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d index

검색결과 2,268건 처리시간 0.035초

관악기 연주자의 치주상태에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WIND INSTRUMENT PLAYING ON PERIODONTAL CONDITIONS)

  • 이원유;최성호;김성희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390-396
    • /
    • 199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wind instrument playing on the periodontal condi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wind instrument players and non-wind instrument players by various clinical paramenters, including periodontal index, bleeding index,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and non-functional tooth index. The subjects consist of 65 wind instrument players and 31 non-players. The playe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 Those who use cup-shaped mouthpieces as Group A, single reed mouthpieces as Group B, double reed mouthieces as Group C, and hole mouthpieces as Group D. Non-players are designated as Group 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eriodontal Index Group A recorded $1.2{\pm}0.7$, Group B $1.1{\pm}0.7$, Group C $1.3{\pm}0.5$, Group D $2.1{\pm}0.5$, and Group E $0.9{\pm}0.6$,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2. Bleeding Index Group A shwed 0.23, Group B 0.25, Group C 3.0, Group D 0.38, and Group E 0.23,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3. Non-functional Tooth Index Group A recorded 2.0, Group B 1.0, Group C 3.0, Group D 0, Group E 0.7,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4.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Buccal sides of maxillary 1st molars, lingual sides of mandibular 1st molars, labial sides of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lingual sides of mandibular anterior teeth were investigated,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 PDF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Aquatic Insect in Paddy Soil

  • Eom, Ki-Cheol;Han, Min-Soo;Lee, Byung-Kook;Eom, Ho-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3-172
    • /
    • 2013
  • 곡간지 (안성, 함양)와 평야지 (보은, 김제) 및 도시지역(군산, 수원)의 논토양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을 2009~2011의 3년간 채집 분류 동정하여, 전체 18 집구에 대하여, 12종류의 지표에 근거한 종 다양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형별 논토양에서 수집된 수서곤충의 개체 수는 곡간지 (35,932) > 평야지 (24,948) > 도시지역 (9,780) 순이었으며, 종수는 곡간지 (32) > 도시지역 (20) > 평야지 (18) 순이었다. 2. 조사대상지 18집구들에 대하여 2집구 간 153개 조합의 상호 유사도 (Similarity) matrix를 작성하였으며, 153개 조합전체의 유사도는 평균 0.542, 즉 전체 종의 약 54%는 최소 1개 이상의 다른 집구에서도 서식하고 있는 종으로 구명되었다. 3. 조사대상지 18집구 중에서 종 다양성이 다른 집구와 차이가 가장 큰 경우는 2009년 보은 평야지, 차이가 가장 작은 경우는 2010년 군산 도시지역 이었다. 4. 년차간 유사도 (0.659)가 지형간 유사도 (0.560)보다 높게 나타나, 어떤 종의 수서곤충이 같은 시기에 다른 지역에서 공동 서식할 가능성 (공간적 유사도 : Spacial similarity)보다, 동일 지역에서 이듬해에 또다시 서식할 가능성 (시간적 유사도 : Periodical Similarity)이 더 높다고 구명되었다. 5.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에 대한 18개 집구 간의 변이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개체수 (N, 70.0%) > 균등도-E3 (54.9%) > 균등도-E1 (49.6%) > 풍부도-R2 (40.5%) > 종수 (S, 35.3%) > 풍부도-R1 (33.7%) > 균등도-E2 (28.4%) > 균등도-E5 (15.9%) > 다양도-V1 (11.1%) > 균등도-E4 (6.3%) > 다양도-V2 (5.1%) > 우점도-D1 (4.8%) 순이었다. 6. 조사대상 18집구별 종 다양성 관련 12개 지표들 간 66개 조합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보여주는 correlation matrix를 작성하였고, 66개 조합 중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여주는 경우는 33개 조합의 경우이었다. 7. 종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10종류의 지수들 간 correlation matrix를 근거로 한 통계적 독립의 개념에 따라 지수간 관련성이 낮은 지수, 즉 풍부도지수 (R1, R2)는 R1, 다양도지수 (V1, V2)는 V1, 균등도지수 (E1, E2, E3, E4, E5)는 E2, 우점도지수는 D1이 수서곤충의 종 다양성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한 지표라고 판단되었다. 8. 수서곤충의 풍부도지수 (Richness index: R1)는 곡간지 논토양에서, 다양도지수 (Variety index: V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균등도지수 (Evenness index: E2)는 평야지 논토양에서 더 높았으며, 우점도지수 (Dominance index: D1)는 도시지역 논토양에서 더 낮았다.

