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 building model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6초

Hands-on Education Module for Modular Construction, 3D Design, and 4D Schedule

  • Kithas, Kyle A.;Choi, Jin Ou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84-491
    • /
    • 2022
  • A paradigm shift in teaching modular co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and K-12 is proposed as a means to increase the future adoption of the modular construction technique. To this effect, a new education module is presented to STEM educators. This education module is based on LEGOs and directed towards educators in the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EC) industry. The main objectives of the education module are to increase interest and knowledge of modular construction, acknowledge the benefits of using 3D design with 4D scheduling, and create a simulating hands-on educational opportunity. The education module is designed to allow participants to experience a hands-on simulation of modular construction and stick-built construction through building a LEGO project. Participants are challenged to fi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both construction systems first-hand and record their findings. Results are presented from the preliminary testing of this education model on a group of construction management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Overall,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LEGO education module was successful at achieving the project's three main objectives: 1) increasing the participants' interest and knowledge of modular construction through an interactive project; 2) increasing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benefits of 3D design with 4D scheduling over the use of 2D drawings; and 3) creating a simulating hands-on educational opportunity to help participants compare modular construction to stick-built construction. In the end, this proposed a new LEGO education module addressing the problems identified from this study with more participants.

  • PDF

BIM 모델을 활용한 2D 전자도면 대체 가능성 분석 -도로분야 전자납품체계를 대상으로- (Analysis of Substitutability of 2D Electronic Drawing Using the BIM Model -Focusing on the Electronic Delivery System in Road Field-)

  • 서명배;주기범;김남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41-450
    • /
    • 2013
  • 최근 토목분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발주가 늘어남에 따라 발주처에서는 BIM 기반 성과품을 납품받고 있으나 관련지침 등이 미흡하고 작성방법, 수준, 성과품 목록 등이 구체적이지 않아 기존 2D기반의 성과품과 혼용해서 납품받고 있다. 이는 설계사나 시공사의 업무가중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관리해야 할 자료가 많아져 발주처에서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존 2D 기반의 전자납품체계가 BIM발주체계로 전환될 경우 BIM모델에서 추출하여 활용하거나 대체가 가능한 2D기반의 성과품들을 조사하여 중복된 성과품을 최소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의 실시설계가 완료된 도로공사를 대상으로 BIM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근간으로 총 3,767개 도면항목에 대해 2D도면 추출 가능여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67%인 2,549개의 도면항목이 BIM모델에서 2D도면으로 추출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연결종합, 토공, 부대공 등과 관련된 도면항목들의 대체효과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BIM 관련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시 2D 도면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 계획을 위한 공간정보오픈플랫폼의 활용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for Design and Planning of Route Unused Land)

  • 이동국;고제웅;이현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5-106
    • /
    • 2015
  • 유휴공간은 기존 도로의 선형개량 및 신규노선 건설, 도로 확장공사 등으로 도로 본래 기능을 상실하여 방치된 도로 부지로 추가적인 활용이 가능한 공간이다. 그러나 현재 일부 유휴공간은 과적 검문소, 자재 적치장, 차량 대기소 등의 소극적인 유지관리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부분의 유휴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방안과 활용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브이월드)를 이용하여 유휴공간의 입지조건, 지형특성, 지역 및 문화 특성을 분석하고 유휴공간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였다. 유휴공간의 유형에 따라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이용해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주변 환경과 경관을 고려한 활용 및 개발 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강원권 국도 유휴공간의 개발계획 및 설계방안을 도출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Exploring Governance Models of Science & Research Parks and Related Organizations

