Young-Soo
    • 대한수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1111-1120
    • /
    • 2005
  • Hong and Nel in [8] obtained a number of spectral dualities between a cartesian closed topological category X and a category of algebras of suitable type in X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formalism of Porst and Wischnewsky[12]. In this paper, there arises a dual adjointness S $\vdash$ C between the category X = Lim of limit spaces and that A of MV-algebras in X. We firstly show that the spectral duality: $S(A)^{op}{\simeq}C(X^{op})$ holds for the dualizing object K = I = [0,1] or K = 2 = {0, 1}. Secondly, we study a duality between the category of Tychonoff spaces and the category of semi-simple MV-algebras.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for any $X\;\in\;Lim\;(X\;{\neq}\;{\emptyset})\;C(X,\;I)$ is densely embedded into a cube $I^/H/$, where H is a set.

고에너지 선형가속기의 Independent Collimator를 이용한 비대칭 방사선 조사시 방사선량 결정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Dual Photon Energy Using Independent Collimator Jaws)

  • 김정기;최영민;이형힉;허원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37-244
    • /
    • 1996
  • 목적 : 의료용 선형가속기의 Independent Collimator는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사선량의 계산과 MU(Monitor Unit)의 계산에 사용되는 모든 기본 자료는 대칭 조사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independent collimator를 사용한 비대칭적인 조사면의 경우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계산 방식을 그대로 적용함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의문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Dual Photon Beam(6MV와 15MV)을 산출(産出)하는 선형가속기(Linac 1800, Varian Co)에서 collimator 사용시 산란 방사선의 총채로 표현되어지는 field size factor, beam qualify에 영향을 미치는 HVL와 PDD를 조사하였다. 먼저 field size factor는 water phantom(WP 600C Wellhofer, Germany)내의 Dmax에서 field size $3{\times}3cm$에서 $35{\times}35cm$까지의 방사선량의 변화를 square field로 $1cm^2$씩 증가시켜 가며 0.6cc ion chamber(NE 2571)로 측정하였다. Beam quality는 100cm SSD(source-surface distance)에서 $5{\times}5$, $10{\times}10$, $15{\times}15$$20{\times}20cm$ field size로 0, 3 및 10cm off-axis distance와 dmax 4, 10, 15 및 20cm의 깊이에서 측정하였다. Dose distribution을 분석하기 위하여 film densitometer와 water phantom(IC 10 ion chamber)을 사용, $10{\times}10cm$ field size에서 5, 10 및 15cm의 off-axis distance까지의 방사선량의 분포를 관찰하고 대칭 방사선 조사면와 비교 분석하여 실제 isodose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결과: 1) Relative field size factor는 중심 축에서 off-axis lateral distance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였는데 6MV X-선의 경우 최대 $3.1\%$, 15MV X-선의 경우 최대 $5\%$까지의 변화를 보였다. 이때 off-axis factor를 구하여 교정을 하였을 경우 중심 축의 field size factor와 거의 유사한 값에 도달할 수 있었다. 2) Beam qualify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실험에서 HVL는 off-axis distance가 멀어질수록 감소하였고 PDD도 off-axis distance가 멀어지고 측정 깊이가 깊어질수록 감소되는 현상을 보였다. 통상적인 방사선 치료시에 이용되는 $5{\times}5cm$ 이상의 field size와 15cm 이내의 깊이에서는 3cm 와 l0cm의 off-axis에서 6MV X-선은 평균 $0.5\%$$2\%$, 15MV X선은 $0.4\%$$1.4\%$의 감소 현상을 보여 큰 편차를 관찰할 수 없었다. 3) Isodose distribution은 off-axis distance가 멀어질수록 depth dose의 증가치가 감소되었으며 특히 central axis의 가장자리 부위에서는 isodose curve의 위축이 확연하였다. 결론 : Independent collimator를 사용하여 비대칭 방사선 치료를 할 경우 MU의 계산은 off-axis factor와 PDD 보정이 필수적이며 임상적으로는 중심 축에서의 과소조사에 대한 정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료테이블과 콜리메이터가 전립선암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의 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uch and Collimator on Dose Distribution of RapidArc Treatment Planning for Prostate Cancer in Radiation Therapy)

  • 김형동;김병용;김성진;윤상모;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3권2호
    • /
    • pp.99-105
    • /
    • 2012
  • 치료 테이블 회전, 아크 간 콜리메이터 회전 각도가 광자에너지별 전립선암 래피드아크 치료계획의 선량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6 MV와 10 MV 광자 에너지에 대해 2 아크(two arcs)를 사용하여 아크 간 콜리메이터 각도 차이가 $0^{\circ}$, $15^{\circ}$, $30^{\circ}$, $45^{\circ}$, $60^{\circ}$, $75^{\circ}$, $90^{\circ}$인 경우와 치료 테이블 회전 유무에 따라 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선량 최적화를 위한 표적 및 중요 장기의 선량 제한치(dose constraints)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계산하였고 선량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CI (Conformity index), HI (Homogeneity index), QOC (Quality of Coverage) 등의 정량화된 선량 지표를 구하여 각 치료계획의 최적화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치료계획표적용적과 중요장기의 선량 지표 차이는 3.6% 이하로 광자에너지, 치료테이블, 아크 간 콜리메이터 각도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표적에서 먼 정상조직의 경우 저 선량 영역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좌우 대퇴골두의 V15%는 6 MV 일 때 각각 6.4%, 5.5% 높았고, 치료테이블 회전 시에는 23.4%, 24.1% 높게 나타났다. 표적에서 먼 영역(Far Region)의 V10%는 6 MV 일 때 54.2 cc, 치료테이블 회전이 없을 때 343.4 cc, 아크 간 콜리메이터 각도가 $0^{\circ}$일 때 457.8 cc 크게 나타났다.