THE INDEX OF THE CORESTRICTION OF A VALUED DIVISION ALGEBRA

  • Hwang, Yoon-Sung
    • 대한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9-284
    • /
    • 1997
  • Let L/F be a finite separable extension of Henselian valued fields with same residue fields $\overline{L} = \overline{F}$. Let D be an inertially split division algebra over L, and let $^cD$ be the underlying division algebra of the corestriction $cor_{L/F} (D)$ of D. We show that the index $ind(^cD) of ^cD$ divides $[Z(\overline{D}) : Z(\overline {^cD})] \cdot ind(D), where Z(\overline{D})$ is the center of the residue division ring $\overline{D}$.

  • PDF

한국 내륙지방 충주.중원지역 학동의 치아우식발생빈도에 관한 통계학적 연구 (STATISTICAL STUDY ON DENTAL CARIES INCIDENCES OF INLAND SCHOOL CHILDREN IN CHOONG CHUNG BUK DO OF KOREA)

  • 정태형;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1-189
    • /
    • 1984
  • 1,840 school children aged 6 to 13 years who live in inland area in CHOONG CHUNG BUK DO were surveyed epidemiologically on the dental caries preval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dental carries was 76.35 percentage in male, 76.15 percentage in female, and 76.25 percentage in both sexes. 2. d.m.f rate was 77.72 percentage in male, 80.07 percentage in female, and 78.86 percentage in both sexes. D.M.F rate was 30.73 percentage in male, 38.52 percentage in female, and 34.51 percentage in both sexes. 3. d.m.f.t. rate and index was 27.94 percentage,2.55T, and d.m.f.s. rate & index was 13.62 percentage, 6.22T. 4. D.M.F.T rate & index in permanent teeth was 4.86 percentage,0.72T, and D.M.F.S. rate & index was 1.20 percentage,0.89T. 5. The filling rate was 3.90 percentage in decidious teeth, 2,00 percentage in permanent teeth.

  • PDF

테라헤르츠 분광학을 이용한 중수(D2O)와 경수(H2O) 혼합물의 특성연구 (Terahertz Characteristics of D2O and H2O Mixtures)

  • 정중건;손주혁
    • 한국광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35-438
    • /
    • 2008
  • 중수($D_2O$, 산화중수소)는 수소원자(H)보다 중성자 한 개가 더 많은 수소원자 동위원소(D)로 이루어진 물이다. 중수는 자연 상태의 물 가운데 5만분의 1정도 존재하며 경수($H_2O$)와 매우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나 경수보다 11%정도 무겁고, 특이점은 235 K로 228 K인 경수와 약간의 차이를 가진다. 중수는 중성자를 흡수하여 원자로의 중성자 감속재로 쓰이고 최근 중수 농도에 따라 세포에 미치는 독성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이 발견 되어 암 치료에 사용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테라헤르츠 시간축 분광학을 이용하여 경수와 중수 혼합물의 농도별 굴절률과 흡수율 변화를 거대 분자간 결합에너지 영역을 포함하는 테라헤르츠 영역 ($0{\sim}2.5\;THz$)에서 측정하여 중수의 비율이 높을수록 굴절률은 감소하고 흡수율 또한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EXTREMAL ATOM-BOND CONNECTIVITY INDEX OF CACTUS GRAPHS

  • ASHRAFI, ALI REZA;DEHGHAN-ZADEH, TAYEBEH;HABIBI, NADER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83-295
    • /
    • 2015
  • The atom-bond connectivity index of a graph G (ABC index for short) is defined as the summation of quantities $\sqrt{\frac{d(u)+d(v)-2}{d(u)d(v)}}$ over all edges of G. A cactus graph is a connected graph in which every block is an edge or a cycl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btain the first and second maximum values of the ABC index among all n vertex cactus graphs.

폐경 전 여성에서 혈청 비타민 D 농도와 인슐린 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rum Vitamin D Levels with Insulin Resistance in Premenopausal Women)

  • 이지혜;홍준화;김현진;박강서;이재민;김병준;안규정;정비오;김성환;이성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13-722
    • /
    • 2009
  • Vitamin D levels have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vitamin D in postmenopausal women at Seoul and premenopausal women at Busan, and these studies showed that nearly no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the obesity index existed. However,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examin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rum vitamin D level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insulin resistance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obesity index (body mass index, percentage of body fat and waist circumference) in 180 premenopausal women (non-obese women 87.8%, obese women 12.2%) in spring (March~April), fall (September~October) and winter (January~February) at Daejeon. Serum vitamin D levels were lower in winter than in spring-fall, after adjusting for age and the obesity index. The frequency of vitamin D inadequacy (serum vitamin D levels were $\leq$ 20 ng/mL) was 45.5% in winter and, 23.5% in spring-fall, and which showed that vitamin D inadequacy was higher in winter than in spring-fal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rum vitamin D level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obesity index or insulin resista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obesity index or insulin resistance between the vitamin D inadequacy and normal group, an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the obesity index or insulin resistance in non-obese and obese premenopausal women, respectively. In conclusion, serum vitamin D levels in premenopausal women at Daejeon were lower in winter than in spring-fall, and the frequency of vitamin D inadequacy was higher in winter than in spring-fall. Serum vitamin D levels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obesity index or insulin resistance in premenopausal women, most of whom were not obese.