  • Kang, Byung-Joo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3권1호
    • /
    • pp.39-54
    • /
    • 2014
  • Recently, investment to basic science has been increased and infrastruc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een expanded in developed countries like U.S.A, UK and Japan to foster high-tech industries. Science and research parks are built and under operation to acquire national competitive power and to activate regional economy over the world today. It is argued that more synergy effects are generated when science and research parks are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such as firm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s than it is operated by one organiz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governance model of science and research parks. One comprehensive model and three individual governance mode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relations of industry-science/research park-supporting organization interactions. When governance model of science and research parks is established and properly managed, national development capacity would be greatly enhanced through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y transfer, industrial production rise and enhancement of efficiency in the area of R&D and supporting system etc. One of the key factors in building governance system for science and research parks is establishing a control tower that supervises governance system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U-City 건설을 위한 LiDAR 자료를 이용한 도심지 도로교통소음 영향의 시뮬레이션 분석 (Noise Simulation of Road Traffic in Urban Area Using LiDAR Data for U-City Construction)

  • 조재명;이동하;윤홍식;이승헌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9-20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주요한 소음원의 하나인 도로교통소음의 도심지에서의 전파양상과 피해정도의 명확한 분석을 위해 항공 LiDAR자료를 이용하여 건축물이 포함되지 않은 지형자료(DEM; Digtal Elevation Model) 및 건축물 정보가 포함된 지형자료(DBM; Digital Building Model)를 각각 작성하고, 각 자료별로 소음영향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건축물 정보가 없는 경우 도로교통소음의 전파로 인하여 연구대상지역의 약 60%의 면적이 60dB(A) 이상의 소음께 노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건축물 정보가 있는 경우는 약 30% 정도의 면적만이 노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온한 환경으로 인식되는$45{\sim}50dB$(A)소음도구간의 면적이 건축물이 없는 경우 0%에서 건축물이 있는 경우 43%로 나타나 건축물에 의해 도로교통소음의 전파양상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확한 도로교통소음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형상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으로 포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항공 LiDAR 측량 등을 통하여 전국적인 규모의 건축물 정보가 획득된다면, 도로교통량정보를 이용한 도로교통소음 영향평가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U-City 등과 같은 대규모 도시건설에서 소음문제예방, 교통계획 및 시공계획 수립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3차원 도시모델을 이용한 건물 일조권 분석 (Analysis of Daylight Availability Rights using 3D City-Model)

  • 유환희;구신회;조은래;김성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5-175
    • /
    • 2007
  • 오늘날 도시공간에 건축되는 건축물은 건물사이 공간을 크게 확보하여 건물내부에 충분한 일광을 얻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건물의 일조량은 건물의 높이뿐만 아니라 건물간의 간격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오늘날 고밀도 개발로 인하여 건물사이 간격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고 쾌적한 거주환경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면서 일조권 분쟁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AR 자료와 수치지도를 연계하여 3차원 국토정보를 구축한 후 일조권분석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을 이용하고 3차원 도시공간을 정확하게 시뮬레이션하여 각각의 세대별 일조권을 총 일조시간과 연속 일조시간으로 구분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일조권 침해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3차원 국토정보를 이용한 일조권분석방법은 지자체에서 도시계획 및 건축 인허가 업무를 수행할 때 보다 정확한 자료를 제공하여 줄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지리학 응용을 위한 시공간데이터베이스 기반의 GIS 컴퓨팅 연구 (Geocomputation with Spatio-Temporal Database for Time Geography Application)

  • 박기호;이양원;안재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3호
    • /
    • pp.221-237
    • /
    • 2005
  • 이 논문에서는 시간지리학 모형을 위한 객체관계형 시공간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고, 이를 통해 시공간경로, 시공간프리즘, 시공간접근성에 대한 질의 및 시각화를 수행하는 GIS 컴퓨팅을 연구한다. 이러한 GIS 컴퓨팅환경은 (i) 시공간데이터베이스의 자료원이 되는 개인통행자료를 수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ii) 시간지리학 모형을 포함하는 객체관계형 시공간데이터베이스 서버, (iii) 시공간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시간지리학 모형에 대한 질의와 시각화를 수행하는 3D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시공간 개인통행자료는 GPS-PDA 클라이언트를 통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자동 수집되고, 시공간자료관리 미들웨어의 중개를 거쳐 좌표변환 및 DB전송이 이루어진다. 일반 DBMS를 확장하여 구현한 시공간데이터베이스는 시간지리학 응용을 위한 시공간 객체 및 시공간함수를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시공간 SQL을 구성할 수 있다. 질의 및 시각화 클라이언트는 시공간경로, 시공간프리즘, 시공간접근성에 대한 SQL 질의 결과를 X-Y 공간축과 T 시간축으로 이루어진 시공간입방체를 통해 표현한다. 이 논문에서는 시간지리학 모형을 위한 모바일 GIS와 DBMS의 연동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시공간객체와 시공간함수를 포함하는 객체관계형 시공간데이터베이스의 구현을 통해 대용량 자료처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시간지리학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수립하였다.