6 MV 광자 빔에 대한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의 교정 (Calibration of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nanoDot Dosimeter for 6 MV Photon Beam)

  • 김종언;김성후;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3-9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6 MV 광자 빔에 대한 광자극형광나노닷선량계(OSLnD)의 교정을 조사하는 데 있다. OSLnD의 선량반응 분석으로부터 선형 및 비선형 교정의 선량범위들은 결정을 하였다. 교정 및 교정식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정 및 품질관리선량계의 세트들은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교정들은 각각 0~300 cGy 및 20~1300 cGy 선량범위에서 선형 및 비선형적으로 수행하였다. 교정의 오차들은 선형 및 비선형 교정에 대하여 품질관리선량계들의 측정으로부터 각각 0.1% 이하로 얻었다. 이 연구는 6 MV 광자 빔에 대한 OSLnD의 교정식을 제공한다.

Photon Beam에 대한 Kerma와 흡수선량의 측정 (A Measurement of Kerma and Absorbed Dose in Photon Fields)

  • 김성희;신승애;추성실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77-82
    • /
    • 1986
  • Kerma와 흡수선량 사이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선량측정의 기본적인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에너지 치료용 선형가속기의 6MV X-선과 감마치료기의 $^{60}Co$에 대한 kerma와 흡수선량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결과는 $^{60}Co$감마선에 의한 물과 알루미늄의 과도 평형 영역에서의 흡수선량이 실제적으로 kerma와 일치하였으며, 최대선량 깊이는 6MV와 $^{60}Co$에서 각각 $1.45g/cm^2$$0.48g/cm^2$이었다. 최대 build-up에서의 흡수선량과 표면에서의 충돌 kerma의 비($K^{att}$)는 표준 조사면에서 물과 알루미늄에 대해, 6MV인 경우는 0.949, $^{60}Co$인 경우는 0.992이었다. 이 결과는 $K^{att}$의 물질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작음을 보여준다.

  • PDF

국내 유통 주요 사과나무 묘목의 바이러스 감염 실태 (Survey on Virus Infection for Commercial Nursery Trees of Major Apple Cultivars in Korea)

  • 이성희;권의석;신현만;남상영;홍의연;김병관;김대일;차병진;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55-362
    • /
    • 2017
  •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사과나무 묘목의 바이러스 감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과 '홍로'와 '후지' 및 '후지' 아조변이 품종을 구입하여 5종류의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여부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홍로' 품종의 접수 부위는 ACLSV, ASPV 및 ASGV에 각각 100%, 81.3% 및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ApMV와 ASSVd에는 전혀 감염되지 않았다. '홍로' 품종의 대목 부위에 대하여, ACLSV, ASPV 및 ASGV의 감염률은 각각 87.5%, 81.3% 및 100%이었고 ApMV와 ASSVd의 감염률은 각각 12.5% 및 6.3%이었다. '후지' 품종 및 '후지' 아조변이 품종의 접수 부위는 ACLSV, ASPV 및 ASGV에 각각 86.7%, 86.7% 및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ApMV와 ASSVd에는 전혀 감염되지 않았다. 대목 부위는 ACLSV, ASPV 및 ASGV에 각각 86.7%, 93.3% 및 93.3%의 감염률을 보였고 ApMV와 ASSVd에 대한 감염률은 각각 12.5%와 6.3%이었다.

6 MV 광자선의 선량 상승 영역에 대한 자기장 영향 (Effect of Transverse Magnetic Field on Build-up Region of 6 MV Photon Beam)

  • 신성수;최원식;안우상;곽정원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8-22
    • /
    • 2017
  • 저 강도 자기장을 이용하여 기존의 6 MV 광자선에 대한 선량 상승보다 향상된 선량 변조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선량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0.5 T (Tesla) 강도를 지니는 두 개의 네오디뮴 영구 자석을 광자선에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였다. 자석과 자석 간의 거리(MMD)와 자석과 물 표면 간의 거리(MSD)에 따라 자기장을 인가한 경우와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서의 선량 상승 영역의 선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석과 자석 간의 거리가 6 cm이고 자석과 물 표면 간의 거리가 2.5 cm 조건에서 기존 6 MV 광자선의 선량 상승 곡선과 비교하여 $D_{0mm}$, $D_{2mm}$, $D_{5mm}$, $D_{10mm}$ 가 각각 6.8 %, 14.6 %, 6.9 %, 2.1 %의 향상된 선량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와 매우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는 표적 체적을 방사선 치료할 경우, 인체 외부에 바로 자기장을 인가하면서 기존 광자선보다 향상된 선량 상승을 기대할 수 있어 임상 적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