  • PDF

성인의 식사 다양성이 비만도, 혈압 및 혈중 지질패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als Variety on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of Korean Adults)

  • 전예숙;최미경;배윤정;승정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6-22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meals variety,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of Korean adults. A total of 308 adults(men 124, women 184) measured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blood pressure, dietary intake using 24-hour recall method, and serum lipid profile. The average ages of the study subjects were 50.9 yrs in men and 51.4 yrs in women.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166.3 cm, 68.4 kg, $24.7\;kg/cm^2$ in men and 154.3 cm, 59.8 kg, $25.0\;kg/cm^2$ in women, respectively. The numbers of food items in meal of men and women were 14.1, 15.9 for breakfast, 15.7, 15.9 for lunch, 14.7, 14.1 for dinner, respectively. The numbers of dish items in meal of men and women were 4.0, 4.3 for breakfast, 4.3, 4.3 for lunch, 4.2, 3.9 for dinner, respectively. The average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were 126.6/76.0 mmHg, 181.0 mg/dL, 157.7 mg/dL, 40.9 mg/dL, 108.6 mg/dL, 3.5 in men and 123.2/73.6 mmHg, 185.0 mg/dL, 137.3 mg/dL, 44.8 mg/dL, 112.7 mg/dL, 3.2 in women, respectively. The total cholesterol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number of food item for lunch(p<0.05). Therefore, more systematic studies to investigate the meal variety roles of blood lipids in meals of adults were required.

Being test의 임상청각학적 의의에 대한 고찰 (Studies on Audiological Significance of the Bing Test)

  • 이희배;차창일;노관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8년도 제12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3-8
    • /
    • 1978
  • 부음기관의 기능이 정상인 경우 1,000Hz 이하의 저음역에서 골도관치는 외이도를 폐새 하였을 때와 개방하였을 때 약 20dB의 차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외이도를 폐색하였을 때나 개방하였을 때 골도관치에 변화가 없으면 전음기관에 병변이 있음을 의미한다. 1891년에 Bing이 처음으로 외이도폐색에 의한 골도검사를 발표한 이래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본검사가 유용한 임상경력검사의 한방법으로서 인정되고Bing test로 알려지고 있다. Sullivan은 1947년에 250Hz, 500Hz, 1,000Hz에서 외이도를 폐색하였을 때와 개방하였을 때의 골도관치의 차이를 합한 것을 "Occlusion Index"라고 명명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bing test의 임상청각학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정상인 40이, 만성중이염환자 20이, 감각신경성난청환자 14이를 대상으로 순음청력검사, Bing test및 impedance audiometry를 시행하고 occlusion index와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여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Occlusion index는 정상인 40좌에서는 $33.10\pm1.68dB,$ 만성중이염환자 20이에서는 $3.10\pm0.69dB,$ 감각신경성난청환자 14이에서는 28.10=4.05 dB이었다. 2. 정상인 40이의 static compliance는 범위가 0.22~0.75cc, 평균치가 0.64cc, 5.D가 0.05이었다. 3. Static compliance가 작을수록 occlusion index는 컸고, static compliance가 클수록 occlusion index 는 작아지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 PDF

한국 송지천에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조성과 이를 이용한 수질 평가 (Species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Water Evaluation Using Their Species in the Songji River in Korea)

  • 이병룡;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80-587
    • /
    • 2019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수질 평가를 위해 다년간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송지천에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하여 이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동정된 동물은 3문 5강 12목 18과 20종 447개체였다. 집모기류(Culicini sp.)가 가장 우점종이었고(203개체), 두번째 우점종은 집파리(Musca do­mestica)였다. 다양한 생태학적 척도로 수질의 상태를 평가하였다. 전체 생태 점수(total ecological sco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TESB)은 17(St. D)에서 41(St. A)으로 평균은 29였다. St. A에서 부수성 지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생태 점수(ESB)는 II 등급으로 빈부수성, 수질은 약간 만족이며 보호가 요청되는 수질에 해당되었다. 저서성동물지수(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BMI)은 25.207(St. C)에서 39.348(St. A)까지 이며 평균은 31.810였다. St. C와 St. D의 하천 상태 평가는 강부수성이며 민감종이 결여되어 있었다. 다양도를 나타내는 Shannon-Weaver index (H')는 1.288(St. D)에서 2.250(St. A)였다. H'에 근거한 부수성 정도는 St. A에서는 ${\beta}$-중부수성이었으며 나머지 지점은 ${\alpha}$-중부수성이었다. 지리적 밀도는 1.229(St. A)에서 2.071(St. D)으로 평균은 1.582였다. 송지천에서 사용한 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여러 수질의 척도는 한국 내 다른 하천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