  • PDF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주문진표준사의 함수특성곡선 및 상대투수율 예측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 and Relative Permeability of Jumunjin Sand Using Pore Network Model)

  • 서형석;윤태섭;김광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55-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극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사질토의 함수특성곡선을 수치해석적으로 획득하였다. 주문진표준사의 시편을 고해상도 3차원 X-ray CT 촬영하여 공극 영상을 획득하였고, 이를 공극방과 공극목으로 이루어진 관망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이 때 관의 반경은 공극목의 최소반경으로 정의하였다. 모세관압에 영향을 미치는 공극목의 반경은 세선화알고리즘과 유클리디언 거리변환을 통해 계산하였다. 수치해석적으로 얻은 함수특성곡선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수치해석 결과는 실험결과에 비해 공기함입치가 과대평가 되었으나 전체 모세관압은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다. 또한 실험결과로부터 도출된 상대투수율은 높은 포화도에서 수치해석 결과에 비해 큰 값을 보였다.

신경회로망과 3차원 지형데이터를 이용한 마이크로셀 전파손실 예측 (Microcellular Propagation Loss Prediction Using Neural Networks and 3-D Digital Terrain Maps)

  • 양서민;이혁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19-429
    • /
    • 1999
  • 전파의 유효 수신 신호 도달영역을 정확히 식별하는 것은 기지국 최적화를 이룩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다. 서울 도심 지역과 같이 고층건물이 밀집되어 있고, 넓은 도로와 좁은 도로가 불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고개와 강 등이 혼재된 지역에서도 높은 정확도를 갖는 전파손실 예측모델을 소개한다. 이 모델은 기 측정된 필드데이터로 훈련된 신경회로망을 기반으로 한다. 전파손실에 영향을 주는 가장 기본적인 변수들은 3차원 DEM 데이터와 벡터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신경회로망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학습이 완료된 신경회로망은 전파손실 모델의 근사함수이며, 학습에 사용된 필드 측정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은 타지역에서도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일반화 능력을 갖는다. 서울 도심 지역의 실제 서비스 환경에 대한 비교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모델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고령자 보행자립도(능력) 측정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lderly Walking Independence Index Model)

  • 노창균;박범진;문병섭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48-356
    • /
    • 2015
  • 앞으로 10년 뒤인 2026년 우리나라는 초고령화 사회(super aged society)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모든 분야에서 고령자 분석 및 대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교통 분야에서도 고령자의 보행 교통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를 줄이기 위한 연구개발과 정책적 보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고령자의 보행행태, 보행능력, 보행영향 요인 등의 기초적인 연구가 전무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논문 검토를 통해 보행능력(보행속도)을 일반, 건강, 운동요인 등 3개 분야로 구분하였다. 평균나이 72.6세의 고령자 52명을 대상으로 면접, 국민체력 100, SPBB, Cybex 등의 다양한 방법과 측정도구를 종합하여 3개 분야 총 12개의 세부 요인에 대한 측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일반요인인 연령, 체격 등은 보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며, 건강요인 중에는 하지 신근, 운동요인 중에는 평형성, 협응성, SPPB가 가장 보행속도에 가장 많은 영향이 있음을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고령자의 보행능력을 측정하는 보행자립도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고령자의 보행능력의 진단하여 교통 분야 고령자 보행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